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영운동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4초

N-3계 지방산 적절 함량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첨가가 기억력 관련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Adequate Diet on Learning Related Brain Function in Rat)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17-922
    • /
    • 2009
  •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motor activity 실험에서 동물들의 자발적인 운동성을 측정한 결과, 주어진 시간 내 움직인 시간과 움직인 거리에는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과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간에 유의적 차이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학습효과 실험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의 경우 목적 플랫트폼까지 걸리는 시간이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에 비하여 다소 길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관찰할 수가 없었다. 수영 속도(swimming speed)에서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의 경우,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빨랐으나 수영 풀에서 움직인 거리 (swimming distance)에는 두 식이군 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두 식이군의 흰쥐들이 수영한 시간(swimming time)과 쉬고 있는 시간(resting time)의 경우, 쉬는 시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수영 시간 또한 n-3 지방산이 적절이 함유된 식이(Adq group)로 사육된 쥐가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쥐(Adq+DHA group)보다 수영한 시간이 길었으나 여기서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기억력 테스트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group) 및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 모두는 목적 플랫트폼이 있었던 A 지역에 대한 기억이 우수하여 다른 지역들인 B, C, D를 지나가는 횟수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음을 관찰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신에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로 사육된 쥐와 비교할 때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흰쥐가 Morris water maze를 이용한 공간기억력 실험에서 다소 우수한 기억 학습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음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복합 운동 훈련이 인간 골격근의 형태학적 변화와 유산소 대사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ndurance and weight training on muscle morphology and 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human skeletal muscle)

  • 이길우;이종삼;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67-37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남자 14명을 대상자로 단기간의 지구성 훈련과 지구성 운동에 웨이트 운동을 병행한 복합훈련이 골격근 섬유의 형태 및 골격근 내 산화적 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지구성 트레이닝 집단은 최대심박수의 70~80% 에서 40분간 자유형으로 수영을 6주간 실시하였으며 복합 트레이닝 집단은 동일한 수영을 실시한 후 웨이트 트레이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근섬유 횡단면적에 있어 복합훈련 집단과 지구성 훈련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훈련기간에 따라 복합훈련 집단에서 지구성 훈련 집단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세혈관 수에 있어서도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훈련기간에 따라 복합훈련 집단에서 지구성 훈련 집단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소성 대사 효소 중 CS, ${\beta}$-HAD 그리고 CPT의 활성도는 훈련형태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복합훈련 집단에서 지구성 훈련 집단에서 보다 더 큰 증가의 폭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산소성 훈련만을 실시할 때 보다 유 무산소 운동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훈련의 수행이 근섬유의 에너지 대사 관련 효소들의 활성도 증가와 근 세포 모세혈관의 발달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생약조성물 투여가 지구력 향상과 항산화 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ula (JR-22) Maybe Containing Traditional Herbs on Maximal Exercise Performance and Antioxidant Meterials in Murine Model)

  • 홍성길;양동식;강봉주;이홍석;윤유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76-1081
    • /
    • 2003
  • 근육은 지속적인 수축운동 과정상에서 근육 세포내의 에너지원인 ATP가 고갈되고, 근육피로를 나타내는 물질이 축적되어 근력이 약해지고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ATP의 합성 증가 및 근육내 피로 물질의 축적 방지 등이 요구되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통 생약재로부터 추출 증류한 조성물 JR-22를 이용하여 지구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JR-22를 4주간 실험 동물에게 투여한 이후 체중의 4-8%에 해당하는 무게를 부가하고 강제수영 시간을 통하여 지구력 향상효과를 확인한 결과 JR-22의 투여로 인하여 지구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JR-22에 의한 지구력 향상효과의 기작을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의 4%에 해당하는 무게를 부가한 뒤 90분간 강제 수영시킨 실험 동물로부터 근육 피로 물질들과 근육내 ATP 함량을 측정한 결과 JR-22의 투여가 근육내 ATP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JR-22의 투여가 근육내 ATP를 증가시킴으로서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근육세포의 강화와 연관성이 있는 IGF-1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JR-22를 투여한 이후 혈액중의 IGF-1의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도 JR-22에 의해서 유의성이 있는 IGF-1의 증가가 관찰되어 JR-22의 투여가 근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 이러한 운동 과정상에서 발생하는 체내의 산화적 손상은 JR-22의 투여를 통해 완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여 JR-22의 투여가 체내의 항산화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한편 JR-22를 4주 이상 투여하였을 경우에도 간독성 지표인 GOT, GPT를 비롯한 각종 혈액 생화학적 수치들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기타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아 JR-22의 식용으로서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JR-22는 IGF-1의 증가 및 근육내 ATP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지구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운동시 발생하는 부작용중 하나인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키는 항산화 효과 또한 겸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호로파와 야관문 복합추출물의 남성갱년기 개선에 관한 연구 (Effect of a Mixed Extract of Fenugreek Seeds and Lespedeza cuneata on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 이경수;이은경;김신연;김태환;김현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92-4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 호로파 복합추출인 YHM이 남성갱년기증상의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흰쥐에게 YHM을 4주간 투여한 후, testosterone, SHBG, PSA, 체지방, 혈중지방, 근육량, 운동수행능력, 정자수, 간독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YHM 투여 후 남성갱년기의 지표로 사용되는 남성호르몬인 testosterone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testosterone과 결합하여 기능을 저하시키는 SHBG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립선 관련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PSA를 측정하였으나,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지방조직과 근육량을 측정한 결과 지방 조직은 줄이고 근육량은 늘리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갱년기에서 흔히 있는 근육량 감소 및 체지방 증가를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혈중지질농도에 있어서도 YHM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감소한 반면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음을 관찰하였다. 강제수영을 통한 운동수행능력 측정에서도 YHM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수영시간이 길었고 이는 YHM의 투여가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총 정자수와 활동성 정자수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YHM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정자형성과 활동성에 영향을 주는 testosterone 농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YHM의 투여가 간독성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AST와 ALT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간독성을 가지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실험결과 전반적으로 저농도 투여군인 YHM-40에서 고농도 투여군인 YHM-80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YHM의 효과가 농도 의존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최적의 생체 이용률을 나타내는 농도가 YHM 40mg/kg인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YHM의 투여는 남성갱년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활용하여 남성갱년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운동 유발성 알레르기 질환(FDEIA)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분석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FDEIA and Related Mechanisms)

