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 연구자

Search Result 18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urvey Research of Mathematics Educators' and Mathematicians' Preference on Journals (수학교육학과 수학 연구자들의 학술지 선호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 Park, Kyungmee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3 no.4
    • /
    • pp.423-448
    • /
    • 2013
  • The journals provide an academic arena for researchers in specific academic field, and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cademic field.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familiarity, reputation, applicability, and prefer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mathematics educators. As a result, the three journals , , and were notably preferred by mathematics educators, and the scores of familiarity, reputation, applicability, and preference were almost synchronized. On the other hand, mutual prefer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and education journals is an indicator of the communication among related academic fields. However,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showed little preference toward mathematics and education journals, and vice versa.

  • PDF

질적 연구자의 자세

  • Go, Sang-Suk;Go, Ho-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423-450
    • /
    • 2001
  • 수학교육학 분야에서는 학생들이 수학적 활동을 해나갈 때 학생들의 머리 속에서 어떠한 작용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갖는다. 특히 급변하는 사회에서 개인차가 다양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떻게 수학을 습득해 나아가는가를 연구를 하고자 할 때 기존의 양적 연구 방법으로는 그들의 활동을 기술하는데 한계가 있어 그 대안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질적 연구 방법이다. 주로 연구자의 관점에서 기술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연구자의 자세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사전에 질적 연구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요소들을 잘 인식하고 연구자의 독자적인(편견된) 관점을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 질적 연구의 성패를 좌우한다. 본 논문은 질적 연구를 하는 연구자가 행하는 바람직한 방법과 자세를 질문과 몇 가지 예시들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질적 연구가 연구방법으로써 보다 더 잘 정착될 수 있길 기대한다.

  • PDF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Mathematics: A Comparison of Korean Students and American Students (대학생의 수학 개념: 한국 학생과 미국 학생의 비교)

  • JKang, Ok Ki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3 no.1
    • /
    • pp.1-12
    • /
    • 2003
  • 이 논문은 수학적 개념의 뜻과 과 중요성을 살펴본 다음,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한국의 대학생과 연구자가 연구년 동안 강의한 바 있는 미국의 대학생이 갖고 있는 수학적 개념의 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여 수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적 개념을 수학적 지식의 구성, 수학적 지식의 구조, 수학적 지식의 현상, 수학을 행하기, 수학적 아이디어의 가치 인식, 구성으로서의 학습, 유용한 노력으로서의 수학으로 분류하고 각 개념에 대한 양국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학생들은 수학적 개념에 대한 7개의 영역 중에서 '수학적 지시의 현상', '수학을 행하기'를 제외한 5개의 영역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앞으로 한국의 수학교육은 수학을 실제로 행하는 활동을 더욱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 Kim, Hyeo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43-156
    • /
    • 2010
  •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학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수학, 교육학, 심리학 등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으로 Wittmann(1984)은 수학교과의 특성상 변하지 않는 요소들을 교수단위(Teaching Units)라 하고, 수학교육을 통합시키는 개념으로 교수단위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요소에 따라 작은 단위로 조직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학연구자나 교사는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조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나아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학년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단위가 수학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도형영역의 교수단위(TU)는 특징과 제목에 따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도형영역 교육과정은 대체로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적용형이 개념알기형보다 조금 더 많다. 이는 도형영역 교육과정이 학습한 개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활동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도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 되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수단위(TU)는 수업자가 도형학습주제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맞춤자료를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학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수단위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보완되고 진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많은 수학연구자나 현장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된 교수단위를 교사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일 논의 - 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산물, 창의적인 과정이란 관점으로부터 -

  • Kim, Jin-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45-56
    • /
    • 2004
  • 본고는 수학적 창의성과 관련한 논문으로 이를 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산출물, 창의적인 과정이란 일반 창의성 연구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분야로부터 유추적으로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런 접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가정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 번째, 일반 보통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에서도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교과에도 적합한 진술이다. 두 번째, 현상학적 입장으로 부터 학교에서 교수${\cdot}$ 학습되고 있는 학교수학이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적절하고 새로운 지식이란 점을 공고히 해 주었다. 또한, 여기서 강조한 것은 새롭고 적절한 지식이 완성된 지식뿐만 아니라 발생상태 그대로의 지식 즉, 과정으로서의 지식도 포함하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수학자가 수학을 탐구하는 과정을 창의성 연구자들이 보듯이 인지과정으로 보는 대신에 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이로부터 하나의 완성된 수학적 지식을 완성하기까지의 수학적 사고과정으로 보는 것이 수학교육적 의미에서 교수${\cdot}$ 학습에 의미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 PDF

