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댐 물막이벽 시공법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 방안

The Study on Constructing Underground Wall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on Coastal Areas

  • 부성안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지하수연구실) ;
  • 이기철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지하수연구실) ;
  • 김진성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지하수연구실)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 고양수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지하수사업부)
  • 발행 : 2002.06.01

초록

지하수댐은 대용량의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설로서 저류수는 유역조건과 대수층조건, 상류부 오염원 분포와 수질에 따라 상수도용, 중수도용, 농업용 또는 공업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지하수범 설치 방법은 용수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주요 기술의 하나이다. 지하수법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대수층 위치 및 지층에 맞는 적절한 차수공법의 선택과 정밀한 물막이벽 시공, 대수층 구조·수문·물수지 등의 정확한 분석, 장기적인 지하수 이용계획과 저류역내 수질보전대책 수립, 수위·수질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실시로 지속적인 유지관리, 지속가능한 대용량 취수기술에 대한 조속한 연구, 지하수댐 개발로 인한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저한 분석 및 대책 수립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해안지역 지하수법에서 발생하는 염수침입 현상을 방지하는 방안으로 물막이벽을 이중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Groundwater Dam is one of the reliable techniques to get huge amount of groundwater abstraction for municipal, agricultural, drinking,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t can be a major technique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when it based on the sufficient watershed, proper topology, and adequate aquifer distribution and pollution control, Groundwater Dam had initiated its construction by RDC(former KARICO) in early eighties in Korea and 4 of it in total were added more until late eighty. However, this technique has shrunken its application due to gradually decreased yield rate after sever years of construction. After we studied several existing sites precisely, we concluded that the main reason of decreasing yield rate was come form engineering roughness on construction in early nineties. Theoretically, the technique itself seemed to be little detectives however, there were a little application in the fields in Korea. With the recent advance in engineering fields, those defects in construction would be no longer obstacle to construct underground wall and the technique could be a one of major ground water production technique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study following items thoroughly before select the appropriate site. The topography and the site of the underground wall, aquifer distribution, the specific technique for wall construction to block groundwater flow effectively and strict quality control during construction are critical.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monitoring data should be collected. Sustainability of the Groundwater Dam with huge groundwater abstraction in long term should be based on the long-term water balance analysis for each site.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effect analysis and maintenance achedule should be also analyzed and planned in prior. It is suggested that the two consecutive underground wall in the coastal area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beneath a single wall.

키워드

참고문헌

  1. 지하수조사연보 건설교통부
  2. 地下水ソドブック 건설산업조사회(石崎등義 외)
  3.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차원 흐름모형을 이용한 지하차수벽의 투수특성규명 김희성
  4. 중국조사보고서 녹자원공단
  5. 한국지하수총람 농어촌진흥공사
  6. 소유역지하댐 개발에 관한 기술개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
  7. 이안지하댐 조사시험 보고서 농업진흥공사
  8. 이안지하댐시험사업준공보고서 농업진흥공사
  9. 이안지하댐사후평가조사보고서 농업진흥공사
  10. 한국수자원학회지 v.33 no.6 속초시 쌍천지하댐과 그 의미 박창근
  11. 연약지반의 약액주입공법에 대한 시공성 및 경제성 연구 안웅순;이태식
  12. Yokatsu subsurface dam project 오끼나와현(농림수산부 중부 농림토목사무소)
  13. 댐 그라우팅 설계 및 시공 실무지침서 장의웅;정형재;부성안;송성호
  14. 굴착공사와 지하수 정교철(역)
  15. 최신 지반주입(이론과 실제), 원기술 천병식
  16. 지하수환경과 오염 한정상
  17. Jour. JSIDRE v.68 no.11 中國大連市の地下ダム開發 金森信夫;小林勳;小德基
  18. 토목기술(1998, 번역 기술자료) v.6 no.1 원위치 교반공법을 이용한 지하댐 지수벽의 시공 今成康忠;戶田完一;稚野武文;伊勝不二夫
  19. JIID연구보고서 no.21 地下ダムの技術的特徵と課題にっぃて 吉田健治
  20. 水と土 no.106 光須地下ダ鹽水侵入量の檢討 原郁南;緖方博則;當락俟明
  21. 土と基礎 v.31 no.3 中國陝西省富平地下ダム試驗工學にっぃと 赤井浩一
  22. GROUND WATER v.24 no.4 Ground-Water Dams for Rural-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Hanson, G.;Nlsson, A.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6.tb0102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