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요관리평가시스템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Reserch on Optimal Water Allocation Methodology for Real Time Water Management System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을 위한 최적 물배분 방식에 대한 연구)

  • Lee, Jin-Hee;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93-497
    • /
    • 2007
  • 한정된 수자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수질 및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자원 계획 및 관리는 물리적으로 복잡해진 수자원 시스템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제도적 시스템을 반영할 필요성이 생겼으며 수자원 계획 및 관리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효율적인 여러 대안들의 평가나 수자원 관리(운영)가 필수적이다. 효율적인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물배분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급증하는 용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합리적인 수자원 관리(운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을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물배분 방식에 대한 연구로서 최적 물 배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시간적, 공간적 물부족량을 파악할 수 있는 모형을 바탕으로 현존하는 물배분 방식 즉, 선점주의(Prior Appropriation), 연안주의(Riparian), 공공 물배분, 경제적 물배분 등을 물배분 방식을 검토하고 수자원 관리자가 현업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 물배분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The Assessment System for DSM Investment Programs by KOGAS & KDHC (천연가스.지역난방 수요관리 투자사업 평가 시스템)

  • Park, Soo-Uk;Lee, Deok-Ki;Kim, Euy-Kyung;Jeon, Ho-Cheol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226-230
    • /
    • 2008
  • DSM Investment Programs are accomplished by KOGAS and KDHC, based on 'Article 15, Rational Energy Utilization Act'. By this act, suppliers are accomlishing DSM Investment Programs with much budget and contribute national DSM. However, there was no assessment systems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DSM Investment Programs in natural gas and district heating domains, ye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constructed the assessment system which select quantitative programs, analyze impact factors, develop logic and equations and computerize this system. With this system, we can give objective and reliable output of DSM Investment Programs and evaluation tool to promote them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write the development process, method and utilization of this assessment system.

  • PDF

Secure Integretion of Metadata in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연구정보시스템의 메타데이터 보안 요소 연구)

  • Park Myo-Kyung;Lee Hee-J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943-946
    • /
    • 2006
  • 우리나라는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와 과학기술성과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수요자중심의 중장기적이고 기초 원천적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실질적 설계 및 실행이 미흡한 실정 속에서 각각 개별 기관의 연구정보관리로 인해 원활한 연구관리가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크기에 중앙관리 및 정보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센터의 필요성이 가중되고 있으나 그에 따른 보안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한국과학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평가원, 한국과학재단 등 주요 정부기관별 종합연구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들을 비교 분석을 통해 그 관리에 필요한 보안 요소들에 대해 연구하고 향후 종합연구관리 시스템 구축은 물론 국가 메타데이터 표준안 제정시에도 고려되어야 할 보안 방안에 대해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 PDF

에너지/환경 통합모형의 평가 - 기술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 강희정;최기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04a
    • /
    • pp.162-162
    • /
    • 1996
  • 70년대 두 차례의 유류파동은 에너지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급속도로 변화시켰으며, 이와 아울러 신대체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신기술의 개발여부와 관련하여 에너지 기술평가모형의 수요를 급증시켰다. 이에 지난 십여년간 구미제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에너지신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기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평가기법들을 총괄적으로 지칭하는 에너지기술평가모형(Energy Technology Assessment Models)은 에너지신기술의 경제적, 기술적 특성과 에너지시스템내에서 신기술의 잠재적 역할을 사전 평가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의 에너지연구개발 정책을 수립하는데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내 에너지 연구개발 관련자들의 이해부족과 데이터베이스의 미비 등 여러 가지 제약요인들로 에너지기술 평가모형이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경제/에너지/환경/기술개발정책에 있어서의 에너지부문의 역할을 장기적으로 재평가하고 특히 기존 에너지문제의 제약요인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 수요관리 평가의 개발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거시 경제적 에너지공급모형과 최근 미국, EU등에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경제/에너지/환경/기술개발의 통합모형을 문헌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 PDF

Seasonal Prediction Model for Urban Water Demand (급수수요량의 계절별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 Gu, Ja-Yong
    • 수도
    • /
    • v.23 no.6 s.81
    • /
    • pp.36-46
    • /
    • 1996
  • 급수 수요량의 단기예측은 상수도 시스템의 유지관리 계획 수립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대상지역의 특성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으므로, 급수수요의 지역 특성과 관련된 수요 구조의 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 시스템의 합리적 배수 제어 획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적 정보인 급수량 변동 구조에 대해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일단위의 급수량에 초점을 두어 급수량의 시계열 특성과 급수량 영향 요인 분석을 통하여 대상 지역의 정상 시계열장과 급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급수량의 계절별 단기 수요 예측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통계적 예측 수법으로 평가 받고 있는 MARIMA (Multiple Auto 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델을 급수량 단기 수요 예측에 적용하여 계절별 급수 수요량을 예측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ecurity Evalu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mon Criteria (공통평가기준을 기반으로 한 보안평가관리 시스템의 개발)

