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직위치

검색결과 1,371건 처리시간 0.024초

동력장을 고려한 높이결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in Height Determination considering Gravity Field)

  • 유복모;양인태;손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2-42
    • /
    • 1987
  • 지구중력장의 대국적 변동과 국지적 불등성은 수평위치의 정확한 결정뿐만 아니라 수직위치의 정확한 결정에도 중요한 작용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에 비추어 정확한 높이결정에 있어서 중력장의 영향에 관제되는 중력포텐셜론과 각종 높이의 개념을 고찰하고, 실측중력자료와 수준측량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높이를 산정하고 그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정밀수직위치 결정에 있어서 중력장이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부산~경주에 이르는 노선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중력장을 고려한 높이와 수준측량에 의한 높이차($\Delta$H)의 인접측점간의 비고 (dH)에 대한 비율($\Delta$H/dH)이, 보정식에 의한 값은 위도에 직선적으로 비례증가하고, 중력포텐셜에 의한 값은 위도보다 역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장교 시스템의 실용적인 초기형상 결정법 (Practical Determination Method of Initial Cable Forces in Cable-Stayed Bridges)

  • 송요한;김문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7-9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해석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장교 시스템의 초기형상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장교 시스템의 초기형상해석이라 함은 주형의 수직 처짐과 휨모멘트, 주탑의 수평변위와 휨모멘트를 최소화하면서, 고정하중과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케이블의 장력과 무응력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이때, 케이블이 정착되는 주형의 수평위치, 주탑의 수직위치가 변하지 않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형과 주탑의 케이블 정착부에서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하여 주형의 수직 처짐과 주탑의 수평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력 산정법을 사장교의 형태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으며, 2차원 사장교 예제들에 대하여 기존 연구의 방법들과 장력, 주형의 모멘트와 처짐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3차원 실교량에 대해 Improved TCUD법으로 초기형상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와 비교함으로서 본 방법의 정확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 적용

  • 송성호;이규상;김진성;성백욱;우명하;설민구;이병호;권병두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3-102
    • /
    • 2005
  • 변산반도 서부 해안지역의 소규모 유역에 대하여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의 범위를 공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시추자료를 포함한 전기비저항 탐사와 지하수의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다층 구조로 되어있는 대수층 내 지하수의 수질변화 특성을 효과적으로 탐지해 낼 수 있는 수직탐사법을 이용하였으며, 탐사결과 겉보기비저항 곡선은 H type에 해당함을 알았다. 시추에 의해 3층 구조로 밝혀진 연구지역에 대하여 총 30 지점에 대한 H type 수직탐사 자료의 1차원 역산결과, 중간층과 상/하부층의 비저항 크기 차이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고전도도 지역, 중간지역, 저전도도지역 등 3가지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15개 지점의 천부 지하수 관정에서 채취된 지하수 시료 분석결과를 TDS에 대한 HCO3/Cl과 Ca/Na 몰비로 도시하였는데, 그래프의 기울기에 따라 크게 2가지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수직탐사의 3가지 영역과 지하수 수질 분석에 의한 2가지 그룹을 비교한 결과 낮은 농도의 HCO3/Cl과 Ca/Na를 나타내는 관정은 고전도도 지역에 위치하며, 높은 농도의 HCO3/Cl과 Ca/Na를 나타내는 관정은 저전도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결과와 지하수 수질분석 결과를 복합 해석하는 경우 시추자료가 제한적인 해안지역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 범위를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수직 원형관내 자연대류 물질전달실험에서 양극의 면적과 위치가 한계전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node Size and Position on the Limiting Currents of Natural Convection Mass Transfer Experiments in a Vertical Pipe)

  • 강경욱;정범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1호
    • /
    • pp.1-8
    • /
    • 2010
  • 수직 원형관내 자연대류에 의한 열전달량을 $Gr_H$ 수 2.1x$10^6{\sim}2x10^9$의 범위에 대해 측정하였다. 유사성 원리를 이용하여 열전달계를 물질전달계로 대체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물질전달계는 황산-황산구리 수용액의 전기도금계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층류 및 난류에 대한 수직평판에 대하여 개발된 자연대류 열전달상관식과 비교한 결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Gr_H$$10^9$이상의 난류 영역에서는 수직관내에서 경계층간 간섭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직관에서의 실험결과가 수직평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일치는 유사성 실험의 유용성을 증명한다. 3가지 다른 형태의 양극과 6가지 다른 기하구조를 사용하여, 양극의 면적과 위치가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예상된 바와 같이 양극의 면적과 위치는 대부분의 경우 한계전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다 복잡한 실험에 있어서 양극의 크기와 위치를 지정하는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수직정원의 기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unda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Garden)

