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중 음향 재료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수중음향 윈도우 재료용 이층 구조 폴리우레탄의 기계적 물성 및 음향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성남;성시준;하현대;김병남;이강일;윤석왕;박정기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453-454
    • /
    • 2004
  • 수십 kHz 주파수 대역에서 수중음향 투과 특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 또한 우수한 수중음향 윈도우 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층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의 기계적 물성 및 수중음향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층 구조 폴리우레탄은 음향 투과 특성은 떨어지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보호층과 기계적 물성은 떨어지나 음향 투과 특성이 우수한 음향투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접착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층 구조 폴리우레탄 시편은 보호층의 도입으로 표면 경도가 60 (shore A) 이상이었으며 감쇠 계수는 1.0dB/cm 내외를 나타내었다.

  • PDF

서식처 유형에 따른 수중음향 평가 (Assessment of Underwater Acoustics according to Habitat types)

  • 구정은;정상화;강준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9-479
    • /
    • 2018
  • 하천의 수심, 유속, 하상경사, 하상재료, 만곡도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생물서식처로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그 특성들에 의해 서식처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서식처 유형에 따라 수중음향의 특성이 달라지며, 수중음향의 서식지의 양적 표시자로서 잠재력으로 인해 최근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적인 영향을 적게 받은 자연하천으로 양양 남대천 12개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서식지의 형태에 따른 수중음향과 하천의 수리적 인자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식처 유형으로는 빠른 유속에 얕은 수심을 가지고 있는 여울(riffle), 수심이 깊고 유속이 느린 소(pool), 낙차가 있는 계단형 여울(step riffle)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중배경음은 여울과 계단형 여울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경음을 나타내었다. H2, H4, H5, H9, H10 지점은 여울 형태로 유속에 따라 H2, H5, H4, H9 지점 순으로 음압레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H10지점은 H9, H4 지점에 비해 낮은 유속임에도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H10 지점의 하상이 조도가 매우 큰 전석으로 이루어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H3, H6, H7, H8, H12 지점은 소 형태로 H12 지점을 제외하고 대체로 낮은 음압레벨을 보였으며, H3과 H6지점에서는 저주파수에서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수심이 깊은 경우 상류의 저주파수의 음파가 잘 전달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H1과 H11지점은 계단형 여울로 낮은 수심에서 빠른 유속을 가진 H11지점과 느린 유속을 가진 H1 지점에서 대체로 높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다. 이는 낙차에 의한 수중음향 발생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수중 음향을 비교하였을 때 음압레벨은 계단형 여울, 여울, 소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중음향이 서식처의 수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물서식처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수중음향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저 잡음 수중 청음기의 설계 방안 연구 - Ⅱ. 음향 감쇠층 재질의 영향 - (Design and Evaluations of Underwater Hydrophone with Self Noise Suppressing Structures; - Part Ⅱ. Influence of Acostic Damping Layer Properties -)

  • 임종인;노용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17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구조 변경한 저 잡음 수중 청음기에서 사용되는 음향 감쇠층의 최적 물성을 제시하고 제작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향 감쇠층의 특성 중 재료 감쇠도와 음향 임피던스를 변화시켜 FEM (Finite Element Method)으로 과도 해석하여 재질 변경에 따른 잡음 응답 특성을 고찰 하였다. 그 결과 재료의 감쇠도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1 Mrayl 이하 혹은 4 Mrayl 이상의 음향 임피던스 값을 갖는 음향 감쇠층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흡음 재료로 사용되는 고분자 폴리머들은 본 연구의 수중 청음기용 음향 감쇠 층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고, 새로운 금속 혹은 세라믹-폴리머 복합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수중 음향재료의 음향성능 설계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coustic Performance Design Technique of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 서영수;함일배;전재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0호
    • /
    • pp.920-927
    • /
    • 2013
  • The requirement of acoustic performance about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hich is used in underwater environment more increases.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as made by visco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and a polyurethane etc. In order to increase an acoustic performance, several kinds of inclusions were added to viscoelastic material. In this paper, acoustic modelling and analysis techniques were introduced an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ere studied. Echo reduction and transmission loss were calculated with volume fraction of inclusion in the material. Also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and the input impedance of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ere obtained and effects on the echo reduction and transmission loss of material were discussed.

수중환경을 고려한 수중 음향재료의 반향음 감소성능 연구 (A Study of Echo Reduction of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Considering Ocean Condition)

  • 서영수;함일배;정우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84
    • /
    • 2014
  • The requirement of acoustic material which is used in underwater environment more increases. The material is used to reduce acoustic signature and radiate noise for underwater vehicle.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as made by visco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and a polyurethane etc. The mechanical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material change with hydrostatic pressure. In order to increase an acoustic performance according to hydrostatic pressure, several kinds of scatterers were added to viscoelastic material. In this paper, acoustic modelling and analysis techniques of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ith hydrostatic pressure were introduced and proposed. The specimens for pulse tube test were made and echo reductions were calculated and measured with hydrostatic pressur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echo reduction of the specimens with hydrostatic pressure were obtained and discussed.

  • PDF

수중 음향재료의 반향음 감소성능 연구 (A Study on the Echo Reduction Performance of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 서영수;함일배;정우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868-875
    • /
    • 2014
  • The requirement of acoustic material which is used in underwater environment more increases. The material is used to reduce acoustic signature and radiate noise for underwater vehicle.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as made by visco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polyurethane etc. The mechanical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material change with hydrostatic pressure. In order to improve an acoustic performance according to hydrostatic pressure, several kinds of scatterers were added to viscoelastic material. In this paper, acoustic modelling and analysis techniques of underwater acoustic material with hydrostatic pressure were introduced and proposed. The specimens for pulse tube test were made and echo reductions were calculated and measured with hydrostatic pressur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echo reduction of the specimens with hydrostatic pressure were obtained and discussed.

수중 SAW Device의 최적 설계법 (Optimal Design of Underwater SAW Devices)

  • 노용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32
    • /
    • 1990
  • 최근 신호 처리 기기와 센서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SAW Device 는 때론 목적에 따라 수중에서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러나 유체내의 고체 표면을 전파하는 표면파의 경우, 유체내로의 에너지 손실로 인해 설계상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최적 설계법으로서, 컴퓨터 모형해석을 통해 수중에서 압전물질에 의한 표면파의 최대 발진 효율, 최소 전파 감쇄율, 그리고 pure mode 전파를 이룰 수 있는 SAW Device 의 최적 geometry, 즉 초적 압전 결정 평면, 표면과 전파 방향, 그리고 무차원 전파 계수 들을 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파가 전파하는 고체 재료로서 PZT와 PVDF 적층, 그리고 쇠 하부층을 사용하였으나, 이 설계법은 임의의 유체층과 고체층의 조합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동일한 기술은 수중음향 계측기, antifouling, 그리고 산업 및 의료 분야 등에 쓰이는 센서와 발진기의 설계에도 바로 응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