•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절차

Search Result 21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stimating optimal flood of the hydroelectric dams on the Bukhangang River (북한강 수계 수력발전댐의 최적설계홍수량 추정)

  • Kim, Sang Ug;Choi, Kwang Bae;Seo, Dong Il;Che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6-286
    • /
    • 2022
  •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공구조물의 적정 규모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홍수빈도분석에는 통계적 분석절차에 따른 불확실성이 포함된다. 따라서 불확실성이 포함된 범주 내에서 가장 적절한 설계홍수량(design flood)를 결정하는 과정은 수공구조물의 최종단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나 이를 제시한 연구는 많지 않다. 비용-편익 분석기법을 홍수빈도분석 절차에 도입하여 구성되는 총 기대비용함수(total expected cost function)는 설계홍수량 중 최적 설계홍수량(optimal design flood)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이다. 이 절차는 UNCODE(UNcertainty COmpliant DEsign)로 명명되어 사용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적용 결과가 소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NCODE의 수학적 구성 절차를 소개함과 함께 북한강수계에 위치한 수력발전댐(화천댐,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의 년최대유입량을 사용하여 최적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고 이 결과를 기존 홍수빈도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불확실성이 고려된 총 기대비용함수로부터 확률분포함수들(Gumbel 및 GEV)의 모수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Metropolis-Hasting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의 범위를 추정하였으며, 비용-편익 분석기법에 사용되는 비용 및 피해함수는 수학적 구성의 편의성을 위하여 1차 선형함수로 가정되었다. 4개의 발전용댐, 2개의 확률분포 및 2개의 재현기간에 대하여 최적 설계홍수량의 중앙값이 기존 홍수빈도분석 절차에 의해 산정된 설계홍수량보다 일정 정도 큰 값으로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적용된 절차를 간단한 수식형태로 함수화하여 발전용댐 운영의 실무업무나 하천기본계획의 수립 등에 있어 비용-편익분석 기법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Figurate Number Tasks for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도형수 과제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

  • Kim, Yang-Gwon;Song, Sang-H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3
    • /
    • pp.745-76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gifted students' solving ability of the given study task by using all knowledge and tools which encompass mathematical contents and curriculums, and developing the teaching learning materials of gifted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level which tan enhance their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and develop creative idea. With these considerations in mind, this paper sought for the standard and procedures of teaching 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s for the edu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presented the procedure model of material development, produced teaching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levels in the task of figurate number, and developed prototypes and examples of teaching learning material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prototype of teaching learning materials for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their level, this research developed the materials for students and materials for teachers, and performed the modification and complement of material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It confirmed various solving processes and mathematical thinking levels by analyzing the figurate number tasks.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study task by using all knowledge and tools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curriculums that encompass various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and teaching learning materials which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PDF

Analysis of problem posing activity of fifth grade students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활동 분석)

  • Sung, Chang-Geun;Lee, Nam kyung;Lee, Dae Hy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0 no.3
    • /
    • pp.193-204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develop a practical approach to integrating student-driven mathematical problems posing in mathematics instruction. A problem posing activity was performed during regular mathematics instruction. A total of 540 mathematical problems generated by students were recorded and analysed using systemic procedures and criteria. Of the problems, 81% were mathematically solvable problem and 18% were classified as error type problems. The Mathematically solvable problem were analys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mplexity level; 13% were of a high-level, 30% mid-level and 57% low-level. The error-type problem were classified as such within three categories: non-mathematical problem, statement or mathematically unsolvable problem. The error-type problem category was distribut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leaning theme and accomplishment level. The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used systemic procedures and criteria to analyse problem generated by students and provided the way for integrating mathematical instruction and problem posing activity.

중등 수학 영재 판별 및 선발

  • 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1.05a
    • /
    • pp.89-107
    • /
    • 2001
  • 영재는 그 다양한 특성으로 인하여 객관적인 판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판별절차에 관한 학자들의 이론도 다양하다. 특히 고도의 창의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수학 영재아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한 면이 심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학 영재교육센터에서 실행했던 중등 수학영재선발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검증함으로써 앞으로 더 발전된 수학 영재아의 판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xploring How Middle-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n Functions Provide Students an Opportunity-To-Learn (중학교 수학교과서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함수 학습기회 탐색)

  • Kim, Gooyeon;Jeon, MiHyun
    • School Mathematics
    • /
    • v.19 no.2
    • /
    • pp.289-317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Korean middle-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n functions provide students an opportunity-to-learn [OTL].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3 textbooks in terms of mathematics content and practice,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types of student responses, types of context-based tasks, and connections among the tasks. The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suggest as follows: a) an opportunity-to-learn to connect procedures to functional concepts and new ideas of functions to the existing one is very limited; b) the textbooks seem to provide students an OTL to understand functions as definitions, rules and conventions and to experience repeatedly procedural executions through worked examples and mathematics tasks; c) students may not experience to explain their own ideas/thinking by using mathematical sentence or justify their own cognitive processes; and d) students can be exposed to get a sense of mathematics as a set of fragmented and isolated facts or procedures, rather than to encourage to expand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functions.

