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교사신념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情意)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87-3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수학 학습과 관련하여 정의적인 면에서 갖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Hannula(2012)가 수학 학습자 개인의 정의적 요인 분석을 위해 개발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조사 대상 학생의 성취 수준, 학년, 성별에 따라 기술통계 및 일원분산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정의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동일 설문지로 이미 핀란드와 칠레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Tuohilampi et al., 2013; Tuohilampi et al., 2014b)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학년 변인이 정의적 요인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정의적 요인의 인지와 동기 측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연구 결과와 우리나라, 칠레, 핀란드 3개국의 초등학생들 사이에 나타나는 수학 학습의 정의적 특성 면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초등교사로 하여금 정의적인 면에서의 수학 수업 개선에 필요한 방법론적 고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의 정량·정성 분석 - 두 자리 수 범위의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Problem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Carry on in the Range of Two Digit Numbers -)

  • 장혜원;도주원;윤정민;이대현;남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747-764
    • /
    • 2017
  •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수학은 문제의 답을 구하는 것이라는 신념이 강하기 때문에 교과서에 제시되는 문제가 특히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문제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수학 교과서의 두 자리 수 범위의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 관련 문제를 문제 빈도, 형태 및 수행 요구, 활용 주체의 정량적 차원에서, 문제의 표현과 맥락의 정성적 차원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는 교육과정 및 교육사조의 변화를 반영하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생들의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교과서 집필 시 다루어야 할 문제와 관련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오인정;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9-28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nfluences of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co-friendly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Methods: A total of 399 teachers teaching 3,4 and 5-year-old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the Sobel test. Results: First,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Second, with teacher's career as the control variabl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have more influence in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an the other variable. Thir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re important factor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rograms that increas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i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6
    • /
    • 2013
  •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을 살펴봄으로써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011년 10월에서 11월까지 서울소재 2개 대학과 지방소재 2개 대학 가정교육과 학생들과 서울소재 A대학의 국어와 수학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일반적 관심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보통이상이나 사회적 인식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국어나 수학교육과와 비교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학교에 따라서도 학과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학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고려하는 직업으로 타과교사와 전공 비관련 직업을 들었고 가정교사는 가장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관련 직업을 고려하는 학생들이 전공 비관련 직업을 고려하는 학생들보다 학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학과, 학교, 학년, 성별, 고려직업 모두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수준은 학과만족도 중 일반적 관심 만족에만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가정교과가 사회에서 꼭 필요하고 타 교과와 차별화되는 교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가정교과의 패러다임을 확립하고 이에 따른 교과과정으로 개편하여 가정교과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교과내용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교수방법을 개발 사용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학생들의 가정교육에 대한 신념과 열의를 높여 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생들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진로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진로상담 등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