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평근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2초

해안 곰솔림 내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 (Inhibitory Factor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 정성철;구교상;김경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17-724
    • /
    • 2011
  • 본 연구는 해안 곰솔림에 생육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까시나무의 생장특성과 임내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다. 해안 곰솔림 내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 억제요인을 분석한 결과, 염분농도가 높은 0m 지점에서 잎의 갈변, 위조, 조기낙엽 현상이 나타나 염분이 아까시나무의 생장억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토양특성과 광환경은 식재지점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생장에 있어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해안측에 생장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수평근 연륜분석 결과, 2년생 개체의 근주에서 0.1~0.2m 떨어진 수평근 연륜에서도 1년 밖에 형성되지 않아 아까시나무의 수평근으로 영양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평근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수평근의 신장과 개체의 신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안측으로 아까시나무의 분포확대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기하학적 경계조건을 고려한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춤이 큰 보의 전단강도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Deep Beams with Geometric Condition)

  • 오정근;신성우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9-118
    • /
    • 1998
  • 전단거동에 의해 지배되는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춤이 큰 보의 전단역학적 거동 및 전단강도특성을 고려한 이론식을 제시하고자 소성이론에 근거한 극한해석에서 상계치정리를 이용하여 이론적 전개를 하였으며, 고강도 R/C춤이 큰 보의 전단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수직전단보강근 및 수평잔단보강근의 보강효과를 고려한 이론식을 제시하였으며, 수평철근 즉 주인장철근 및 수평전단보강근의 장부작용을 고려하였다. 실험결과와 비교할 때 제안식은 수직잔단보강근의 전단보강효과를 과대평가하고있으며, 수평전단보강근의 효과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 전단스팬비가 0.5, 0.85인 경우에는 제안식에 의한 값이 다소 낮게 나타내, 전단스팬비가 낮은 경우는 다소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D 프린터로 제작된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가동술(IASTM) 적용방법에 따른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ular Activity in Method with the Application of 3D Printer Maded Instrument Assistant Soft Tissue Mobilization(IASTM) Tools)

  • 태원규;강종호;박태성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77-182
    • /
    • 2022
  • 본 연구는 3D 프린터로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근육의 주행방향에 대해 강찰법 방향의 차이로 인한 근활성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성인 20명으로 진행하였고, IASTM을 근육 주행방향의 수직 강찰법 중재(수직군)와 근육 주행방향의 수평 강찰법 중재(수평군)를 적용하였으며 대상자를 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전과 후의 근활성도를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평군에서 근활성도가 감소하였으나 수직군에서 근활성도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IASTM의 적용에 방향성의 차이가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외측 익돌근의 수평적 형태와 측두하악관절장애 간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Horizontal Morphology of Lateral Pterygoid Muscle)

  • 정재광;권춘익;변진석;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49-15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관절장애와 외측 익돌근의 수평적 형태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대에서 50대까지 연령군별로 각 남녀 15명씩 임의로 선정한 총 150명의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수평면 및 시상면상에서 나타난 외측 익돌근 및 측두하악관절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해부학적 특성은 외측 익돌근의 최대폭경, 수평 부착각도, 관절원판의 위치, 과두의 변형여부, 관절 삼출액 여부 등이며, 또한 전이부의 통증여부, 과두 주변의 압통 유무와 같은 임상적 소견이 포함되었다. 이들 해부학적 특성 및 임상적 소견의 상호 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를 가진 경우 외측 익돌근의 부착각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전이부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최대 폭경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연령이 낮을수록 부착각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에서 최대 폭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외측 익돌근 수평 부착각도가 관절원판 변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으며 전이부의 통증이 최대 폭경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외측 익돌근의 높은 수평 부착각도가 관절원판 변위 발생의 중요한 해부학적 기여요인이 될 수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의 통증은 외측 익돌근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어깨-수평모음과 벌림) (Manual Therapy of Musculoskeletal Diseases(Shoulder-Horizontal Adduction and Abduction))

  • 김도관;신성윤;이현창;이양원;박기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8-13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에서 어깨에서 나타나는 질환을 살펴본다. 특히 어깨의 수평 벌림과 수평 모음에 대한 측정 방법을 살펴본다. 여기서 일정한 임계값보다 크게 나타나는 값은 도수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 PDF

전주의 실물인장실험시 토압계를 이용한 수평토압분석 (Horizontal Stress Analysis of Electric Pole using Earth Pressure Cell from Mock-Up Tension Test)

  • 안태봉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62-69
    • /
    • 2010
  • 연약지반에 시공하는 많은 콘크리트전주가 외부하중으로 전도파괴가 발생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물인장실험을 실시하고 근가위치, 근가깊이, 근가개수, 전주근입깊이를 달리하면서 전주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분석하였다. 실물실험은 10가지 종류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수평토압은 전주 근입깊이가 클수록 커지고 하부수동영역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가 설치위치가 깊을수록 하부수동영역 토압이 감소된다. 근가의 수를 4개 설치한 것이 G.L-0.9[m] 위치에서의 토압을 크게 줄였는데 이는 수직으로 80[cm]정도에 걸쳐 설치된 근가의 영향으로 판단되나 전체적으로 볼 때 근가의 수는 큰 차이가 없으며 근가를 다수 설치하면 굴착면적이 커져 되메우기 등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근가를 1개만 설치하여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연약지반에 시공된 전주의 실물인장실험을 통한 수평변위분석 (Horizontal Displacement Analysis of Electric Pole from Full Scale Pull-Out Test in Softground)

  • 안태봉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15-126
    • /
    • 2009
  • 연약지반상에 시공하는 수많은 전주가 태풍 등의 외부하중으로 전도파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가위치, 근가깊이, 근가개수, 전주근입깊이 등을 달리하며 연약지반에 실물크기의 전주에 인장실험을 실시하여 전주의 수평 변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주는 10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변위는 근가의 위치 및 수량, 전주기초의 근입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초기하중 재하시 상부에서 굴절된 양상을 보이다 점증하중에 따라 전주의 중앙부로 굴절의 양상이 전이되었다. 근가위치는 G.L(-) 0.5[m]인 상태에서 전주기초 깊이 1.3[m]를 추가로 근입시 최대 수평변위는 약 1.6배의 감소를 보여 전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근가의 수는 근가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변위에 유리하나 큰 차이는 아니며 근가를 다수 설치하고 굴착면적이 커져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근가를 1개만 설치하여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어깨의 수평 모음과 수평 벌림에 대한 치료 (Manual Therapy for Horizontal Adduction and Abduction)

  • 신성윤;이현창;안우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99-10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근골격계 질환 중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어깨의 질환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어깨를 옆으로 반드시 폈다가 안으로 오므리는 수평 벌림과 수평 모음에 대한 측정 방법을 살펴본다. 여기서 일정한 임계값보다 크게 나타나는 값인 통증 유발에는 반드시 도수 치료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