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관리방안

Search Result 56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pplication methodologies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수자원 계획수립을 위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방안)

  • 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27-227
    • /
    • 2012
  • 본 연구는 수자원계획 문제에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선택의 차이가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는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와 대안들의 평가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문제를 위해 가중합계법, Compromise Programming, 계층화분석과정, 수정된 계층화 분석과정, 가중곱방법, TOPSIS, ELECTRE-2, Regime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최근 사용빈도가 높은 삼각형 Fuzzy 숫자와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결합한 기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는데 Fuzzy WSM, Fuzzy 계층화분석과정, Fuzzy 수정 계층화분석과정, Fuzzy TOPSIS, Fuzzy Compromise Programming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 조건과 표준화 방법이 동일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금씩 다른 순위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MCDM 기법들을 적용해도 동일한 순위로 나타나는 대안들이 있었다. 따라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사용한 수자원 관리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해서 기법의 선택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해야 한다. 두 번째 문제는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와 대안의 효과 정량화 자료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각각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유량확보와 수질개선을 위한 수자원 계획 수립을 위해 가중합계법을 이용한 문제에 두 경우의 민감도 분석을 모두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결정계수와 민감도 계수를 산정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수자원 관리 및 계획 분야에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기초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 PDF

Changes and Influences of Stream Water Quantity due to Urbanization: Focusing on Urban Streams in Gyeonggi-do (도시화에 따른 하천수량 변화 및 영향_경기도 도심하천을 중심으로)

  • Noh, Huiseong;Jo, Dongho;Kim, Yonsoo;Ahn, Taeji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91-500
    • /
    • 2017
  • Stream water quantity is the most basic, fundamental and important element for stream water quality and for conserv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uses of changes in stream water quantity based on the percentage of impervious surface area (%ISA) in urban streams of Gyeonggi-do, and also to present a method to secure water quantity of urban streams in Gyeonggi-do and data to be applied to River Management Policy. For this purpose, the Anyangcheon watershed, the Tancheon watershed, and the Osancheon watershed were selected as samples of the urban streams. In addition, the stream water quantity and the changes in stream water quality which were based on the amount of ISA, and methods to directly and indirectly secure stream water quantit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mounts of ISA of the Anyangcheon watershed, of the Tancheon watershed, and of the Osancheon watershed showed a 5.32%, 6.32%, and 7.22% increase, respectively, from 2014 which was approximately 10 years ago. The runoff coefficient genera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ISA was increased. Water reuse quantity of stream in the Tanchon watershed had a positive effect on securing stream water quantity, but both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and in the Osancheon watershed, i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at. However, water reuse quantity of stream improved the water quality of each stream.

The Study on Constructing Underground Wall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on Coastal Areas (지하수댐 물막이벽 시공법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 방안)

  • 부성안;이기철;김진성;정교철;고양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2 no.2
    • /
    • pp.215-234
    • /
    • 2002
  • Groundwater Dam is one of the reliable techniques to get huge amount of groundwater abstraction for municipal, agricultural, drinking,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t can be a major technique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when it based on the sufficient watershed, proper topology, and adequate aquifer distribution and pollution control, Groundwater Dam had initiated its construction by RDC(former KARICO) in early eighties in Korea and 4 of it in total were added more until late eighty. However, this technique has shrunken its application due to gradually decreased yield rate after sever years of construction. After we studied several existing sites precisely, we concluded that the main reason of decreasing yield rate was come form engineering roughness on construction in early nineties. Theoretically, the technique itself seemed to be little detectives however, there were a little application in the fields in Korea. With the recent advance in engineering fields, those defects in construction would be no longer obstacle to construct underground wall and the technique could be a one of major ground water production technique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study following items thoroughly before select the appropriate site. The topography and the site of the underground wall, aquifer distribution, the specific technique for wall construction to block groundwater flow effectively and strict quality control during construction are critical.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monitoring data should be collected. Sustainability of the Groundwater Dam with huge groundwater abstraction in long term should be based on the long-term water balance analysis for each site.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effect analysis and maintenance achedule should be also analyzed and planned in prior. It is suggested that the two consecutive underground wall in the coastal area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beneath a single wall.