  • 홍광표;홍승훈;진혜영;이혁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01-306
    • /
    • 2020
  • 수직정원은 식물이 생육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이 있는 환경이다. 특히, 기반의 상부와 하부에는 불균형한 수분분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조명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기반의 하부에는 그늘이 발생하여 식물이 생육하기에는 절절하지 않다. 본연구에서는 Felt를 기반으로 하는 수직정원의 위치(상부, 하부 등)에 따른 물리적 특성(함수율, 조도 등)을 실증실험을 통하여 파악하고, 식재가반의 위치적 특성을 분류한 후, 기반의 위치적 특성에 맞는 관수량과 관수주기, 조명설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수직정원용으로는 4mm의 기반을 사용하고, 6시간에 한번 약 10분간의 관수를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식물이 충분히 생육하기 위한 빛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반의 상부와 하부에 보광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수실험, 조명실험을 실시한 결과, 기반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함수율이 낮고, 빛이 강한 것이 일반적인 결과이고, 하부는 상부에 비해 함수율이 높고, 빛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직정원에 도입하는 식물을 선정할 때에는 상기의 결과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기반의 특성을 활용한 식재실험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식물의 선정과 유지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지역에서 GPS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Transformation of GPS Coordinates in a Small Area)

  • 조규전;전재홍;차득기;어수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3-261
    • /
    • 1997
  • 일반적으로 GPS 좌표변환은 3-10개의 변환요소에 의하여 3차원좌표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우리나라 삼각점의 성과는 수평위차결정과 수직위치의 측정이 각각 독립적(2D+1D)으로 관측 및 조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 대한 경중률도 정확하게 결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3D)방식의 결정방법과 수평위치와 연직위치의 분리(2D+1D)형태의 독립변환변수에 의한 변환방법을 서울의 강남지역과 용인의 구소삼각지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통적인 3D변환방법보다는 2D+1D의 독립변환방식이 현재의 성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더 효율적이었다.

  • PDF

동일선상 위치들에 대한 지도 레이블링 (Map Labeling for Collinear Sites)

  • 김재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355-1360
    • /
    • 2020
  • 지도에서 특별한 지형지물에 이름이나 설명문에 해당하는 레이블을 붙이는 것을 지도 레이블링(map labeling)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직선상에 n개의 점들이 주어지고 점들에 대한 직사각형의 레이블을 위치시키는 문제를 다룬다. 특별히 레이블들의 높이는 모두 같고, 점들이 위치한 직선의 위쪽에 아래 변들이 모두 동일 선 위에 위치하도록 놓는다. 그리고 점과 레이블을 꺾은선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지시선이라 부른다. 지시선은 수직선만으로 구성된 직선 지시선과 수직선, 수평선, 수직선으로 구성된 꺾인 지시선으로 나뉜다. 문제는 꺾인 지시선의 수를 최소화하도록 레이블을 위치시키는 것이고, 우리는 O(nlogn) 시간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서 [13]에서 제안한 O(n2) 시간 알고리즘을 개선한다.

수직 접지면을 갖는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Planar Monopole Antenna with Vertical Ground Plane)

  • 정진우;이현진;임영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5호
    • /
    • pp.54-63
    • /
    • 2011
  • 본 논문은 수직 접지면을 갖는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 개선에 관한 논문이다.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 개선을 위해 기존 연구된 방사체 구조 변형 외에 수직 접지면의 영향을 이용하였다. 수직 접지면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연구인 보조 공진기 모드 이외에 다이폴 안테나 모드를 제안하였다. 수직 접지면의 각 동작 모드를 기반으로, 모노폴 안테나와 수직 접지면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을 개선하였다. 개선 방법은 안테나의 급전 위치 변경 및 수직 접지면의 면적 변화이다. 본 분석 결과는 수직 접지면을 갖는 다양한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을 개선 및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수직고경이 붕괴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치험례 (Orthognathic surgery on Skeletal Class III patiens with collapsed vertical dimension: case report)

  • 최윤경;김용덕;박수병;김용일;김성식;손우성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70-79
    • /
    • 2016
  • 치주 질환이나 치아 우식으로 인해 구치부 치아가 상실된 환자들은 대합치 정출 및 인접치 경사가 발생하여, 교합평면의 붕괴나 수직 고경의 상실로 하악골 위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악교정 수술 환자에서, 이런 증상이 나타날 경우 하악과두가 관절와 내에서 안정화된 위치에 존재하여 술 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술 전 수직 고경을 재설정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철, 교정, 구강악안면외과 등 다분야에서 진단 및 치료 계획에서부터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플란트 단일 치아 수복 시 수직 침하와 인접치와의 위치 변화: 증례 보고 (Axial displacement in single-tooth implant restoration: Case report)

  • 정승회;김선재;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26-133
    • /
    • 2021
  • 여러 연구에서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수직 침하에 대해 보고되고 있지만, 구강내 임플란트 지지보철물의 기능 시 수직침하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증례에서는 2명의 환자에서 구치부 단일 치아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3차원적인 변화를 평가하였다. 내부연결형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SCRP) 형태의 보철물을 제작해 장착하였다. 구강스캐너(Cerec Omnicam, Dentsply Sirona, USA)를 이용해 보철물 장착 시, 장착 1주, 1개월, 1년 후 구강 스캔을 시행하였으며 디지털 분석 프로그램(Geomagic Control X, 3D systems, USA)을 이용해 기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3차원적으로 평가하였다. 인접 치아를 기준으로 보철물 장착 후 임상적인 위치 변화가 나타났으며 변화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