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교수학적 내용지식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strument)

  • 강문봉;김정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9-537
    • /
    • 2014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수학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추출하고, 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수학 교수 효능기대, 수학 교수 결과기대,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념, 교사의 과거 수학학습 경험에 대한 신념,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기대라는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에 기반하여 30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I)를 개발하였다.

  • PDF

수÷0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CK about N÷0)

  • 임미인;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57-673
    • /
    • 2015
  • ${\div}0$은 수학사에서도 드러나듯이 인식론적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교수 학습 상황에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연산이다. 우리나라의 현행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수${\div}0$을 다루고 있지 않지만, 초등학교 수학에서 0을 포함한 범자연수를 다루면서 수${\div}$수를 지도하고 있기 때문에 수${\div}0$에 대한 질문이 학생들에 의해 종종 제기되곤 한다. 이에 대한 교사의 명확한 이해와 학생 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지도는 학생들의 계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개념 및 오류를 방지하여 후속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div}0$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PCK 관련 중 내용지식 수준과 그들이 생각하는 수${\div}0$의 적절한 지도 방법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부 초등교사는 수${\div}0$과 그에 대한 적절한 지도 방법을 알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로부터 몇 가지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중등 수학 예비 교사들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성향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Disposition about Methods of Instruction Which Is Based on Shulman's Pedagogical Reasoning)

  • 이광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25
    • /
    • 2009
  • 본 연구는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성향을 알아봄으로써 그러한 성향을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충분히 활용하여 예비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사고를 확장시켜, 반성적 사고에 적합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은 조사발표, 수학의 실용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많이 갖게 되었으며 실제와 가장 가까운 모의 수업을 가장 선호했다. 조사발표에 대해서는 고쳐야 할 부분이 있다는 의견을 드러내었다. 이로 볼 때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과 실제를 봉합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수학 교수 학습 과정과 관련된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관심과 민감성을 높여 줌으로써 더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하는 기반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that Learn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 남윤석;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1호
    • /
    • pp.75-9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student teaching. A qualitative case study provided an in-depth description of the whole three weeks of student teaching process. Four pre-service teachers and two mento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data collection techniques were used; classroom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document analysi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 pre-service teachers learn PCK of mathematics in designing mathematics lessons, understanding mathematics learners and delivering mathematics lessons and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they experienc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about some suggestions to pre-service program and future research.

  • PDF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 Study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rea of Plane Figure)

  • 박선영;강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95-5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설문지와 수업 관찰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PCK의 '수학 내용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넓이의 개념, 넓이와 길이의 속성 구분을 정확히 이해하고 배열구조를 지도의 대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2) PCK의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 목표를 넓이의 개념 이해와 공식의 이해를 균형적으로 설정하고 평가해야 한다. (3) PCK의 '수학 학습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설명 위주의 오류수정 보다 넓이의 개념의 이해에 대한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4) PCK의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서에 대한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교과서의 활동을 보완하여야 한다.

  • PDF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학교과서에 관한 연구 -구세프의 실험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xtbook Considered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 -Laying Stress on the Gusev's Experimental Textbook-)

  • 한인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37-48
    • /
    • 2004
  • 본 연구는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학교과서에 관한 문헌연구로서, 러시아의 기하교육자인 Gusev의 실험용 기하교과서에 제시된 교과서의 체제, 학습 내용 및 연습문제의 틀과 내용을 분석하여 수준별 수학교육을 위한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에서 1999년에 걸쳐 저술된 5∼11학년의 기하학 실험교과서를 본문 내용, 연습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PDF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Pre-service Program at College of Education Based on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5
    • /
    • 2007
  •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여러 가지 교사 재교육에 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근원적으로 전문성 있는 예비 교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원 양성 체제를 위한 연구 및 개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30명의 중등 수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 당시 어떠한 교육 내용이 다뤄졌는지, 또 그러한 교육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의 수학 수업과 연관되어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향후 예비 교사 양성을 위하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에 어떠한 교육 내용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문제 만들기를 통해 알아본 교사의 내용지식 사용에 대한 결정과 수행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Teachers' Decision and Enactment of Their Content Knowledge Assessed Through Problem Posing - A U.S. Case)

  • 노지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53-1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가 문제 만들기 과제를 위해 분수곱셈지식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해의 정도와 유형을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대학 교사교육과정의 입문단계와 종료단계에 있는 총 164명의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분수곱셈에 대한 문장제 문제를 작성하게 하고, 이를 수학적 정교성과 작성한 문제에 사용한 분수곱셈의 의미의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교육과정 입문단계와 종료단계의 예비교사 그룹 간의 차이점, 각 그룹, 그리고 전체적인 경향에 대해 기술하였고, 분수곱셈 지도와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CK of Teachers on Plane Figure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 곽주철;류희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3호
    • /
    • pp.423-441
    • /
    • 2008
  • 교사의 수업 실제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학과 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교사의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의 특징을 알아보고, 교사의 PCK를 구분한 후 분석 준거에 의거하여 교사의 수학 수업의 실제를 관찰 및 분석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3학년 평면도형 단원을 선정하여 네 명의 서로 다른 PCK를 갖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PCK와 수업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PCK 수준에 따라 교사의 수업은 다르게 전개되었으며, PCK가 풍부할 때와 PCK가 부족할 때의 수업은 큰 차이를 보였다.

  • PDF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Semiotic Analysis on A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Process in th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 김선희;김태익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53-367
    • /
    • 2013
  • 본 연구는 한 예비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서를 기호의 표현체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단위 변환 내용을 대상체로 볼 때, 예비교사의 교과서 분석은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들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체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은 한 가지 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기호 공간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가 교수 자료를 도해로 구성했을 때 수업을 염두에 둔 실험과 반성의 단계에서 예비교사의 추상적 연역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사고 과정을 기호학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기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분야의 연구가 다방면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