Study for coping with water shortage analysis: Imjin-River Basin in dry season (임진강 유역 갈수기 물 부족 원인 분석에 따른 대응 방안 연구)

  • JANG, Suk-Hwan;LEE, Jae-Kyung;LEE, Hyo-Sang;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1-261
    • /
    • 2016
  • 임진강 유역은 우리나라와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속하는 유역으로서 임진강은 북한에서 발원하여 남한으로 흘러 한강으로 유입되는 공유하천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유역은 이수, 치수, 수질, 환경 측면에서 타 유역에 비해 불안요소가 많은 지역이므로 남북한의 관계 개선을 통한 효과적인 대책 수립에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집중호우와 태풍의 영향 등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로 인하여 이에 따른 대책과 많은 계획 등이 수립되었고, 북한의 무단방류에 따른 사고로 인하여 피해로 인하여 이를 극복하고, 홍수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군남홍수조절지, 한탄강홍수조절댐을 건설하여 홍수에 따른 선제적 대응과 주민 피해 등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근 경기북부를 포함한 임진강 유역의 가뭄으로 인한 유량의 감소로 인하여, 2014~2015년의 파주 장단반도 일대의 농업용수 부족과 하구의 조위, 즉 염도에 의한 영향으로 하류부 급수 불량 등 이수적 측면에서 주민들의 피해 문제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유역에 위치한 기상 수문관측자료(2000년~2015년)를 이용하여 다음 내용을 연구하였다. 첫째로 수문기상인자들의 경향성 분석을 통하여 임진강 유역의 유량 감소 원인을 파악하였으며, 수문기상인자들의 감소에 따른 영향과 북한 댐건설에 따른 유역변경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적으로 임진강 유역의 유량은 감소추세에 있으며, 북한 댐건설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최근 2014년과 2015년의 유량 감소는 강수량의 감소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북한 댐건설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임진강 상류를 대상으로 하천유출모형인 PDM을 이용하여 장기유출모의를 수행하였으며, 모의결과 북한 댐건설에 의해 유출특성이 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임진강 유역 갈수량을 추정하고 물 부족량 및 필요수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 댐건설 이후를 기준으로 물 부족량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필요 수량을 제안하였다. 또한 최근 2014년과 2015년과 같은 비상시에 대한 필요 수량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안한 필요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댐 담수 및 연계운영, 신규 수자원 확보 방안, 남북 공유하천 공동 관리 방안 등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Improvement Method for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of a Landfill by Applying Total Pollutant Load Concept (오염총량 개념을 적용한 매립장 사후관리종료제도 개선 방안)

  • Chun, Seung-Kyu;Sim, Nak-Jong;Jeon, Eun-Jeong;Ryu, Don-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2 no.2
    • /
    • pp.15-23
    • /
    • 2021
  • A method of improving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of a landfill that reflected total pollutant load was applied to the SUDOKWON 1st Landfill Site.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remaining methane, when compared to the total maximum potential of 2,521 × 106 Nm3, was estimated to be 8.8% in 2020, 7.0% in 2030, and 6.5% in 2040. If the average oxidation rate of 89.1% in 2005-2019 was applied, the ratio decreased by 1.01% in 2020, 0.76% in 2030, and 0.70% in 2040. This suggests that if the amount of methane generated is all e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landfill after 2025, the real amount emitted to the atmosphere is less than that in 2019; therefore, the post-management end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the quality of leachate water, effluent criteria for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an be satisfied in 2024, while those f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Total Nitrogen (T-N) can be satisfied in 2047 and 2117, respectively. If the post-management end system changed based on total pollutant load, the post-management can be terminated BOD today and COD within a few years; however, the fact that T-N could be terminated only after 2041 shows the need to fundamentally change management methods.

A Function and Weight Selection of Ecosystem Service Function for the Eco-friendly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in Agricultural Landscape (시설원예단지의 친환경적 조성을 위한 생태계서비스 기능 및 가중치 산정)

  • SON, Jinkwan;KONG, Minjae;SHIN, Yukung;YUN, Sungwook;KANG, Donghyeon;Park, Minjung;LEE, Siyo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533-541
    • /
    • 2017
  • Agricultural landscape has many ecosystem service func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horticulture complex has no considerati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refore, we analyzed the priorities of ecosystem service functions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s a result of the first survey, 17 functions were selected to be improved. In the second survey, 12 functions were selected excluding 5 functions. Finally, 1. Measures for water purification, 2. Groundwater recharge plan, 3. Surface water storage space, 4. Flood control measures, 5. Vegetation diversity space, 6. Carbon emission reduction plan, 7. Aquatic insect habitat space, 8. Amphibian reptiles 9. Landscape and Waste Management, 10. Bird Species Space, 11. Heat Island Mitigation Plan, 12. Experience / Ecological Education Plan. We proposed the structure, capacity, flow rate, arrangement and form of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to improve water quality by improving the function. We proposed a reservoir space of 7-10% for groundwater recharge. The development of reservoir and storage facilitie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is suggested for the surface water storage and flood control measures. And proposed to secure a green space for the climate cycle. Proposed habitat and nutrient discharge management for biodiversity. We propose green area development and wetland development to improve the landscape, and put into the facilities for experienti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horticultural complex.

