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출입화물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Cargo Management of Export and Import Logistics in the Shipbuilding & Marine Equipment Industry (조선기자재 수출입물류 화물관리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heon, Young-Wook;Lee, Chang-Woo;Shin, Yong-Joh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0 no.6
    • /
    • pp.469-47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cargo management issues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equipment industry. Problems are analyzed concerning the absence of information about exact cargo location and condition, damage, loss, replacement, and transportation delays during the import and export process. Then, improvements are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To illustrate, real time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and location of cargo should be communicated between import/export and logistics companies to facilitate material logistics for shipbuilding & marine equipment. In addition, a standard cargo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duce delivery delays and mistakes, so then enhancing logistical efficiency.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nurture professional shipbuilding & marine equipment forwarders to strengthen their expertise with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조선기자재 수출입물류(輸出入物流) 화물관리에 관한 연구

  • Cheon, Yeong-Uk;Kim, Jeong-A;Sin, Yong-J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9-221
    • /
    • 2016
  • 이 연구는 조선 및 해양산업의 기반이 되는 조선기자재 산업의 수출입 물류 과정에서의 화물의 정확한 위치 및 상태에 대한 정보부재와 손상, 분실, 교체, 운송 지연 등의 화물관리 상의 문제들을 살펴보고, 이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ospect of Attracting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into Gunsan Port (군산항 유치가능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추정 연구)

  • Park, Hyoung-Cha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4 no.2
    • /
    • pp.71-90
    • /
    • 2008
  •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of Jeollabukdo are handled at Gunsan port, which just hold 6.60% of the total amount 264,120 TEU. The rest of them, reaching 94.40%, are handled at Gwangyang port(55.90%), Busan port(34.15%) and other(4.45%).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handled at Gunsan port are 31,715 TEU that hold only 0.20% of all cargos in Korea. On the other hand,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handled at Shanghai and Qingdao port are 26,912 TEU which hold 80.15% of the total handling container cargos at Gunsan port. If 50% of container cargos produced in Jeollabukdo are handled at Gunsan port, the total handling container cargos will be 130,000 TEU. And if the container cargos reaching 1,947,069 TEU which are using other ports can be attracted to Gunsan port, it is expected that around 190,000 TEU will be increased in the quantity of goods. The total container cargos of Shanghai and Qingdao port not handled by the nearest ports are 383,184 TEU. If Jeollabukdo attract around 10% of those cargos into Gunsan port, about 38,000 TEU container cargos will be handled at Gunsan port.

  • PDF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

  • 최형림;김현수;박남규;박영재;김성훈;이현철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408-416
    • /
    • 1999
  • 우리 나라의 수출입은 대부분 항만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출입 전체적인 흐름에서의 정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육상물류와 해상물류와의 정보흐름이 단절되어 육상물류부문에서 생겨나는 원천정보를 활용할 수 없다. 또한 각 선사를 비롯한 해운대리점과 관련업계, 그리고 정부기관들이 독자적인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어 정보의 중복성, 불일치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물류망의 경우 망업자라는 한계와 독자적인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지 못함으로써 항만관련업자나 기관들에 보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의 수출입 물동량 중 가장 비중이 높은 컨테이너 화물을 대상으로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모든 정보를 원천지에서부터 입수하여 이를 통합 관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육상과 해상의 정보흐름을 유연하게 연계시킴은 물론 데이터의 불일치, 중복성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 된 통합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컨테이너화물의 수출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구조화하였으며, 또한 수출입상의 EDI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통합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코드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웹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정보의 입력과 조회 및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

  • 최형림;김현수;박남규;박영재;김성훈;이현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1999.10a
    • /
    • pp.207-215
    • /
    • 1999
  • 우리 나라의 수출입은 대부분 항만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출입 전체적인 흐름에서의 정보교환이 원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육상물류와 해상물류와의 정보흐름이 단절되어 육상물류에서 생겨나는 원천정보를 활용할 수 없다. 또한 각 선사를 비롯한 해운대리점과 관련업계, 그리고 정부기관들이 독자적인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어 정보의 중복성, 불일치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물류망의 경우 망업자라는 한계와 독자적인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지 못함으로써 항만관련업자나 기관들에 보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의 수출입 물동량 중 가장 비중이 높은 컨테이너 화물을 대상으로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모든 정보를 원천지에서부터 입수하여 이를 통합 관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육상과 해상의 정보흐름을 유연하게 연계시킴은 물론 데이터의 불일치. 중복성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통합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컨테이너화물의 수출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구조화하였으며, 또한 수출입상의 EDI 업무를 지원하기 D NL해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코드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제공하고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돌고 웹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정보의 입력과 조회 및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 수출입컨테이너화물의 내륙기종점(O/D)에 관한 연구

