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표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imulation of wetland storage volume using a classificatio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model (분류 기반의 인공지능 예측 모델을 이용한 습지 저류량 모의)

  • Ji yu Seo;Ha eun Jung;Jeong Hoon Lee;Sang D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0-270
    • /
    • 2023
  • 습지 생태계는 복잡한 물리적 생지화학적 프로세스의 상호작용이 있으나,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습지 생태계에서의 물순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일 것이다. 또한 지역적인 물 균형 및 생태계 보전에서 습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도 습지 물순환에 대한 정량적인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습지 물순환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인 관측 자료들은 현장 측정으로 획득하기 어려운 자료이거나 비용적인 문제로 인하여 관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ntinel-2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습지의 유입량을 추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반도 동남부의 낙동강에 위치한 주요 다목적댐의 자료를 활용한 분류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이 설계된다. 인공지능의 학습을 위한 입력자료는 아래와 같은 절차에 의해 만들어진다. 1) 다목적댐의 수위-물 체적 관계를 이용하여 수위-수표면적 관계 곡선 도출. 2) 수위-수표면적 관계 곡선과 DEM을 활용하여 물과 육지 영역을 구분하는 식별자를 도출. 3) Sentinel-2 위성 정보와 물-육지 식별자를 비교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설계. 4) 위성 정보의 물-육지 정보로부터 미계측 습지 지역의 물과 육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도출. 이러한 과정을 경유하여 추정된 습지의 수표면적과 습지 지역의 DEM을 결합함으로써 습지의 수위-수표면적-물 체적 관계 곡선이 산정되어, 최종적으로 습지의 유입량이 모의된다. 모의된 습지 유입량은 다양한 수문 모델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검증된 수문 모델을 활용하여 습지의 물순환의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n the Damage Status by Diagnostical Methodology for the Improvement Landscape on the Supyo-bridge at Chunggae-stream (청계천 수표교(水標橋)의 경관 향상을 위한 진단학적(診斷學的) 훼손상태 분석)

  • An, Jin-Sung;Choi, Ah-Hyun;Kim, Yu-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8 no.3
    • /
    • pp.105-113
    • /
    • 2010
  • This study is for the preservation plan of the tradition space which is performed by the damage status analysis through performing the value assessment. Especially, it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finding the process and methods by analyzing the major element for the value assessment of the selected object's damage status through the expert group who are systematized in their interest to conserve the traditional structure in traditional space. For that purpose, this study should be performed by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Supyo-bridge and the condition of the selected site's environment. Meanwhile, this study has been done that 'map of the damage status distribution' for making records of damage status of the Supyo-bridge on the property utilized field measurement adapted by photogrammetry and assessment guidelines, which are for investigation on damage status of objects that are standardized 'Raccomandazioni Normal' which could be said construction culture assets management guidelines of Italian government.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damage status of each part in the Supyo-bridge was mostly composed of damage by sediment and corrosion and in case of 9 damage types including corrosion,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status of those elements, it is made an judgement that is not working as a threatened factor regarding security of the Supyo-bridge. On the contrary, for the improvement landscape, in case of 'Thermoclastism' phenomenon observed in 'upper floor', 'Myungae stone' and 'bridge pier' is that when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that is widely distributed concentrated on the bridge pier, surface reinforcement job along with elimination of damage part will be judged to be requested for earliest treatment.

저층방류 해석을 위한 수치모의

  • Kim, Chul;Kim, D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2a
    • /
    • pp.93-111
    • /
    • 2004
  • 온수 방류방식의 분류는 냉각수 공급방식별로 냉각수 통과방식(once-through cooling system)과 냉각수 재순환방식(closed-cycle cooling: system)으로 구분된다. 배출구조별 분류는 수표면방류 방식(surface discharge type)과 수중방류 방식(submerged discharge type)으로 구분된다. 국내 외의 연구결과 수중 방류방식이 희석효과가 좋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국내의 발전소에서는 대부분 수표면방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중략)

  • PDF

An Numerical Analysis of 2-Dimensional Surface Buoyant Jets by k-$\epsilon$ Turbulence Model (이차원표층방류밀도분류의 k-$\epsilon$ 모델에 의한 수치해석)

  • 최한기;허재영;강주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7a
    • /
    • pp.93-97
    • /
    • 1991
  • 수표면에 방류되는 온배수등의 흐름과 같은 표층방류밀도분류는 자유난류의 전단류 효과와, 방류수와 주위수의 밀도차에 기인하는 부력효과를 동시에 받는 흐름장을 형성한다. 또한, 이 흐름은 수표면 및 밀도계면에 의해 2 개의 자유경계에 둘러싸인 특이한 경계조건때문에 개수로 흐름으로 대표되는 자유전단류와 구별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