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평가

Search Result 80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학교 현장에서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

  • Go, Sang-Suk;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29-134
    • /
    • 2003
  • 수학과의 평가는 수학의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를 다양한 유형의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해 수학교육의 질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평가는 수학교육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수학적 지식을 결과 위주로 평가하는 데 만족해 왔다. 한편으로는 지극히 교과서적이고 인위적인, 단지 문제를 위한 수학 문제는 수학 무용론을 부추기기도 하였다(박경미, 1998). 이와 같은 수학과의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결과만을 고려하는 선다형의 문제가 아닌 과정을 중시하는 서술형 주관식 문제, 기능 위주의 고립된 수학적 지식을 측정한 학업성취 결과보다는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나 노력, 관심, 탐구적 활동 그리고 성향 등 정의적 영역의 평가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지필 검사를 뛰어넘는 다양한 평가의 틀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런 점에서 1999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고등학교에서의 수행평가는 변화하는 교육기조의 교수 ${\cdot}$ 학습에 대한 적절한 평가의 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평가의 틀 가운데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을 통해서 현장에서의 수행평가활용 방법을 찾는데 있다.

  • PDF

중등수학 임용시험 평가문항과 전국 수학교육과 교과목 분석

  • Kim, Yeong-Rok;Kim, Seo-Ri;Jeong, Se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9.10a
    • /
    • pp.45-76
    • /
    • 2009
  • 본 연구는 1992학년도부터 2008학년도까지의 수학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2009학년도의 개정 시행된 시험(2008년 11월 9일), 그리고 이에 앞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한 2009학년도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모의평가(2008년 6월 14일 시행)을 분석하고 평가문항의 내용별 분포와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수학전공과목 임용시험 출제 평가문항의 내용영역별 분류는 어떠한가?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 문항들의 각 영역별 출제 빈도수는 어떠한가? 전국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임용시험 평가문항들이 사범대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향후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점에는 무엇이 있겠는가? 각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문항들과 전국의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들에 대한 관련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 PDF

수학과 목표지향형 고사 점수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 홍석강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6 no.1
    • /
    • pp.1-10
    • /
    • 1997
  • 수학교육에서 목표지향형 평가는 교육목표를 세분화시키고 목표한 평가 기준에 성취해야할 최저 수준에 입각해서 하는 평가이다. 일반적으로 수학교육의 목표에는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새로운 지도법의 개발, 교과과정의 개발 및 그 교과목의 시행과 추천하고자하는 평가법, 자력에 의한 발전적인 문제 해결지도와 수학적 사고력 향상에 있으며 그런 사고력 검정을 위한 문제 출제 및 문제 변별력 측정, 문제 해결 시도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법의 개발 등은 모두 수학과의 목표지향형 평가의 개선에 유익한 시도로 인정되고 있다.(중략)

  • PDF

The Study for Problems of course evalu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강좌의 강의평가에 대한 문제점 연구)

  • Moon, Kwon-B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4
    • /
    • pp.909-922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disparities in course evaluation between general and major courses of mathematics education. We provide concrete evidences which verify the mismanage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can be an impetus to a more rational one. We indicate the direction to which professors of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head. Also those statistics obtained from the author's teaching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related subjects for twelve years are provided for the fact-finding of and improving the erroneous evaluation system.

A Survey of Teachers' Perspective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 Mathematics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 Chung, Sang-Kwon;Lee, Kyeong-Hwa;Yoo, Yun-Joo;Shin, Bo-Mi;Park, Mi-Mi;Han, Soo-Yu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3
    • /
    • pp.401-427
    • /
    • 2012
  • The recent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stresses to teach mathematics focusing on mathematical process composed of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To be successful in applying the rationale of the process-focused mathematics education, the assessment practice in classrooms should be also centered on mathematical proces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large-scale survey on teachers' perspectives about the process-focused mathematics assessment. First, we surveyed teachers' opinion on current assessment practices in school mathematics related to regular school exams and performance assessments. Second, we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on mathematical process components such as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regarding how they should be assessed. Fin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teachers' opinion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city size, and the type of school.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assessment and process-focused mathematical assessment.

  • PDF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서술형 평가 자료 개발

  • 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57-172
    • /
    • 2010
  •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술형 평가의 유형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서술형 예시 평가 문항을 개발해 보는데 목표가 있다.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자료의 분석은 수학교과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지, 서울시 교육청 보급 2010 장학자료집, 서울시내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예시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 분석의 결과는 문항 유형이 단순하고 교과서와 장학자료집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창의성 영역의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서술형 예시평가 문항의 개발은 수학과의 내용영역과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교육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창의성 영역까지 평가내용으로 포함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영역별 1-2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수학교육 평가에서 고사 타당도의 측정에 관한 연구

  • Hong, Seok-Ga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641-653
    • /
    • 2002
  • 수학 교육평가에서 고사 타당도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평가자가 목적하는 바의 준거에 따라 수험자들의 문제해결력 변별을 위한 고사들 간의 타당도 크기 측정과 또는 고사 문항의 선정, 배치를 통하여 한 고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문항별 타당도 계수를 측정 계산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고사 타당도의 크기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학교육 평가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고사 타당도의 제고에 유효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 PDF

Exploring the Directions and the Issues in Developing the Lesson Assessment of the Elementary Math Textbook in 2009 Revised Curriculum (2009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단원 평가의 개발 방향과 과제)

  • Kang, Wan;Seo, Dong Yeop;Na, Gwiso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7 no.2
    • /
    • pp.301-319
    • /
    • 2013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lesson assessment of the math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level, which is to embody the recent trends of math assessment and the emphases about assessment given in the revised 2009 math curriculum. To this end, we examined the recent trends of math assessment and the assessment framework of RME (Realistic Math Educ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lso we analytically looked at the math-assessment emphases given in the revised 2009 math curriculum, and tried to establish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lesson assessment of the math textbook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studies. In addition to, we gave the math items in line with the established directions about lesson assessment. Finally we suggested the issues in relation with the math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w Mathematical Evaluation System for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창의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수학교육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 박배훈;류희찬;이기석;김인수
    • School Mathematics
    • /
    • v.5 no.1
    • /
    • pp.1-25
    • /
    • 2003
  • This study develops a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o improve grade 4-9 students' creativity. First, this study discusses its educational meaning, its task types, scoring methods and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Then, this study provides the typical exampl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 classified by each of the types and its scoring rubric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achievement levels for each task. Each task includes item informations such as content area, evaluation goal, evaluation procedure, preparatory materi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points, scoring rubric etc. for grade 4-9 teachers to use them in their evaluation processes directly without difficulties.

  • PDF

A Study on Authentic Assessment Model and Example Tools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참평가 모형 및 예시 도구 개발 - 프로젝트법을 중심으로 -)

  • Son, Jung-Hwa;Kang, Ok-Gi
    • School Mathematics
    • /
    • v.14 no.1
    • /
    • pp.109-13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uthentic assessment model and example too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By reviewing literature researches, we set up the definition of authentic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checked the criterian of authentic assessment tasks and mathematical activities. We searched various assessment mode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roject assessment proceeding model, and criterian of project assessment, and checked various project tasks of the authentic assessment. And we developed authentic assessment model and example too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he model is applied project tasks in the form of being integrated with class to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school mathematics especially. Furthermore, we carried the test of content validity for a validity of developed tasks for experts in studi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 is that authentic assessment model and example tool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has an significanc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can be used to judge whether students are doing 'real' mathematics or not, keeping the applicability in the form of being integrated with cla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