수학 교구를 활용한 클럽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e, Chang-U;Son, Suk-Hy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63-176
    • /
    • 2001
  • 대부분의 수학 수업이 알고리즘을 숙달시키고, 기계적으로 익힌 절차에 의해 정답을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학은 딱딱하고 어렵고 재미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수학 수업에서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한다면 수학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상과 형식적인 수학으로의 발달을 돕고 학생들이 활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에서는 조작 활동을 통한 자기 학습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주위의 실제 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물을 관찰하여 그 성질을 추상해 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구를 이용하는 조작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규 수학 수업이 아닌 일선학교의 클럽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수학 교구를 충분히 조작하고 활용할 시간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통한 클럽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능력 수준에 따른 도형 학습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 지를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문제설정의 수준과 유형

  • Kim, Pan-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39-147
    • /
    • 2004
  • 최근 수학 창의성 개발과 관련되어 문제설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문제설정의 기법과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는 실제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설정의 유형과 수준을 논의함으로서 문제설정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문제설정의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첫째, 문제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만들 수 있는 대치적 수준의 문제설정, 둘째 유추적 사고에 의해 만들 수 있는 유추적 수준의 문제설정, 셋째는 개념이나 또는 해를 구하는 방법이나 절차를 다른 형태로 바꾸는, 즉 문제를 재구성, 재정의 및 재조직하여 문제를 만드는 재구성 수준의 문제설정, 넷째는 출판되는 논문의 주제 선정과 같은 전문가 수준의 문제설정으로 분류하였다.

  • PDF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 - 기하학을 중심으로 -

  • Kim, Chang-Il;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53-469
    • /
    • 2005
  • 기하는 수학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기하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와 교수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장의 수학교사들에 의한 프로그램개발과 동시에 프로그램과 지도방법을 통합하는 수학교사들의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들을 고려하고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는 토론, 발표, 세미나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안해 보았다. 프로그램 설계의 내용적 면에서는 기하학의 한 방법인 해석기하학과 현재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Euclid 초등기하의 한계를 넘어 공선(共線), 공점(共點)의 비계량적 개념의 사영기하학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적인 면에서는 문제제시단계, 문제해결단계, 수학적 개념추출단계, 수학화 단계, 확장단계의 단계별 절차를 두었다. 이와 같은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의 목적은 수학영재들을 새로운 문제와 지식을 제안하고 생산하는 수학 창조자를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 PDF

The Effects of Graphics Representation of Trigonometry Modelling on Question Generating and Idea Sharing (삼각함수의 모델링에서 그래픽 과정이 학생들의 질문 생성과 수학적 아이디어 교환에 미치는 효과)

  • Yoon, Jae yeon;Shin, Hyun s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4 no.2
    • /
    • pp.217-24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amine the effects of graphics representation of trigonometry modelling concerning question generating and idea sharing. The experimental setting(Experiment Group) was one class (N=26) at a public high school. The modelling process was designed as a process-oriented conceptualization divided into three steps i.e., (1) game with idea sharing and question generating, (2) graphic representation, and (3) symbolization in the mathematical applied tasks related to trigonometry func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Graphic Representation with Game Activity increases the opportunity of question generating and idea sharing during experimental work.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graphics enhances the teaching of mathematical quantity in highschool classrooms.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s Learning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신념 연구)

  • Kim, Jinho;Kang, Eun Kyung;Kim, Sangmee;Kwon, Sungyong;Park, Mangoo;Cho, SooY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2 no.1
    • /
    • pp.49-64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339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mathematics education from 4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TEDS-M(Tatto et al., 2008) was translated into Korea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about mathematics learning. Also, the results of the survey was analyzed by various aspects.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s and about the mathematics learning,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nds to believe that the nature of mathematics as 'process of inquiry' rather than 'rules and procedures' which is a view that mathematics as ready-made knowledge. In additi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nd to consider 'active learning' as desirable aspects in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practice, while 'teacher's direction' was not. We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cess of inquiry' and 'active learning' and between 'rules and procedures' and 'teacher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more extensive and multifaced research on mathematical beliefs should be needed to design curriculum and plan lessons for futur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