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2003.11a
/
pp.165-166
/
2003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education, many students in high school have lost their interests and felt difficulties and they don't have 'mathematical' experience with meanings attached becaus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This paper attempted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find the teaching-method with which students can study by themselves with more confidence. Nowadays students' use of Internet is very popular. After develop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program based on mathematics history, history, science, the application of problems in real world, and self-evaluation, I made students repeat them after making teaching lessons in classroom as moving pictures. Through this processes, I attempted to develop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making public education substantial. First of all I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mathematics subject, the conditions of seeing and hearing in Internet learning program, and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terests in Internet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cords, I observed the significance of the introducing mathematics history in mathematics subject in early stager, cooperative-learning, leveled-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Internet learning. Actually in aspect of applying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program, at first I made up the educational conditions to fix the program, collected the teaching materials, established the system of teaching-learning model, developed materials for the learning applying Internet mail and instruments of classroom, and carried out instruction to establish and practice mathematics learning plan. Then I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leveled cooperation and presentation loaming and at the same time constructed and used the leveled learning materials of complementary, average, and advanced process and instructed to watch teaching moving pictures through Internet mail and in the classroom. After that I observed how effective this program was through the interest ari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ubject, learning accomplishment, and the change of self-directed learning. Finally, I wrote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 on the preparation of conditions fur th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and the project and application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program and repeated learning with the materials of moving pictures in classroom.
How to enhance the ability of underachieve students are unsolved problems for mathematics teachers despite of their best efforts to teach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s a method of improving the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s for underachieve students. Seven students whose performances were below 40% on the final exam in the 1st semester were recruited in order to gather empirical data. Before journal writing procedures,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learning styles and mathematical attitudes were investiga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 and mathematical attitude test. After six-week journal writing, follow-up survey and mathematical attitud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had a positive effect to underachieve students on improving confidence in mathematics and a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nd effective learning attitude. And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i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comparing first semester's final exam with second semester's mid-term exam. Finally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contributes positivel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
This study is intend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for gifted/talented children, the foundation object of science high school by examining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talented students in open-e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realization of 'meaningful teaming' tailored to the learner's level, the essential of school education. For the study, 8 students (4 gifted students and 4 talented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the 1 st grade students in science high school through the distinction procedure of 3 steps an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these two group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basis establish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ere founded. (1)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constituent members of science high school were not the same excellent group and divided into the two groups, gifted students who showed excellence in overall field of mathemat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talented students who had excellence in learning ability of mathematics. (2)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talented students, members of science high school is understood and a curriculum of science high school must include a lesson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gifted/talented students, unlike general high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try to find a support plan that it reduces the case which gifted students are generalized with common talented students by the same curriculum and induces the meaningful loaming to learners, the essential of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way of proving using combinational proof with the way of proving presented in the existing math textbook in the proof of combinational equation and to classify the problem-solving into some categories using combinational proof in combinational equation. Corresponding with these,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combinational equation using combinational proof and the fundamental material to develop material for advanced study.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v.9
no.1
/
pp.65-84
/
2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designs of the developed 22 teaching and programs for th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he focus of the analysis were the particip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were to reflect them on the areas of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programs for the low grade gifted students are very few compared to those of the high grade students. For earlier development of the young gifted students, we need to develop more programs for the young gifted students. Second, there are many programs in the area of geometry, whereas few programs are developed in the area of measurement. We need to develop programs in the various areas such as measurement,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patterns and representations. Third, most programs do not follow the steps of the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an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steps are the 1st, 2nd, and 3rd enrichments, sequentially. We need to develop hierarchical programs in which the sequency and relations are well orchestrated. Fourth, the frequency of appearance is as follows as sequentially: types of exploration of topics, creative problem solving, using materials, project types, and types of games and puzzles. In the development of structure of the program, the follow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name of the chapter, overview of the chapter, objectives, contents by steps, evaluation, reading materials, and extra materi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university-level program(UP) 'Statistics Curriculum'. The UP program is a Korean curriculum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which offers standardized courses to high school students that are generally recognized to be equivalent to undergraduate courses in college. In this paper we analyze that various programs are being conducted currently in Korea and overseas related with University-level Program in mathematics. And we describe course of the study, mathematical objectives of developed statistics curriculum on the study.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mathematics teacher-training course. The topic of this training course is the understanding of content area reading in school mathematics. The teacher-training course is planned to guide mathematics teachers can perform effectively the teaching of content area reading. In particular, we illustrated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actice. Mathematics teachers investigated various teaching strategies that can lead their students read reading materials related to mathematics effectively. In this training courses, teachers reflects on their own experience and they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the new strategies that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Teacher educator and in-service teachers share and discuss their practices, they have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processes of the teacher-training course and the results of practice.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 suggeste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GSP helps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understand geometric principles and concepts during the inquiry process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internal triangle, and how the students logically proceeded to visualize the content during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Fou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ere chosen for the study. They investigated the pattern between the area of the original triangle and the area of the internal triangle with the ratio of each sides on m:n respectively. Digital audio, video and writte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analysis the researcher found four results. First, the visualization used the GSP helps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geometric principles and concepts intuitively. Second, the GSP helps the students to develop their inductive reasoning skills by proving the various cases. Third, the lessons used GSP increases interest in apathetic students and improves their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self-efficiency.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isoprimetric problem of polyg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The isoperimetric problem of the polygon of odd degree can be solved by E-transformation(see Figure III-1) and M-transformation(see Figure III-3). But in the case of even degree's polygon, it is quit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because of the connected components of diagonals (here we consider the diagonals forming triangle with two adjacent sides of polyg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n idea to solve the isoperimetric problem of polygons of even degree using the properties of ellipse. This idea is derived from the programs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the Jeju National University.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