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Search Result 2,44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sirable Management of Basic Mathematics Curriculum in College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 - 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

  • Jun, Jae-B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2 no.4
    • /
    • pp.399-416
    • /
    • 2008
  • We have had much speculation on how to solve problems and challenges arising from "The 7th Curriculum" of middle school education. We suggest a scheme of curriculum appropriate to the current tendency to deal with those problems and challenges flexibly.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Ahn, Ji-Young;Jeon, Young-Ju;Youn, Ma-Boung;Lee, Jong-Ha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4
    • /
    • pp.437-464
    • /
    • 2014
  • Curriculum for mathematic sis the system that selects and organizes the contents which have to be taught in school. Ultimately it can be the whole plan of school mathematical education. The study about curriculum for mathematics is the basic study field of the mathematical education, so curriculum-related studies have been continuously promoted in terms of character, organization and implement of the curriculum, learning contents contained by the curriculum,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levels, and comparis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a. Thu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which is the curriculum of Korea and the CCSSM which is the curriculum of the U.S. Both have been adopted in schools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icula for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of Korea and the U.S. in depth and obtain the implication for the further curriculum revis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a of two countries.

  • PDF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과 교재의 재구성 방안

  • Lee, Ui-Won;Kim, Jin-Sang;Lee, Myeong-Hu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93-102
    • /
    • 2001
  • 수학은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양식(style)의 학문으로서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확장되는 개념의 집합체이다. 불확실한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문제해결, 추론 및 의사결정의 기법은 학교수학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자율적 ${\cdot}$ 창의적인한국인 육성’으로 설정한 교육부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수학을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규정하고, 1학년에서 10학년까지를 20개의 소단계(1-가에서 10-나)로 세분하고 있다. 그러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지나치게 의식하게 되면, 학생들의 개인차나 협동학습, 학습평가 등의 교수 ${\cdot}$ 학습의 여러 측면에서 자칫 혼란이 우려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교과서의 재구성 방안과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ird and Seventh Curriculum Period (3차 교육과정 시기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 Kim, Mi Soon;Cho, Wan You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2 no.1
    • /
    • pp.79-9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to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third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nd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This study put the math curricula from the third to the sixth one in third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s those math curricula witnessed the maintenance of industrial society paradigm. And then it put the math curricula from the seventh one to current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s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paradigm has continued throughout those math curricula. Based on those period categories, We compared and analyzed changes of the middle school math textbooks.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math textbooks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tudy set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unit goal, task type and content development approach as analysis elements in the unit of 'Nature of Figures' in the second grade math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xtbooks of the two periods had many changes in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but the unit goal, task type, and content development approach stayed in low level goals and task type that require conceptual and procedural.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s of Korean school mathematic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식민지 수학교육 정책과 19세기 말과 20세기 전반 한국수학 교육과정 연구)

  • Lee, Sang-Gu;Noh, Ji-Hwa;Song, Sung-Yel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4
    • /
    • pp.1093-113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bstacles to progress for 20th century Korean mathematics. In 1945, shortly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there were no Korean mathematics Ph.D. holders, less than ten bachelor degree holders, and only one person with a master's degree in mathematics. We investigate the reasons for this. Korea has to overcome such an unforgiving condition and rebuild quality education programs in higher mathematics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se debilitating circumstances in higher mathematics were considerable obstacles in developing a higher level of mathematical research for the mainstream of 20th century world mathematics. We study policy and curriculums of Korean school mathematic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ith some educational and socio-political background.

  • PDF

Analysis o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Comparison between Mathematical Processe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Mathematical Practices in CCSSM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적 과정과 CCSSM의 수학적 실천의 비교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 Lim, Miin;Chang, Hyewon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1
    • /
    • pp.1-18
    • /
    • 2015
  • The mathematical processes are strongly emphasized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mathematics and are expected to be complemented and extended in 2015 revised on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rocesses are being implemented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select some elements which need complementation. To do this, we selected the mathematical practices of CCSSM as a reference, because it plays the corresponding role in the United States to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 Korea. We recognized common elements and different elements between the two and analyzed. Considering those, we searched the possibility of newer mathematical process and analyzed the 4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in relation to questions for mathematical practices. We provided the results of analyses and several suggestions for revising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조작활동의 지도 방안

  • Kim, Chang-Il;Kim, Sin-Jw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83-192
    • /
    • 2002
  • 자기 주위의 상황과 그 물체에 대한 직감(intutive feeling)을 뜻하는 공간감각은 수학교육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수학과 과학에서 다른 영역을 공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주위의 구조와 대칭성을 볼 수 있게 도우며, 모든 수학에서 창의적 사고를 지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되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여역에 ‘공간감각 기르기’를 신설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공간감각 지도의 변천과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 영역의 학습 내용을 비교,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영역의 학습내용을 살피고, 현행 7차 교육과정에 의거 초등학교 2학년의 공간감각 영역의 교수 ${\cdot}$ 학습과정을 실제 적용, 이후 아동의 학습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여러 가지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러한 수업으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감각 영역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몇 가지 기술하였다.

  • PDF

International Comparison of Ways in which Competencies is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France, Australia and British Columbia in Canada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에 대한 국제 비교: 프랑스, 호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를 중심으로)

  • Kwon, Jeom-R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4 no.2
    • /
    • pp.135-16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method of reflecting the competencies in Korea mathematics curriculum, by analyzing what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foreign mathematics an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foreign countries were reflecting their competenc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in various ways. In France mathematics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learning competencies(compétences travaillées) that students should reach by cycle were presented, and the related common competencies(socle commun) were indicated. In Australia's mathematics curriculum, the general capabilities for achievement standards were identified, and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proficiency strands to be reached by grade level were presented. British Columbia's mathematics curriculum actively reflected its competencie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domains were reorganized based on th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mpetencies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n improving the ways in which were reflected competenc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러시아 초등(1-4) 수학교육의 개별적 접근

  • Sin, Hyeon-Yong;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41-61
    • /
    • 1999
  • 현대 사회의 가장 커다란 특성들 중의 하나는 사회의 다양성과 급속한 변화에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초등학교에서부터 학습자들의 개인적인 특성, 인성, 수학적 흥미를 고려한 수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의 초등학교(1-4학년) 수학 교육에서 다양한 학습자들의 수학적 재능과 흥미를 고려하기 위해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교육과정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 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육의 다양성 추구를 위한 몇 가지 가능성들을 제시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 Kim, Hyeo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43-156
    • /
    • 2010
  •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학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수학, 교육학, 심리학 등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으로 Wittmann(1984)은 수학교과의 특성상 변하지 않는 요소들을 교수단위(Teaching Units)라 하고, 수학교육을 통합시키는 개념으로 교수단위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요소에 따라 작은 단위로 조직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학연구자나 교사는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조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나아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학년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단위가 수학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도형영역의 교수단위(TU)는 특징과 제목에 따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도형영역 교육과정은 대체로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적용형이 개념알기형보다 조금 더 많다. 이는 도형영역 교육과정이 학습한 개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활동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도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 되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수단위(TU)는 수업자가 도형학습주제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맞춤자료를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학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수단위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보완되고 진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많은 수학연구자나 현장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된 교수단위를 교사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