Improvement Manual for Waterworks Facilities to Reduce the Damage of Volcanic Ash (화산재 피해 저감을 위한 상수도시설 대응매뉴얼 개선방안)

  • Yoon, Hyoung-Uk;La, Da-Hye;Lee, Gyeng-Bin;Kim, Min Gyu;Chung, Il-M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2
    • /
    • pp.267-276
    • /
    • 2018
  • Volcanic ash from volcanic eruptions spreads to vast areas hundreds of kilometers away, and when volcanic ash flows into surface waters, it will be damaged by water supply. In case of water supply facilities, it provides to people drinking water and domestic water, be consumed by the people cause social disorder when water supply is cut off due to damage such as water pollution caused by harmful materials of volcanic ash. However, when we looked at the disaster management manual, the establishment of a water supply facility manual to deal with the damage of volcanic ash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isting volcanic and water pollution related manuals were analyzed and problems were derived. In order to make quick situation judgment and response activities, we have suggested the scope of the water supply facility manual, disaster type, major missions and system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scenario of crisis situation by disaster type.

Outbreak of Hepatitis A caused by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a Long-term Psychiatric Hospital in Korea (장기 요양 정신병원에서 지하수 오염에 의하여 발생한 A형간염 집단발병)

  • Keun-Sang Kwon;Myung Ok Lee;Hee Ju Bae;Jung Im Park;Cheon-Hyeon Kim;Ju-Hyung Lee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8 no.2
    • /
    • pp.71-80
    • /
    • 2023
  • 목적: 2017년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한 장기요양 정신병원(H병원)에서 A형간염 환자가 집단 발병하여 이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조치 결과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출기간 동안 H병원의 근로자 및 재원 환자 234명을 대상으로 사례군 조사 디자인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고, IgM, IgG 혈청검사 및 A형간염 바이러스(HAV)에 대한 PCR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오염원으로 의심되는 지하수, 병원에서 제공되는 식품 및 인근 저수지의 물에서 HAV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출된 HAV는 유전형 검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H병원 환자 및 직원 234명 중 IgG 양성인 168명을 제외한 66명 중 19명이 최종적으로HAV 감염자로 확인되어 감수성자 중 발병률은 28.8%로 나타났다. 환자, 지하수, 식품(석박지) 및 저수지에서 동일 유전형의 HAV가 검출되어 지하수 오염에 의한 집단발병으로 결론 내렸으나, 최초 오염원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유행 종결 선언 이후 지하수에 대한 관리로 염소소독과 UV 조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HAV가 검출되어 새로운 관정을 개발하여 상황을 종결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장기요양 정신병원에서 지하수 오염에 의한 19명의 HAV 집단발병을 조사하였다. HAV 항체가 없는 대상자 중에서 HAV의 높은 발병률을 확인하였다. 지하수 수질검사에서 바이러스 검사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가 HAV에 오염시 HAV 집단발병 가능성이 높고 상당기간 지속적으로 검출되기 때문에 지하수에 대한 관리지침에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방안을 추가하고 관련 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Low Impact Development Scenario Designing for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using SWMM-ING Software (SWMM-ING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대규모 도시개발부지에 대한 저영향개발 시나리오 설계)

