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적 쓰기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상호또래교수에서의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to mathematics self-efficacy in reciprocal peer tutoring)

  • 최계현;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1-24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in reciprocal peer tutoring. Participants were 38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ho attended at a summer intensive mathematics course for 4 weeks.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data, and the interviews, observational journals and reflective journals of 6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qualitativ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the subcategori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 mathematics problem-efficacy, mathematics success-efficacy, mathematics learning-efficacy, and mathematics subject-efficacy - improved except mathematics occupation-efficacy. In case of mathematics success-efficacy and mathematics problem-efficacy, students reveal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conclusi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reciprocal peer tutoring could be suggested as a treatment program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s self-efficacy.

수학일지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에 미치는 영향: 3학년 수와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level in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to the 3rd graders in a mathematics classroom)

  • 양현수;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3호
    • /
    • pp.247-27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ctivities. For this study, 21 thi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observed when they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ctivities while studying number and operation area.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mathematical confidence, mathematical flexibility, mathematical will, and mathematical reflection increased and it was statistically proved. Expression and explanation level of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writing area also increased as the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ctivity continued. Thus,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ctivities can help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hile make students 'to develop and transform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to express oneself'. Also, it provides implications of including active writing activities such as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ctivities into mathematics classroom. Furthermore, the change in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vel according to mathematical disposition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hen providing active writing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ctivities into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o encourage communication to be active rather than giving feedback based on one's mathematical disposition level.

영재와 학습장애영재의 영역적 사고 (Domain Thoughts in Gifted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송광한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851-876
    • /
    • 2014
  • 이 논문은 학습장애영재 모델(Song & Porath, 2011)의 실증적 검증 차원으로, 읽기, 쓰기, 수학에서 학습장애가 없는 영재와 학습장애영재가 보이는 영역적 사고를 조사하였다. 두 그룹의 영재들로부터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야적 사고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재는 읽기, 쓰기, 수학에서 비교적 균형 잡힌 영역적 사고를 나타낸 반면 학습장애영재는 특정 분야에서 약한 영역적 사고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오직 학습장애영재만이 읽기, 쓰기, 수학의 각각의 분야 내에서 서로 상반된 태도를 보였는데 그들은 같은 분야 내에서 긍정과 부정의 감정을 동시에 드러냈다. 이 논문은 학습장애영재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지 메커니즘을 통해 두 영재집단의 차이점들을 설명하고 영재 선발과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수학 노트를 활용한 학습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 수학적 태도 및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ing Learning-Notebook on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Mathematical Attitude and Reactions)

  • 김경미;박종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41-463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소수의 학생들에게 모든 수학 학습 활동에서 학습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가운데 지필검사,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학생들 반응의 변화를 살펴보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교육이 없는 N초등학교 5학년 9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문제해결 활동을 할 수 있는 수학 노트 쓰는 방법을 고안하고, 둘째, 개발한 수학 노트 쓰기를 모든 수학 학습 활동에 활용한 후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셋째, 수학 노트 쓰기를 지속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반응 등의 변화를 살펴본다.

  • PDF

프로젝트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보이는 수학적 의사소통 활동과 수학적 태도 분석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Attitudes in the Process of Solving Mathematical Project Problems)

  • 최혜령;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66
    • /
    • 2006
  • 지금까지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쓰기 활동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많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프로젝트 활동이나 소집단 토의 활동에 대한 연구는 여러 차례 있었으나, 이를 수학적 의사소통 영역과 수학적 태도면에서 연관시켜 분석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을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프로젝트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촬영하여 살펴본 후, 그 속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수학적 태도의 측면에서는 어떤 현상이 관찰되는지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추출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Items for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 신준식;고정화;박문환;박성선;서동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19-640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적 추론, 문제해결, 의사소통과 관련된 평가 문항을 소개하고, 평가 문항에 대한 5 학년 학생들의 반응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수학적 추론은 연역 추론, 귀납 추론, 유비 추론으로, 문제해결은 외적 문제해결과 내적 문제해결로, 의사소통은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로 나누어 각각의 예시 문항과 학생들의 반응을 소개하였다. 수학적 추론 문항은 각각의 추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문항의 개발이 중요하며, 5학년 학생들 중 일부는 이러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의사소통의 각각의 형식보다는 문항에 내재된 수학적 상황이 학생들의 반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수학 평가 문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수학 평가에서 인지적 영역의 설정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수학 평가 문항 개발과 관련된 교사 연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을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 지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via Web-Based Online Discussion)

  • 권오남;김인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1호
    • /
    • pp.77-95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능동적 상호작용과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인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을 중학교 수학수업에 적용하여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이 수학적 의사소통 지도 방법으로서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가지 연구 문제를 수립하였다. 첫째, 웹 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ulcorner 둘째,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의 경험에 대해 학생들은 어떻게 평가하는가\ulcorner 중학교 1학년 학생 34명을 대상으로 9개의 모둠을 구성하여 모둠별로 10주간 8회의 채팅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토론 후 학생들이 이메일로 보낸 채팅 갈무리 내용과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의 경험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학에 대한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은 수학적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양상인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 영역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수학적 사고력이 향상되고 수학에 대한 태도 역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 PDF

수학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쓰기활동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Writing Activity as Mathematical Communication on the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 박윤정;권혁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1호
    • /
    • pp.27-47
    • /
    • 2008
  •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 of writing activity as mathematical communication on the students's mathematics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mathematical tendency.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experimental class and then analyze the students' change in those aspects after applying three-divided-note writing activity and colleague feedback on their works those students are in the experimental clas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find that three-divided-note writing activity and colleague feedback made some significant change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but does not affect on mathematical tendency. We also offer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ly,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must be stressed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need to develop the teaching and the evaluation method to use not only writing but also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so that many teachers can apply this method easily to their classes. Second, we need to fix some realistic problems such as fair evaluation , the numbers of students per class, the numbers of lesson, and too much extra-work, and so on. Thirdly, we suggest to explore some methods for extending three- divided-note writing activity to evaluate mathematical essay and to study educational effects of colleague feedback on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 PDF

수학불안증 감소를 위한 연구동향 탐색 (Finding the Direction to the Research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Anxiety)

  • 고상숙;이창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89-611
    • /
    • 2014
  •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사람이면 누구나 불안을 경험하기 때문에 수학불안증에 대한 연구는 수학교육이 발달하면서부터 주요 주제가 되어왔다. 최근엔 기기의 발달로 그간 연구하기 힘들었던 뇌 과학 연구의 새 영역이 가능해진 바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수학불안증을 재조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수학불안증 감소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써 몇 안 되는 뇌 과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에서는 단순연산과제만을 사용하였는데 심지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문제를 사용하였다. 검사지를 활용한 연구에서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모두 조사할 수 있는 다차원적 검사척도가 개발되었다. 수학불안증 감소를 위한 처치로는 인지적 행동적 방법에 체계적 둔감법, 이완훈련, 그리고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임상상담기법 등이 사용되었으며 교수 학습 방법으로 STAD 교수법, 쓰기기법 등 개발되었으나 좀 더 세분화되고 신뢰도 있는 방안들이 앞으로 더 많이 연구되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5학년 아동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사례 연구 - 말하기, 쓰기 능력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5th grader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 focused on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

  • 한혜숙;노수혁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0년도 제44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 /
    • pp.83-97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in depth about 5th graders' mathematical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n those abilities. The study involved 3 5th graders and their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in geometry a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hildren had difficulties in selecting and using appropriate mathematical languages to explain mathematical concepts, mathematical ideas, and problem solving steps.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higher ability in speaking than wri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