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축생성기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5초

수축생성기에 기반한 비선형 수열의 분석 (Analysis of nonlinear sequences based on shrinking generator)

  • 조성진;최언숙;김한두;안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12-41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수축생성기(Shrinking Generator)의해 생성되는 비선형수열의 성질을 분석한다. 또한 수축생성기에 의해 생성되는 비선형 수열을 삽입수열로 해석하여 제어레지스터에서 생성되는 수열의 성질을 이용하여 출력된 수축수열의 위상이동차를 분석하여 가로챈 일부 수열로부터 원래 수열을 복원해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위상이동차를 이용한 수축 생성기의 분석 (Analysis of Shrinking Generator Using Phase Shifts)

  • 황윤희;조성진;최언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507-2513
    • /
    • 2010
  • 원시다항식을 특성다항식으로 갖는 두 개의 LFSR로 구성된 수축 생성기를 삽입 생성기로 해석하고, 생성된 수열들 간의 위상이동차(phase shift)에 대하여 분석한다. 또한 위상이동차를 이용하여 수축 생성기에 의하여 생성된 수열의 부분수열을 알 때 나머지 수열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의 수축-삽입 수열의 분석 (Analysis of Shrunken-Interleaved Sequence Based on Cellular Automata)

  • 최언숙;조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283-2291
    • /
    • 2010
  • 스트림 암호시스템에 사용되는 불규칙 시각 제어 생성기인 수축수열 생성기는 두 개의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로 구성되며 이 생성기에 의해 생성되는 수열은 비선형수열임이 알려져 있다. 두 개의 최대길이를 갖는 90/150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의 비선형수열 생성기는 각 셀에서 동일한 특성다항식을 갖는 의사 난수열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LFSR에 의해 생성되는 수열에 비하여 주기와 선형복잡도가 높은 비선형수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선형수열에 대한 분석으로 90/150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의 수축-삽입수열(shrunken-interleaved sequence)을 다룬다.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의 비선형수열 생성기에 의해 생성되는 수축-삽입수열을 삽입수열로 분석이 가능함을 보이고 출력 수열의 일부를 알 때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출력 수열의 일부를 효과적으로 재구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90/150 선형 CA를 이용한 90/102(170)/150 선형 CA 합성 (Synthesis of 90/102(170)/150 linear CA using 90/150 linear CA)

  • 최언숙;조성진;김한두;권민정;김석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885-892
    • /
    • 2016
  • 수축수열 생성기라고 하는 비선형 수열 생성기는 최대 주기를 갖는 두 개의 LFSR로 이루어진 비선형 키스트림 생성기이다. 이러한 수축수열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수축수열은 삽입수열로 한 부류에 포함되고, 셀룰라 오토마타(이하 CA)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축수열의 특성다항식과 동일한 특성다항식을 갖는 90/150 CA 기반의 수열생성기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CA기반의 수축생성기를 이용한 영상 암호 (Image Encryption using Shrinking Generator based on CA)

  • 최언숙;조성진;김한두;강성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9-184
    • /
    • 2020
  • 랜덤성이 우수한 의사난수열 생성기로 알려진 셀룰라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는 그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Cho 등은 긴 주기의 비선형 수열을 생성하기 위하여 CA기반의 수축수열 생성기를 설계하였다. 또한, 카오스 캣맵은 초기 조건에 대한 민감성과 예측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는 복잡한 비선형 동역학계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보안성을 위하여 최대 주기를 갖는 CA기반의 수축 생성기로 생성한 비선형 수열과 3차원 카오스 캣맵을 이용한 새로운 영상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새로운 자기 수축 발생기 (A New Class of Self-Shrinking Generators)

  • 최세아;양경철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88-91
    • /
    • 2002
  • 자기 수축 발생기(self-shrinking generator)는 Meier와 Staffelbach에 의해 제안되었으며[4], 구조가 간단하고 키수열을 생성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스트림 암호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5]. 본 논문에서는 자기 수축 발생기의 새로운 구성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자기 수축 발생기는 하나의 선형귀환회로와 주어진 짝수 m에 의하여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선형귀환회로의 귀환다항식으로 원시다항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키수열은 균형성을 만족하며, 선형귀환회로의 귀환다항식의 차수를 $d_{Y}$ 라고 하면 주기는 $d_{Y-2}$ 이다. m을 $2^{η}$ζ로 표현하면 선형복잡도 Lz는 $d_{Y}$ +η-3/$\leq$ $L_{Z}$ $\leq$m/2($d_{Y}$ -1 - ($d_{Y}$ -2))이다. 따라서 제안된 자기 수축 발생기는 기존의 자기 수축 발생기에 비하여 암호학적으로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다.

