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프로그래밍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두리틀(Dolittle) 프로그래밍 활동을 통한 함수 개념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 Jo, Yeong-Ju;Kim, Gyeong-Mi;Hwang, U-H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363-378
    • /
    • 2005
  • 본 연구는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Dolittlee)을 수학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7차 교육과정상의 중등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두리틀 프로그래밍 활동을 안내적 교수법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두리틀 프로그래밍 활동이 함수의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컴퓨터 친밀도와 수학적 성향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두리틀을 이용한 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활동은 학생들에게 함수의 기본 개념과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두리틀 프로그래밍 탐구 활동에 있어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보다는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성향과 컴퓨터와의 높은 친밀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Japanes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digital contents on programming education (프로그래밍 교육 관련 일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디지털 콘텐츠 분석)

  • Kwon, Mis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7 no.1
    • /
    • pp.57-74
    • /
    • 2024
  • This paper analyzed the programming education specialized lessons presented in two type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Japanese curriculum in 2017. First, this paper presented in detail how each activity is connected to Korean mathematics areas, what elements of mathematics can be learned through programming education, how each activity is structured, and how the actual programming according to the textbook activities is structured. In Japanese textbooks, geometry and measurement areas were presented the most among Korean mathematics content areas, and mathematical elements such as sequences, rules, and algorithms were most implemented for learning. Digital learning tools that make up actual programming present more elements than those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are presented in great detail so that students can do actual programming. Lastly, in blocks, motion, control, and calculation blocks were used a lo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when conducting programming-related education in Korea.

파이겐바움 분기도를 그리는 과정에서 엑셀의 활용

  • An, Da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55-260
    • /
    • 2003
  • 1980년을 전후하여 카오스연구가 물리학에서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미국의 물리학자 파이겐바움(M. J. Feigenbaum)이 보편상수를 발견한 것이(1978)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파이겐바움의 보편상수는 카오스현상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보편상수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주기, 배가, 파이겐바움 분기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소개하고 있으므로, 프로그래밍에 대한 깊은 이해없이는 분기도를 탐구하기 어렵다. 프로그래밍을 통해서는 나타나는 결과만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프로그래밍 이전에 엑셀의 기능을 이용하여 파이겐바움 분기도를 그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파이겐바움의 주기에 대해 엑셀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두리틀(Dolittle)'의 수학 교육-학습 활용 방안

  • Hwang, U-Hyeong;Kim, Gyeong-M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15-240
    • /
    • 2005
  • 본 논문은 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두리틀(Dolittle)'을 소개하고, 두리틀을 수학 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최초의 연구이다. 두리틀은 LOGO의 거북 그래픽스(Turtle Graphics)와 인크리멘탈(Incremental) 프로그래밍 방식, 즉각적인 피드백 등 많은 교육적 이점을 수용하고, 현대 프로그래밍의 고급 기능들을 프로토타입(Prototype) 방식을 통해 어린 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텍스트기반의 한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LOGO와 두리틀의 활용 비교를 통하여 두리틀을 소개하고, 두리틀을 이용한 기하와 함수의 교수-학습을 위하여 연구자가 고안한 기하판과 좌표판, 삼각함수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그 교수-학습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Curriculum Analysis with respect to Computer programming (컴퓨터프로그래밍과 관련된 교과목 내용분석)

  • Lee, Seung-Woo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2 no.2
    • /
    • pp.69-80
    • /
    • 2009
  • The computer programming is a useful tool to cultivate the logical thinking and encourage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e. With the purpose of specifying the computer programming, this study mainly concerns with what the computer programming is in the Math/Stat education, and the role of the computer programming when it regards the problem solving procedure. This provides the possibility of Math/Stat major to be specified with the connection of IT related courses, and eventually the specified Math/Stat major enables more qualified graduates to be educated.

  • PDF

Teaching Strategies of the Concept of Programming function Using a Web_based JavaMAL Learning System (웹 기반 JavaMAL 환경을 활용한 프로그래밍의 함수 개념 지도 방안)

  • Jung, Myung-Young;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09-216
    • /
    • 2007
  • 고도의 지식정보사회 속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MAL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의 함수개념 형성을 위한 학습모형을 구안 적용하고 일반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요소 중 함수개념과 관련된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차시별 지도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의 함수가 수학적 함수의 모방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수학의 '규칙성과 함수'지도 단계를 LOGO의 문제해결력 수업모형인 안내된 발견식 교수법(guided discovery teaching method)에 강화한 후, 인터넷을 활용한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기본명령어와 변수개념을 이미 익힌 계발활동 부서 6학년 아동들을 지도 대상으로 한 달간 웹 기반 JavaMAL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게시판 활동 및 활동지를 통해 함수개념 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 PDF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with the Focus on Case Study Using LOGO Programming Language and Fractal Geometry Theory (로고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랙탈 기하이론을 이용한 초등학교 컴퓨터교육 활용 연구)

  • Ko, Yeong-Hae;An, Jae-Ho;Park, Nam-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41-144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로 다루고 있는 창의성이라는 주제와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쉽게 접목시킬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LOGO 프로그래밍과 프랙탈 기하이론을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향후 컴퓨터교육과정은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이 포함될 예정이며, 이러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교육에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이 필수적이며 이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LOGO 프로그래밍과 프랙탈을 함께 지도함으로서 규칙성, 반복성, 유사성, 닮음 등 수학적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학습해야 할 도형, 측정, 규칙성과 문제 해결 영역과 연계하여 지도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ystematic "Programming" by Realization of the Mathematical Program (수학 프로그램 구현을 통한 체계적 '프로그래밍' 교수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박광철;김종훈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1
    • /
    • pp.1407-1420
    • /
    • 2001
  •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about computer education with the age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 is taking an important role of computer education. However, the special emphasis in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 has been attached to memorizing the programming language by rote and learning computer programs. Therefore, those were not much useful tools to develope a logical intelligence of the meanings of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methods of realization.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improve the programming education efficiently because of the objects of knowledge of computing and raising an efficiency of problem solving.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research is aimed at representing an useful education model through developing a mathmatical program into each part of the C programming language, which would be a new supplier of an basic insight into the programming language and technique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research material will be an useful model to increase interests and concerns as well as to raise an efficiency of problem solving or a logical intelligenc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tudying programming language.

  • PDF

The Conversion of a Set, a Sequence, and a Map in VDM to a Linked List in a Programming Language (VDM의 자료구조인 set, sequency, map의 프로그래밍 언어 자료구조인 linked list로의 변환)

  • Yu, Mun-S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8D no.4
    • /
    • pp.421-426
    • /
    • 2001
  • A formal development method is used to develop software rigorously and systematically. In a formal development method, we specify system by a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 and gradually develop the system more concretely until we can implement the system. VDM is one of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s. VDM uses mathematical data structures such as sets, sequences, and maps to specify the system, but most programming languages do not have such data structures. Therefore, these data structures should be converted. We can convert mathematical data structures in VDM to a linked list, a data structure in a programming language.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method to convert a set, a sequence, and a map in VDM to a linked list in a programming language and prove the correctness of this conversion mathematically.

  • PDF

A case study on programming academic achievement: Focused on the hardware curriculum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에 관한 사례연구: 하드웨어 교과과정 중심으로)

  • Lee, Se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4
    • /
    • pp.779-79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ogramming capability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H/W. For implementing this purpose, first, the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C language and C++ language are measured for the graduates-to-be majoring in H/W and S/W. Second, the H/W and S/W curriculum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relevant factors to g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programming. Third, to find the influence of mathematic compet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programming, the relevance is analyzed in terms of th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mathematics curriculum and programing curriculum.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m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W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