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준 비교

검색결과 9,985건 처리시간 0.031초

대사에너지가 열 스트레스에 노출된 오리의 혈액 생체지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tabolizable energy on blood biomarkers in duck under heat stress)

  • 심준보;최두형;김창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141
    • /
    • 2017
  • 본 연구의 목표는 열 스트레스 하에서 오리사료 내 대사에너지(ME) 수준이 혈액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총 240마리의 육용 오리 채리밸리((Anas platyrhynchos)를 4처리구로 완전임의배치 한 후 42일 동안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ME 2900 kcal/kg, ME 3000 kcal/kg, ME 3100 kcal/kg 및 ME 3200 kcal/kg로 구분하였다. 혈액 지질 프로파일은 ME 3000과 비교할 때 ME 2900이 높았으나 ME 3100과 ME 3200은 낮았다 (p < 0.05). 혈액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수준은 ME 3000과 비교할 때 ME 3100과 ME 3200에서 증가하였다 (p < 0.05). 혈액 적혈구와 혈소판 프로파일은 ME 3000과 비교할 때 ME 3100과 ME 3200은 높아졌으나 ME 2900은 감소하였다 (p < 0.05). 혈액 전해질 가운데, chloride ($Cl^-$) 농도는 ME 3000과 비교할 때 ME 2900에서 낮아졌다 (p < 0.05). 혈액 가스와 $PCO_2$는 ME 3000과 비교할 때 ME 2900에서 감소하였다 (p < 0.05). 혈액 면역물질(IgG) 수준은 ME 3000과 비교할 때 ME 2900에서 줄어들었다 (p < 0.05).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론은 ME 3000과 비교할 때 ME 2900에서 높아졌으나 ME 3100과 ME 3200은 낮아졌다 (p < 0.05).

기술.가정과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Mentoring on Self-Efficacy in the 'Invention Technique and Practical Experience' Unit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지현;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5-85
    • /
    • 2012
  • 이 연구는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의 5차시에 대한 학습을 실험 집단에게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개별 수업을 적용하였다.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효능감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효능감에 대한 검사 결과는 사전 검사에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도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집단 내 사전, 사후검사 결과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자아효능감이 향상된 정도가 비교 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활동시작 능력기대, 활동지속 능력기대, 활동수행 능력기대, 경험극복 능력기대의 모든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멘토링 수업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개별 수업을 적용한 비교 집단보다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동료 멘토링 수업이 개별 수업보다 자아효능감에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교수 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즉,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지구와 달의 공전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 (The Effect of Observing Material on the Phase Change of Moon Considering the Orbits of Earth and Moon)

  • 박지현;현동걸;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23-34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의 공전 궤도와 $5^{\circ}$ 기울어진 달의 공전 궤도를 나타내는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교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시내 초등학교 6학년 110명의 학생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55명의 학생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55명의 학생은 현행 교과서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생들에게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사전, 사후, 지연 개념검사와 개념수준별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에 따라 '위상 인지', '우주적 관점', '지구적 관점', '인지 불가'로 개념 수준을 구분하였다. 사전개념검사에서 t-검정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개념검사와 지연개념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상위 개념 수준인 '위상 인지'에 속하는 학생 수가 많았다. 반구조화된 면담 결과 '위상 인지'와 '우주적 관점'에 속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더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따른 소집단의 구성 ${\cdot}$ 협동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전평국;이진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95-51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실에서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으로 소집단 구성을 달리하였을 때 정의적 영역에서 소집단 협동학습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간에 정의적 영역(수학적 태도, 자아존중감)에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간의 비교에서 어느 집단의 불안 수준이 정의적 영역(수학적 태도, 자아존중감)에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은 협동학습에서의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 형태이고 종속변인은 정의적 영역(수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인 원인비교 연구 설계(casual-comparative research design)를 세워 원인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방법이 수학과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 특히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위해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을 측정하여 이질 집단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집단 구성을 했을 때 이질 집단의 불안 하위수준 학생들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학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불안은 집단의 상호작용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 있고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이질 집단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집단 구성방법임을 시사한다.

