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축변화

검색결과 1,126건 처리시간 0.026초

넙치육의 사후 물리적 변화에 미치는 브라인 온도 및 침지시간의 영향

  • 박대찬;이기봉;김태진;한인근;조영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56-157
    • /
    • 2001
  • 살아있는 근육의 수축 mechanism은 신경전달 체계에 의하여 근소포체내의 $Ca^{2+}$이 세포내로 유리되어 농도가$10^{-5}$M이상일 때 일어나며, $Ca^{2+}$이 근소포체로 되돌아가면서 근육이 이완되는 가역적인 반응으로 단시간에 일어난다. 이런 방법으로 살아있는 활어의 근육수축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여, 근육이 수축된 상태로 죽게하면, 육질의 단단한 상태가 되므로 더 쫄깃쫄깃한 생선회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무수석고와 C12A7계 슬래그를 사용한 수축저감제 및 모르타르 특성 (Properties of shrinkage reducing agent and mortar used Anhydrite and C12A7-based slag)

  • 박수현;추용식;서성관;박재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01-1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CA계 슬래그와 무수석고를 사용하여 수축저감제를 제조하였으며,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와 건조수축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축저감제를 첨가하였다. 모르타르의 응결시간, 길이변화율 및 압축강도는 수축저감제의 배합비율에 따라 변화하였다. 슬래그가 0~7%까지 첨가된 모르타르는 슬래그 첨가량 증가에 따라 응결시간이 짧아졌으며, 7일까지의 길이변화율은 유사하였다. 7일 양생조건의 압축강도는 $C_{12}A_7$계 슬래그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 $C_{12}A_7$계 슬래그가 6% 첨가된 모르타르의 28일 강도는 약 36 MPa이었으며, 35일에서의 건조수축율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C_{12}A_7$계 슬래그가 6% 첨가된 모르타르에서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 (Changes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Total Appearance Value (TAV)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Dry Cleaning)

  • Jee, Ju-W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59-13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복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및 프레스로 처리 후 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 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FAST시스템과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직물의 형태안정성에서 주요인자인 습윤팽창(HE)은 접착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보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모직물의 습윤팽창(HE)의 조절시 접착심이 습윤팽창(HE)의 안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완화수축(RS)은 접착 후 조금 감소하였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프레싱 처리 후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직물이 수축하고 볼륨감이 생김으로 완화수축(RS)은 더욱 감소하였다. 모직물의 완화수축(RS)의 조절시 프레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직물의 의복형성능(TAV)은 접착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 직물이 좀더 부드러워지고 볼륨감이 생기면서 의복형성능(TAV)은 적게 향상됨을 보인다. 이와 같이 3가지 처리는 서로 보완되어 모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처리 유·무에 따른 레이온직물의 열수축과 열안정성에 미치는 안정화 공정 조건의 영향 (Effect of Stabilization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Thermal Shrinkage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Rayon Fabrics Untreated and Surface-Treated with Phosphoric Acid)

  • 조동환;이종문;박종규
    • 접착 및 계면
    • /
    • 제5권3호
    • /
    • pp.10-1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레이온직물에 대하여 승온속도, 안정화온도, 분위기가스, 화학적 표면처리 등 여러가지 조건에서 안정화공정을 행한 후, 직물의 열수축과 열안정성, 그리고 미세구조에 미치는 공정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레이온직물의 열수축과 중량변화에 인산처리 유무와 승온속도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인산처리를 한 경우가 하지 않은 경우보다 레이온직물의 두께변화는 약 80%, 길이변화는 약 20%, 그리고 중량변화는 약 26%가 줄어드는 열수축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안정화 된 레이온직물의 열안정성에는 안정화온도와 인산처리 그리고 분위기가스와 승온속도 등 주어진 안정화공정 조건 모두가 영향을 주었다. 또한 안정화섬유의 표면 상태 및 섬유직경 변화도 공정 전에 행한 인산처리의 유무에 의존하였다.

  • PDF

양생 조건이 콘크리트의 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uring Conditions on Volumetric Changes in Concrete)

  • 이광명;선우주연;이회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31-33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양생 조건하에서 W/C가 0.32~0.50인 콘크리트의 체적 변화를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콘크리트의 팽창뿐만 아니라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을 측정하기 위해 4개의 서로 다른 양생 방법이 적용되었다. 밀봉을 통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한 양생(조건 I)에서의 콘크리트는 자기수축만을 나타내었으며, W/C가 낮을수록 자기수축이 증가하였다. 처음 6일간 수중 양생한 후 $20{\pm}1^{\circ}C,\;60{\pm}3%$ RH의 조건에 노출시킨 기건 양생(조건 II)에서는 콘크리트가 팽창하였다가 수축하였다. 최대 팽창량은 $15{\sim}40{\pm}10^{-6}$ 정도였으며, W/C가 0.32인 콘크리트에서 가장 큰 전체 수축(자기수축+건조수축)량을 보였다. 처음부터 기건 양생(조건 III)한 콘크리트의 전체 수축은 양생 조건 II에서보다 증가하였다. 6일간의 밀봉 양생 후 기건 양생(조건 IV)한 경우에는 전체 수축이 양생 조건 III에 비해 다소 줄어들었다. 양생 조건 I, III, IV에서의 수축 결과로부터 순수한 건조수축량을 구할 수 있으며, 전체 수축량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W/C가 증가함에 따라 건조수축이 증가하였다. 이는 W/C가 큰 콘크리트에서는 건조수축이 전체 수축을 지배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W/C가 낮은 콘크리트인 경우 전체 수축에서 자기수축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균열 발생 측면에서 자기수축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고강도 또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전체 수축은 적절한 초기 수중 양생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등가재령 방법에 의한 혼화재 치환 고강도 시멘트 모르타르의 자기수축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Mortar incorporating Mineral Admixture by Equivalent Age Method)