  • Woo, Won Hee;Lee, Hanyong;Choi, Hyun Seok;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4-304
    • /
    • 2021
  •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지역이 늘어나는 등 개발전과 다른 지표 및 지표하 유출이 나타나며, 이러한 변화는 생태적, 수문학적으로 대규모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물관리, 물순환 등 물 지속 가능성은 대중의 관심을 받아 법, 제도가 변화하며 도시화에 대한 세심한 접근과 관리에 대한 계획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은 이러한 도시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제안되고 있으며 첨두 및 유출총량을 완화하여 개발 이전 상태의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거나 물리학 및 생물학적 기작을 통해 오염물질의 저감효과도 나타나 대규모 도시개발 및 유역관리 사업에서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저영향개발기법 설치에 관한 구체적인 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저영향개발기법이 계획단계에서 양적으로 무분별하게 적용되어 비용적 측면에서 시공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시설의 위치에 따라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원 저감에 대한 효과가 상이하기 때문에 시설의 적정 위치선정 및 시설용량, 경제성을 고려한 시설효과 검토 등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시 사업부지 특성에 따른 최적화를 고려하여 계획 및 설계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비용적 측면을 고려한 최적설계가 가능한 SWMM-ING(Storm Water Management Model -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proGram)을 개발된 바 있다. SWMM-ING은 비전문가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저영향개발기법 최적화과정이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비용을 고려한 최적설계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로 기법 적용시 개략적인 비용추정 및 배치선정 등 저영향개발기법의 설계최적화가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저영향개발기법에 대한 초기설치비용, 유지관리비용, 이자율, 기대수명, 대상지역 내 공간적 위치를 반영하여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저감효과를 시나리오별로 제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MM-ING를 이용하여 대규모 도시개발부지의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에 따른 유량 및 수질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유지관리비를 포함한 비용을 추정하여 최적설계 검토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Suncheon Bay (순천만 수저질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sook;Heo, Sung-sil;Choi, Jeong-min;Wo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10
    • /
    • 2019
  • 순천만은 순천시의 남쪽에 위치하여 여수반도와 고흥반도의 사이에 있는 만 지형 형태로 만 전체를 순천만이라고도 하나, 보통 고흥군반도와 여수반도 사이의 만을 여자만이라 하고 만내부에 위치한 여자도라는 섬의 위쪽으로 순천시의 해안하구에 형성된 지역을 순천만이라 일컫는다. 순천만은 순천시에서 유입되는 동천과 이사천 및 해룡천의 하류에 형성되어 있어서 육지부에서 유입되는 퇴적물과 유기물로 인하여 갯벌과 갈대등이 잘 형성된 습지로서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 갯벌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004년에는 동북아 두루미 보호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였고, 2006년 1월 국내 연안습지로는 최초로 람사르협약에 "Suncheon Bay"로 등록되었으며, 2016년 6월에는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습지이다. 순천만습지에 형성되어 있는 갯벌($28.0km^2$)은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로서, 넓은 사니질 갯벌과 갈대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는 생태계의 보고(寶庫)이자 소중한 생태자원으로서, 순천시에서는 순천만을 자연생태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각종 자연학습자료들과 영상물들을 갖춘 생태전시관과 갈대숲 탐방로, 용산전망대, 야생화 정원, 담수습지, 갈대정자, 갯벌관찰대 등 사계절 생태체험을 위한 각종 시설들을 잘 갖춰놓고 많은 관광객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갯벌은 바닷가의 넓은 벌판이란 뜻으로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갯벌의 전체 면적이 약 $2,500km^2$에 달하는데 여기에는 많은 종류의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으며 어민들의 생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있다. 이러한 갯벌은 퇴적된 입자의 구성에 따라 펄갯벌, 모래갯벌, 혼합갯벌 등으로 구별되는데 이에 따라 갯벌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들의 종류도 바뀌게 된다. 순천만갯벌과 여기에 조성되어 있는 습지환경에 따라 확인되고 있는 수산자원으로는 새꼬막, 꼬막, 눈알고둥, 갯고둥, 비툴이고둥, 돌조개, 접시조개, 새알조개, 가무락조개, 바지락, 우럭, 가재붙이, 방게, 칠게, 농게 등의 저서 생물들과 짱뚱어, 문절망둑 등의 어류가 있으며, 해조류로 우뭇가사리 등이 있고, 인근의 어민들의 어업형태는 꼬막 등 패류의 채취나 종패를 뿌려 일정기간 양성하여 수확하는 양식업, 육상부에서 폐염전 등을 활용한 전어나 새우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 수산물을 직접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잡는 맨손 어업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인근의 어민들의 생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순천만의 습지는 뻘층이 깊고, 분해성 미생물이 다양하게 서식하여 유기물 분해능력이 뛰어나며, 유기영양분이 풍부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질이 좋은 습지로 평가되고 있으나, 순천시 등 순천만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인간의 활동에 따른 간섭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끊임없는 생태환경이 변화하고 있어서 순천만의 효율적인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생태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수 저질 환경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오염물질의 70% 이상은 하천이나 강을 통해서 해역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생태계의 보고(寶庫)라고 알려진 순천만의 지속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유입수계 하천의 수질현황 및 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천만의 수저질 특성과 여기에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환경 현황 및 오염원을 파악함으로써 순천만의 보전을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순천만의 수질평가지수에 의한 등급(WQI)은 III등급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득량만, 광양만 등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기물 및 T-N, T-P의 농도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순천만에 유입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와 도시하수가 유입되어 그대로 방류되고 있는 해룡천 및 연안에 위치한 어촌으로부터 직접 방류되고 있는 일부 정화조 유출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의 관리가 부실할 경우 순천만의 갯벌과 습지의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유지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순천만 연안의 오염물질 방류를 총량관리로 전환하여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