  • Kang Yeon-Hee;Bang Young-Hwan;Lee Gang-S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0 no.3
    • /
    • pp.67-83
    • /
    • 2005
  • Common Criteria(CC) was announced in June, 1999 in order to solve a problem which be happened by applying a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among nations. Currently, a official version is v2.2 and v3.0 is a draft version. Because an evaluation demand is increas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 evaluation market growth is expected. Also, It needs methodology and work automation and project management for evalu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C based Security Evaluation Management System(CC-SEMS) that is managing evaluation resources(deliverables , evaluation criteria, evaluators) and is useful in evaluation environment efficiently. CC-SEMS is to have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workflow management, process management and is composed of deliverables, Evaluation Activity Program(EAP), Management Object(MO), Evaluation Database(EDB), Evaluation Workflow Engine(EWE).

  • PDF

Analysis of Electricity Demand Patterns using Load Profile Data (Load Profile을 이용한 수요자 그룹별 부하분석 연구)

  • Yu, In-Hyeob;Lee, Jin-Ki;Kim, Sut-Ic;Ko,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792-794
    • /
    • 2005
  • 최근에 들어서 전력산업에 규제완화가 도입되면서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가지의 환경변화가 예상되지만, 그 중에서도 공급자간에 경쟁도입이 전력산업 참여자간에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전력시스템의 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경영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 수요자 서비스의 제공이 전략의 핵심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공급자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요자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수요자의 부하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수요특성별로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분류된 그룹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부하분석의 정보는 가격설계, 수요 및 에너지 예측, 송전 및 배전계획, 에너지 효율 향상 및 부하관리의 필수 자료가 된다. 또한 향후에 개발될 전력 부가서비스의 주요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국가농업생명자원의 통합관리 효율화를 위한 농업유전자원 정보관리시스템(GMS) 개선 및 운영 현황

  • 유은애;유동수;조규택;강만정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3-53
    • /
    • 2022
  • 대한민국의 농업생명자원 중 식물유전자원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와 지방자치단체, 대학, 연구소 등 전국 79개 관리기관에서 보존하고 있으며 책임기관인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는 종자 1,599종 246,097자원, 관리기관은 영양체자원 1,476종 26,254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유전자원 관리(수집/증식/등록/평가/분양 등) 업무 중 생산되는 대량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농업유전자원 정보를 DB 구축하였다. 구축된 정보는 학명 등 기초정보, 형태·저항성 등 특성 정보, 화상·종자량·활력·분양·증식 등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농업유전자원관리시스템(Germplasm Management System, GMS)을 운영하였으나 개선전 프로그램은 설치 후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해야하고, 하드웨어 교체시 프로그램을 재설치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ML5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개선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크롬, 마이크로소트 엣지 등)에 실행 주소(genebank.rda.go.kr/gms)를 입력만 하면 전국 79개 관리기관에서 자원을 접수하고 평가한 정보를 어디에서든 확인이 가능하다(메뉴사용 및 권한설정은 필요). 개선된 농업유전자원 정보관리시스템은 국가적 차원의 통합관리를 지원하여 농업생명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자원에 대한 적절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농업생명자원의 활용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the evaluating and improving methods on PMIS for performing strategy of construction company. (전략수행을 위한 PMIS 진단 및 개선방안)

  • Lim, H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83-89
    • /
    • 2007
  • This study started with many experiences about maturity evalu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of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need for IT systems for performing of strate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1)to evaluate processes and IT systems based on CSF in strategy perform phase, 2)to propose method of sustainable evaluation and improvement, and 3)with KPI and CSF, to evaluate and improve PMIS. Moreover, we suggested IT architecture framework for basement of improving process and resources.

  • PDF

A Study the Jeongeum-based Korean language u-Learning training standard system implementation (정음기반 한국어 학습 u-Learning교육 표준시스템 연구)

  • Cho, Sung;Ryu, Gab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954-957
    • /
    • 2015
  • 본 연구는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한 맞춤형 정음기반 한국어 학습 지원시스템의 효율적인 모델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서, IMS/AICC 국제규격을 준수하는 LCMS와 SCORM 기반의 정음 정보처리로 한국어 교육이 가능한 학습지원시스템에 구축 시스템의 세부 모음들을 정의하였다. 주 내용은 학습자의 학습결과와 학습 습관을 분석 평가하여 자가 주도 식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 것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PMS 세부모듈 시스템은 물론, 표준 역량모델관리시스템, 학습자 개별 역량 관리시스템, 역량저장 및 저장소, 커뮤니티를 활용한 역량 모델기반의 지식관리시스템, 교육 수요분석용 e-Survey시스템, 모바일 학습지원서비스 시스템 등이다. 앞으로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외국인을 위한 정음기반 한국어 학습지원시스템 구축 표준 모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