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용결정요인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뱅킹사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Mobile Banking Usage)

  • 이유진;곽기영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10-17
    • /
    • 2005
  • 최근 들어 모바일뱅킹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금융기관과 이동통신 업체의 적극적인 투자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서 시장의 발전 가능성이 높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모바일뱅킹 서비스는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나 서비스 제공자의 수익 면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는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모바일뱅킹을 사용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여 전략적 경쟁 도구로서의 모바일뱅킹 확산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모바일뱅킹 서비스의 특징 및 현황을 파악하고 유용성, 사용성, 서비스품질, 사회적 영향, 즉시 접속성 등의 요인을 도출하여 모바일뱅킹 기술수용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뱅킹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바일뱅킹의 유용성, 서비스 품질 그리고 즉시 접속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사용성과 사회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며, 앞으로 좀 더 추가적인 연구와 토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Mobile Banking 사용 의도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the user's Intention to use of Mobile banking)

  • 한상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5-157
    • /
    • 2005
  • 기술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 관련 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한 가지의 신뢰 관련 요인(인지된 신뢰성)과 두 가지의 인지된 행위 통제 요인(인지된 유효성과 인지된 비용),그리고 국내의 특성을 고려한 기술적 적합성 항목을 모델에 추가하여 모바일 뱅킹 분야에 적합하게 기술수용모델의 적응성을 확장하였다. 국내에서 182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기법을 이용,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뱅킹 채택에 대한 사용자 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정보기술/시스템 수용과 모바일 뱅킹 시스템 운영의 실제적인 시사점들이 논의되어졌다.

  • PDF

헤도닉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Hedonic Ubiquitous Services)

  • 유호선;김민용;권오병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
    • /
    • 2012
  • 효용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정보기술에 대한 기술수용 연구는 합리적 행위이론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는 사용자의 이성적 의사결정요인인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혁신기술을 활용하는 분야가 업무 영역을 뛰어넘어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과 같은 비업무적인 분야까지 폭넓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목적으로 혁신기술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실용적인 요인이 아닌 감성적인 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같은 혁신기술을 응용한 서비스 수용현상을 기존의 실용적인 요인에 초점을 맞춘 전형적인 기술 수용모형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TAM에 감성요인으로서의 유희성 요인,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특성으로서의 편재성과 지능성 요인을 추가함으로써 U-서비스 이용의도 형성을 설명할 수 있는 더욱 포괄적인 버전의 기술수용모형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전원개발계획

  • 김영창
    • 전기의세계
    • /
    • 제40권5호
    • /
    • pp.27-35
    • /
    • 1991
  • 전원개발계획은 단독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경제운용정책 및 에너지 정책과 더불어 전력회사의 요금정책, 부하관리, 재무계획, 전원입지, 송전계통계획 등과 연계되어 결정되어야 한다. 기존의 전원개발계획은 주어진 수요예측안을 이용하여 수요를 기준신뢰도 범위내에서 최소비용으로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전원설비투자를 결정하는 것이었으나 향후로는 부하관리정책을 포함한 수급계획(supply-demand planning)의 수립기법, 미래 수용와 연료 가격등 경제요인의 불확실성 및 환경규제 등의 요인을 감안한 전략계획기법(strategic planning) 그리고 재무계획 등 관련계획 업무를 포함하는 종합계획 모형(corporate planning model)의 구축에 대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수용요인 (The Acceptance Factors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 전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47-5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에서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 : EMR)시스템의 수용 및 활용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측정변수와 요인들을 정의하였고, 현재 EMR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는 종합병원으로 부터 수집된 데이터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요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모델을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 가설들을 구조방정식 (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EMR시스템의 수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료기관의 경영전략 이고, EMR시스템의 수용은 EMR시스템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의료기관들이 EMR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운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 웹2.0 서비스 수용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분해된 계획 행위 이론(dTPB)을 중심으로

  • 신선진;정철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643-648
    • /
    • 2008
  • 모바일 인터넷 시장의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요금인하와 풀브라우저의 보급으로 모바일 웹2.0 서비스의 이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모바일 비즈니스는 다양한 측면에서 e-비즈니스를 능가하는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며, 실시간 인터랙션으로 개인과 기업의 생활과 방식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분해된 계획행위이론을 연구의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모바일 웹 서비스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웹 2.0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적합한 모형으로 검증함으로써, 모바일 비즈니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이 분야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해석과 실무적 시사점이 제공된다.

  • PDF

지자체 공무원의 테크노스트레스와 정보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stress and Information System Acceptance of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 김경준;이기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8-60
    • /
    • 2019
  •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사용에 노출된 지자체 공무원 279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수용과 태도형성에 대한 영향요인과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조절적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정보기술수용모형의 기본가설인 인지된 유용성, 이용용이성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발생시켰다. 또한 테크노스트레스는 인지된 이용용이성을 조절하여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흡수역량은 인지된 유용성을 더 증가시키는 긍정적 영향을 발생시켰다.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은 태도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과 조절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하향식 의사결정으로 새로운 정보기술을 수용해야 하는 지자체 공무원에게 있어서, 정보기술수용에 대한 태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관리가 더욱 중요해짐을 시사한다. 특히 기술수용의 결정요인에 대한 인지부조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테크노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흡수역량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문화청소년의 개인요인, 정서요인, 부모요인, 사회·환경 요인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Emotion Factors, Parents'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n Career Decision Making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 조옥선;석말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55-164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개인·정서·부모·사회·환경적 요인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자는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아버지가 한국인인 다문화청소년 1,146명을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7차 자료에서 추출해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개인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환경적 요인인 학교생활적응 및 다문화 수용이 진로미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요인으로 우울증과 부모요인인 방임이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미결정을 사전에 예방하고 진로미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디지털홈서비스의 상황적 유인을 통한 수용의사에 관한 연구 (Acceptance Intention of Digital Home Services Through Situational Inducement)

  • 박정현;이영로;이소영;문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255-26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홈서비스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하고, 각각의 요인들이 이용자의 호감도와 수용의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요인 분석한 결과 양방향서비스, 안전관리서비스, 가족관리서비스, 의료관리 서비스, 위치영상서비스 등 다섯 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양방향서비스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인터넷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서비스의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요구도가 높았다. 가족관리서비스의 경우 30대가 가장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어린아이를 키우는 연령대를 대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관리서비스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인터넷 사용시간이 작은 그룹이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간의 관심도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호감도와 수용의사와의 관계에서는 결정계수가 0.661로 회귀선이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호감도가 수용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호감도가 높을수록 수용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