  • 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0-1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양생온도변화에 따른 자기수축의 예측을 위하여 FA 및 SF를 치환한 시멘트모르타르를 대상으로 자기수축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등가재령방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화반응의 온도민감도를 고려하는 Ea의 변화에 따라 지수함수모델을 이용하여 자기수축 해석을 실시하였는데, 경화단계의 $E_a$를 이용할 경우 응결단계의 $E_a$를 사용한 경우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화의 전단계에 걸친 수화의 온도민감도 영향을 반영한 $E_a$값에 기인된 결과로 사료된다.

집성재의 접착층수에 따른 치수안정성 (Dimension Stability by Bonding Layers of Glulam)

  • 황권환;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88-95
    • /
    • 2008
  • 내구성과 관련하여 구조부재의 수축문제가 목구조에서는 커다란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목재 소재를 적극 활용하는 전통공법에서는 짜맞춤 부위, 부재와 벽 등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에 의한 갈라짐 등의 결함이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 기둥-보 공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국내산 낙엽송 집성재의 이용에 있어서도 함수율변화로 인한 수축과 팽윤에 대한 검토를 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낙엽송 소재와 접착층수를 달리한 낙엽송 집성재의 시험편에 대해 다양한 함수율상태에서의 치수변화율을 살펴보았다. 건조수축에 의한 치수변화 억제효과는 3층 이상의 접착층을 가지는 시험편에서 그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소재를 사용할 경우 최종사용조건에 맞추어 건조를 충분히 행하거나, 구조부재로 집성재를 이용함으로써 건조수축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심근섬유증의 정도에 따른 심실의 전기역학적 특성 분석

  • 이지영;임기무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6회(2017년)
    • /
    • pp.653-655
    • /
    • 2017
  • 심근섬유증은 심장에서 전도 장애를 일으키며 심부전증상을 발생시킨다. 심근섬유증으로 인한 심장박동현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실의 유한요소 모델을 설계하고 무작위로 전도 블록을 생성하여 심근섬유증을 적용하고 그 비율을 조절하였다. 심근섬유증의 비율에 따라 전기생리학적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계 수축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심실의 수축 변화를 확인하였다. 심근섬유증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좌심실의 압력이 감소하고 박출되는 혈액량과 박출계수, 심장박동의 효율이 감소하였다.

  • PDF

금형온도가 Cavity Filter 성형품의 치수 및 외관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mold temperature on the part dimension and surface quality of the injection molded cavity filter)

  • 김동학;김태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59-36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무선부품의 일종인 cavity filter 금형을 제작하였고, 도금용 ARS 수지와 PC/ARS Alloy 수지를 사용하여 일반사출성형과 금형온도가 높은 MmSH방식, 두 타입으로 성형품을 제작하였다. 성형품의 수축률 변화는 MmSH 방식일 때 ABS 수지로 제작한 성형품의 단위캐비티 격막부분에서 수축률이 감소되었다. 중량변화는 ABS와 PC/ABS Alloy로 제작된 성형품 모두 MmSH 방식일 때 증가하였고. 성형품의 표면 거칠기도 모두 MmSH 방식일 때 거칠기가 감소되었다.

  • PDF

공극 내 상대습도, 모세관압력, 표면에너지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자기수축 (Relation between Autogenous Shrinkage of Concrete and Relative Humidity, Capillary Pressure, Surface Energy in Pore)

  • 이창수;박종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31-138
    • /
    • 2008
  • 물-결합재비가 낮은 고성능콘크리트의 자기건조에 의한 습도감소와 수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결합재비 0.3, 0.4의 배합에 대하여 습도와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물-결합재비 0.3의 콘크리트 내부 습도 감소는 약 10%, 수축변형률은 약 $320\times10^{-6}$을 나타내었고, 물-결합재비 0.4의 콘크리트의 경우 4%의 습도 감소와 $120\times10^{-6}$ 수축변형률을 나타내었으며 배합에 상관없이 습도와 변형률은 모두 강한 선형성을 보였다. 콘크리트 내부 습도 변화와 수축변형률의 관계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내부 공극을 단일 네트워크로 가정하고 확장 메니스커스 생성가정 하에 공극수에서 발생하는 모세관 압력과 수화조직체에서 발생하는 표면에너지 변화를 습도의 함수로 모델링하여 수축의 구동력으로 작용시킨 결과 실험값과 비교적 일치하는 값을 나타내었다. 이를 근거로 물-결합재비가 낮은 고성능 콘크리트에서 자기건조에 의한 습도감소는 20 nm 이하의 소형공극에서 발생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자기수축에 대한 제어 방안은 이러한 소형공극에서의 공극수 표면장력과 포화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