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spect of Attracting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into Gunsan Port

군산항 유치가능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추정 연구

  • 박형창 (전북발전연구원, 호원대학교 무역경영학부)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of Jeollabukdo are handled at Gunsan port, which just hold 6.60% of the total amount 264,120 TEU. The rest of them, reaching 94.40%, are handled at Gwangyang port(55.90%), Busan port(34.15%) and other(4.45%).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handled at Gunsan port are 31,715 TEU that hold only 0.20% of all cargos in Korea. On the other hand,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handled at Shanghai and Qingdao port are 26,912 TEU which hold 80.15% of the total handling container cargos at Gunsan port. If 50% of container cargos produced in Jeollabukdo are handled at Gunsan port, the total handling container cargos will be 130,000 TEU. And if the container cargos reaching 1,947,069 TEU which are using other ports can be attracted to Gunsan port, it is expected that around 190,000 TEU will be increased in the quantity of goods. The total container cargos of Shanghai and Qingdao port not handled by the nearest ports are 383,184 TEU. If Jeollabukdo attract around 10% of those cargos into Gunsan port, about 38,000 TEU container cargos will be handled at Gunsan port.

전라북도에서 발생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264,120TEU 중에서 군산항에서는 6.60%만이 처리되고 나머지는 광양항과(55.90%) 부산항(34.15%), 기타항(4.45%)에서 94.40%가 타항만에서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산항에서 처리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은 31,715TEU로 전국항만 대비 0.20%를 처리하고 있으며, 중국의 상해항과 청도항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이 전체 26,912TEU로 군산항 전체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처리물량의 80.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라북도에서 발생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50%만 군산항을 이용해도 약 130,000TEU을 유치할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적권역을 이용하지 않고 타항만으로 유출입되는 1,947,069TEU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약 10%만 군산항으로 유치한다면 약 190,000TEU의 물동량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중 중국의 상해항과 청도항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중 최적권역을 이용하지 않은 타항만을 이용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은 총 383,184TEU로 이중 약 10%만 군산항으로 유치하면 약 38,000TEU의 컨테이너화물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