  • PDF

마늘즙 투여가 납중독 Rat에 미치는 효과를 N-Acetyl Penicillamine 해독 효과와 비교 (Effect of Garlic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Compared with N-Acetyl Penicillamine Action)

  • 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3
    • /
    • 1996
  • 납중독에 대한 마늘의 antidotic effect를 조사하기 위한 4주간의 실험에서 , rat 체중 kg 당 중 (7일간) 1회초산납 100mg을 투여한 rat에 매일 마늘즙을 식이의 4%로 투여한 실험군(LG)과 초산납과 함께 중금속 해독제인 N-acetyl penicillamine을 매일 rat 체중 kg당 100mg 투여한 실험군 (LP)의 체중 증가율 비교에서 초산납만을 투여한 실험군(L)보다 LG군과 LP군 모두 유의성 있는 rat 성장률 개선효과 (각각 +13.3%과 +22.3%)를 보였다. L군 rat의 외관과 해부검사에서는 장기들(위, 간장, 신장)의 병변(damage)이 매우 미미하게 관찰되었으나 혈액검사에서 GOT, alkaline phos-phatase, blood uric acid,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bilitrubin 값이 유의적을 증가하여 납중독에 의한 장기(organs) 특히 신장 기능의 현저한 장해를 보였다. 그러나 LG군이 이들 측정값이 L군보다 유의성의 차로 낮은 값을 보여 LP군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특히 L군에서는 Pb 중독으로 인하여 hemo-globin 량이 정상 이하(10.37g/dl)로 감소되었으나 LG군에서는 L군에서와 같이 거의 정산 (12.32g/dl)을 유지하였다. L군의 혈액, 간장 및 신장의 납 합량은 각각 0.281, 0.250, 0.403ppm으로 대조군 보다 매우 높았으나 LG군은 대조군에 가깝게 그리고 LP군과는 거의 같은 수준(각각 0.182, 0.131, 0.253ppm)으로 낮아졌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마늘이 rat의 납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N-acetyl penicillamine의 해독 효과와 비교할 때 마늘의 해독 효과라고 볼 수 있는 유의성있는 측정값들이 관찰되었다.

  • PDF

공공도서관 관장의 사서직과 비사서직간 직무성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Performance Between Librarian Director and Non-librarian Director in Public Libraries.)

  • 정현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9-133
    • /
    • 2004
  • 본고는 문화관광부의 공공도서관 관리운영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사서직 관장과 비사서직 관장의 직무성과를 비교하였다. 사서직 관장의 직무성과는 비사서직 관장의 그것에 비교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장의 사서 직급이 높을수록 관리운영 평가실적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서직급 수준과 평가점수 수준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관장을 사서직으로 요구하는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의 규정은 정당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비교 연구 - 우리나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ntents in mathematics curriculums - focused on Korea, California in USA England, Japan-)

  • 나귀수;황혜정;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403-42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미국, 영국,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들의 양, 깊이. 학년 수준에서,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일본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미국, 일본, 영국의 교육과정보다 더 많은 주제를 더 빨리 도입하여 더 높은 수준까지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대수, 해석, 기하 영역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일 사고 발생 실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Accident Occurrences in Korea and Japan)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2
    • /
    • 2005
  • 2004년 6월 1일 발족한 소방방재청은 향후 10년 이내에 재난 발생빈도 및 피해규모를 선진국수준으로 저감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선진국과 재난발생 빈도를 비교하기 위해 일본과 우리나라의 사고발생 실태에 대해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화재사고,안전부주의사고,익사사고, 등산조난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선진국수준으로 사고발생건수를 크게 줄이려면 이들 사고를 줄여야 한다 또한 위험회피능력이 떨어지는 유아나 고령자에게 있어서는 가정 내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우리사회의 고령화에 맞추어 가정 내 사고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초등학교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 한길준;이양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119-126
    • /
    • 2003
  •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지도하다 보면 문제해결력이 상당히 낮다는 것을 자주 경험하곤 한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고민하고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보는데, 그 해결 방안으로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하여 아이들의 전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높여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하여 소집단의 구성을 수학 성적을 토대로 하여 5단계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로는 크게 3가지로 정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일제 학습에 비하여 수학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는가? (실험반과 비교함) 둘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개인별 수학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켰는가? (개인별 비교; 실험반에 국한됨) 셋째, 소집단 협력학습이 수학 교과에 대한 아동들의 수학적인 태도변화를 가져왔는가? 위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들을 해결한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문제해결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나왔고, 또한 5단계로 분류한 아동들 개개인의 문제해결력에서는 특히 중하위권에 있는 아동들이 실험 후에 문제해결력이 높게 나왔다. 끝으로, 아동들의 수학적인 태도 변화에 관한 설문에서는 소집단 협력학습으로 인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많이 생긴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7차 교육과정에서 주장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소집단 협력학습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아동들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또 하나의 수업 형태로서도 시도해 볼만한 것이라 생각한다.

  • PDF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istics Curricula for the High School in Korea and New Zealand)

  • 신우진;고호경;노지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9-38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통계 교육정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뉴질랜드의 전반적인 통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2015 개정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에 상응하는 뉴질랜드 통계 교육과정의 수준 7과 수준 8의 성취목표 및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에 우리나라 확률과 통계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통계 교육과정 및 통계교육에 있어서 세계적인 추세에 부합하는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