A co-authorship network analysis on mathematics education scholars (수학교육 연구자의 공동출판 연결망)

  • Kim, Sungyeu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2 no.4
    • /
    • pp.483-496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scholars' co-authorship relationship in papers registered at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e data were 354 scholars from 257 papers in 4 journals from 2009 to 2013 based o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the analysis, Pajek3 and UCINET6.3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ch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scholars is connected on average with about 5 paths of intermediate collaborators. Second, Analyses of the first component group found distinguishable scholar group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affiliations, majors, and job statuses. Third, there were scholars having high values in network degree centrality measures despite not having high numbers in published papers. On the contrary, there sere scholars having high numbers in published papers despite not having high values in network analysis. Finally, I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and Perspective Teacher Education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 Kang, Hyun-Young;Ko, Eun-Sung;Kim, Tae-Sun;Cho, Wan-Young;Lee, Kyeong-Hwa;Lee, Dong-Hwan
    • School Mathematics
    • /
    • v.13 no.4
    • /
    • pp.633-649
    • /
    • 2011
  • A variety of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in mathematics has been discussed. It has been expected that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competencies.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eachers' perspectives rather than researchers' to narrow the possible discordance. First, we built a list of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that mathematics teachers should meet by reviewing literatures. Second, we investigate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bout what requirements teachers should meet for good teaching, how mathematics learning experiences at the university level influence teachers' competence cultivation, and how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fluence teachers' competence building.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mathematics teachers'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PD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상황중심의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실행연구)

  • Kim, Nam-Gyun;Park, Young-E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2
    • /
    • pp.429-4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students deepen their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tioner improve her mathematics lessons. The teacher-researcher developed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which was modified from PBL(Problem Based Learning instruction model). Three lessons were performed in the cycle of reflection, plan, and action. As a result of performance, reflective knowledges were noted as followed points;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improvement of mathematics teachers.

  • PDF

Extracting Teaching Units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수단위 추출 연구)

  • Kang, Wan;Kim, Nam-Ju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0 no.1
    • /
    • pp.45-56
    • /
    • 2010
  • This research analyzes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units devised by the German mathematics pedagogue, Wittmann(1984). Teaching units, a systematic teaching content organized according to the 4 elements of objectives, data, functions, and backgrounds, helps educators and professors plot for th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s necessary in teaching. This research presents the extracting process of teaching units step by step based o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also demonstrates the new alternative method to analyze and review the entire education courses through it. Teaching units is not immutable, but rather pursuing and developing a model that consistently through the constant complementary efforts by the research experts. On that account, many researchers and field professors continuously devote their efforts to develop and innovate it so that it can be practically used as an essential tool to establish a new mathematics curriculum.

  • PDF

주제탐구 중심의 수학영재 캠프 - 초등학교 중심 -

  • Lee, Sang-Won;Ba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7
    • /
    • pp.31-48
    • /
    • 2003
  • 영재교육이 우리나라의 미래를 좌우한다는 생각은 이제 매우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구체적인 학습자료와 이론이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1999,김주봉). 수학 캠프의 활동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은 더욱더 찾아보기 힘들다. 대구광역시 동부교육청 시범영재학급에서는 03년 1월 9일부터 11일까지 2박3일간 동부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부 백은관에서 영재캠프를 개최하였다. 이번 캠프는 주제탐구중심의 캠프로서 협동심과 창의력중심으로 전국 최초로 이루어졌고, 4학년 22명, 5학년 21명, 6학년 24명 총 67명과 담당장학사1명, 진행도우미 8명, 운영교수진 8명, 체험학습 강사10명 총94명이 참가하였다.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의 전문가인 교수와 초 중등 현직교사들에 의하여 운영되었고, 프로그램 계획 수립 및 진행총괄은 담당장학사와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수준의 차이가 적지 않는 데다가 본 연구자는 4개월 동안 캠프를 준비하여 학생들로부터 캠프에 대한 소감을 통하여 결과가 긍정적인 내용이 많아서 매우 성공적인 캠프가 이루어 졌다고 생각한다. 본 고에서는 캠프일정과 운영. 교육프로그램, 주제탐구물 결과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