  • PDF

가수분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의 pH 응답성 (Response of hydrolyzed polyacrylonitrile fibers to pH)

  • 우종형;서영삼;윤기종;조재환;정재윤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5-346
    • /
    • 2003
  •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NaOH로 가수분해시키면 carboxylate anion과 carboxamide기가 생성되며, 물을 흡수할 경우 sodium carboxylate기의 해리로 팽윤이 크게 일어나므로 고흡수성을 지니게 된다[l]. 일반적으로 섬유가 팽윤을 하면 수축하며,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는 흡수되는 물 속의 염의 농도 또는 pH에 따라 팽윤도가 다르기 때문에 가수분해된 시간과 pH조건 변화에 따라서 수축하는 정도가 다르다. 과거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크릴 섬유는 2M HCI에서 최소의 길이로 수축하며, 2M NaOH에서 최대의 길이가 나타난다고 하였다[2]. (중략)

  • PDF

엉겅퀴 유래 Silymarin의 단독 및 알코올 병용 시 혈압 조절 효과 (The Effect of Silymarin and Ethanol Intake on Vascular Contractility)

  • 제현동;민영실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31-137
    • /
    • 2022
  • 역학 조사에서 알코올 섭취와 고혈압 증가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서 이번 연구에서 엉겅퀴 유래 silymarin의 단독 및 알코올 병용 투여에서 혈관수축 억제능을 관찰하였고 아직 불분명한 수축성 조절 기전에 대해 효능제 선택적 조절 가설을 수립하여 조사하였다. 내피가 손상된 혈관이 수조 내 현수되었고 혈관에 의한 기계적 신호가 등장력 변환기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생리측정기에 표시되었다. 저농도의 ethanol과 silymarin은 혈관 내피에서 산화질소 생성 작용 외에 평활근에 대한 직접 작용으로 동맥의 수축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추측되었는데 인위적으로 내피가 손상된 동맥에서 ethanol과 병용된 silymarin이 silymarin 단독에 비해 굵은 미세섬유성 조절성 수축약 (fluoride, thromboxane mimetic)에 의한 혈관 수축 억제에 차이가 없었고 silymarin 단독에 비해 가는 미세섬유성 조절성 phorbol ester에 의한 혈관 수축억제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silymarin 단독은 내피 의존성 산화질소 생성과 내피에 비의존적으로 평활근에서 주로 ROCK 활성 감소에 참여하여 결과적으로 평활근에서 악틴-미오신 상호작용을 억제하여 혈관을 이완시키고 ethanol은 내피 의존성 산화질소 생성 외에 평활근에 대한 작용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불포화 공극 보정 수화도 모델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예측 (Prediction of Autogenous Shrinkage on Concrete by Unsaturated Pore Compensation Hydration Model)

  • 이창수;박종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A호
    • /
    • pp.909-915
    • /
    • 2006
  •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을 예측하기 위해 기존 수화도와 자기수축의 진행 속도 차이를 불포화공극 생성 속도로 가정하고 시멘트 페이스트의 자기수축 실험을 통하여 물-결합재비에 반비례하는 불포화공극 보정계수를 산정할 수 있었다. 이를 자기수축 기여 성분과 미기여 성분이 고려된 변형 Pickket 모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을 예측하였으며, 실험값 및 기존 Tazawa 모델과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불포화공극 보정계수에 의한 자기수축 예측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강도의 함수로 설정된 기존 CEB-FIP 자기수축 예측 모델의 경우 최종 자기수축률과 자기수축 발현 시간함수에 대하여 다소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바지락 단백질 Thermolysin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 Peptide의 특성

  • 이태기;염동민;박영범;김선봉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97-98
    • /
    • 2001
  • 순환기계 질병의 원인이 되는 동시에 뇌출혈, 심장병 및 신장병 등과 합병증으로 나타날 경우 치사율이 매우 높은 만성 퇴행성 질환인 고혈압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본태성 고혈압은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하는 기구들이 천천히 붕괴되어 진행되는 질병이다(Frohlich, 1982). 이러한 본태성 고혈압의 원인 중에서 reninㆍangiotensin계가 혈압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지고 있다(Saxena, 1992). 즉, angiotensinogen이 renin의 분해를 받아서 angiotensin I을 생성하는데, 이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에 의하여 COOH 말단의 dipeptide가 절단되어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angiotensin II를 생성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