  • Lee, Ho-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44-145
    • /
    • 2013
  • 우리나라는 수출입화물의 99% 이상이 항만을 통해 해외로 운송되고 있는 관계로 해상화물 운송이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해상화물은 크게 일반화물(벌크화물)과 컨테이너화물로 구분되는데 컨테이너화물은 갈수록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국내 물류망 개선뿐만 아니라 물류비 인하와 관련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화물의 운송에 대한 기초 연구들은 사회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기준 우리나라 컨테이너화물의 내륙기종점(O/D)에 관한 연구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국내 수출입컨테이너의 주요 항만별, 수입 수출별, 내륙시도별 분포 현황을 살펴 본 후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Standard of Imports and Exports in Wood Packing Material (나라별 수출입 화물 목재포장재 소독처리 기준)

  • Korea Packaging Association INC.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150
    • /
    • pp.129-139
    • /
    • 2005
  •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재철)가 주최하고 국립식물검역소, 한국수출입식물방제협회, 한국중량물포장협회, 한국파렛트협회가 주관하는 수출입 화물 목재포장재 검역 설명회가지난 달 6일 트레이드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설명에서는 $\Delta$ 우리나라 수입목재포장재의 검역요건 $\Delta$ 목재포장재 수출입절차 및 주의사항 $\Delta$ 목재포장재 대체용기를 소개했다. 본 고에서는 나라별 수출∙입 화물 목재 포장재 소독처리 기준을 살펴본다.

  • PDF

수출입화물 목재포장재 검역요령

  • 국립식물검역원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191
    • /
    • pp.106-123
    • /
    • 2009
  • 국립식물검역원이 수출입화물목재포장재 검역요령(안)을 발표했다. 이는 식물방역법 개정에 따라 수입화물의 목재포장재 검역요령(식물검역원 고시 2006-14호)과 수출화물의 목재포장재검역요령(식물검염원 고시 2006-8호)을 통합하여 민원인의 편의를 증진하고 검역관이 활용하기 편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법안은 현행 목재포장재검역요령 중에서 국제기준과 현실에 맞지 않거나 일선 검역관 및 업체에서 개선을 요구한 사항을 반영했고, 이해하기 쉽도록 산재되어 있거나 중복된 내용을 간결하게 하고 "열처리업체운영정보시스템"구축에 맞게 서식 등을 정비했다. 본 고에서는 검역요령 법안과 함께 소독처리마크와 마크표지 방법 등에 대해 살펴본다.

  • PDF

Study on the Selection of Transport Route for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st (환경비용을 고려한 수출입컨테이너 화물의 운송경로 선택에 관한 연구)

  • Kim, Sang-Hyun;Koh, Chang-D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7 no.2
    • /
    • pp.155-162
    • /
    • 2003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election of transport route for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based on the sacrifice model and environmental cost of transport route. At first, the sacrifice model, environmental cost of transport, the volumes and the transport share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are investigated briefly. And next, the transport time and cost, the environmental cost which is caused by cargo transport are investigated for the transport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from Busan Port to Seoul. And also we calculate the sacrifice of each route by using the sacrifice model including the environmental cost. Finally we decide the transport route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by using the sacrifice of each transport route.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confirm that the road transport share decreases and the coastal transport share increases when the environmental coast of transport is considered.

Study on the selection of transport route for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based on the environmental cost (환경비용을 고려한 수출입컨테이너 화물의 운송경로 선택에 관한 연구)

  • 김상현;고창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304-310
    • /
    • 2003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election of transport route for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based on the sacrifice model and environmental cost of transport route. At first, sacrifice model. environmental cost of transport, the transportation and the transport share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are investigated briefly. And next, the transport time and cost, the environmental cost which is caused by cargo transport are investigated for the transport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from Pusan Port to Seoul. And also we calculate the sacrifice of each route by using the sacrifice model including the environmental cost. Finally we decide the transport route of import-export container cargo by using the sacrifice of each transport route.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confirm that the road transport share decreases and the coastal transport share increases when the environmental coast of transport is consid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