  • 이원준;곽이섭;유병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2-5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운동 강도(저강도, 중강도, 고강도)를 달리하여 훈련한 서로 다른 그룹에서 운동 유발성 알러지 아나필락시스의 차이를 규명하고 운동강도에 따른 운동 유발성 알러지 질환의 기전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 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군당 25마리씩 통제군(S; control sensitized, n=25), 저강도 훈련군(S30, n=25), 중강도 훈련군(S50, n=25) 및 고강도 훈련군(S80, n=25)으로 구분하여 수영훈련 강도별 알러지를 유도하였을 때, 알러지 아나필락시스를 조사하고 아울러 비장지수, 림프구의 수, 림프구 증식반응, 싸이토카인(IL-4, INF-${\gamma}$), 항체 및 복강과 비장의 ROS를 함께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일반 감작군에 비하여 운동 감작군에서 알러지가 더 잘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운동강도의 증가와도 밀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운동강도가 증가할수록 OVA반응에 대한 림프구 증가가 현저하게 일어나는 원인과 복강활성산소의 증가 및 알러지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싸이토카인인 IL-4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INF-${\gamma}$의 감소도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추후 운동 강도뿐만이 아니라 운동빈도에 따라서도 FDEIA의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생쥐의 골격근에 PPARβ/δ 과발현이 1회 지구성 운동 후 안정시 PGC-1α mRNA와 단백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PARβ/δ overexpression on PGC-1α mRNA and protein stability after accute endurance exercise in mice skeletal muscle)

  • 고진호;정수련;김기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4호
    • /
    • pp.507-516
    • /
    • 2016
  • 본 연구는 지구성 운동 후 안정시 PGC-1α mRNA와 단백질의 안정성이 PPARβ/δ의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전기 자극 유전자 전이법(electroporation; EPO)을 이용하여 PPARβ/δ와 empty vector(EV) 유전자를 각각 생쥐의 왼쪽과 오른쪽 tibialis anterior(TA)근육에 전이하였으며,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1회 지구성 운동 후 시간에 경과에 따른 mRNA와 단백질을 비교하였다. 생쥐는 5시간 수영 운동을 1회 실시하였으며, 운동 직후(0h), 24시간(24h) 및 54시간(h)이 경과한 후 TA근육을 적출하였다. 운동 직후(0h) 대조군, EV 및 PPARβ/δ가 과발현된 근육의 PGC-1α mRNA는 좌업 그룹보다 각각 6.8배(p<.001)배, 6.2배(p<.001) 및 7.1배(p<.001) 증가하였으나, 24h 및 54h에 좌업 그룹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운동 후 24h에 EV가 처치된 근육은 PGC-1α 및 PGC-1α ubiquitination이 좌업 그룹보다 각각 2.2배 및 1.74배 증가하였으나, 운동 후 54h에 좌업 그룹수준으로 회복되었다. PPARβ/δ 처치 그룹의 PGC-1α는 운동 후 24h와 54h에 좌업 그룹보다 각각 2.5배와 2.2배 증가하였으나 PGC-1α ubiquitination은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PPARβ/δ 과발현은 지구성 운동에 의한 PGC-1α mRNA 단백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PPARβ/δ 과발현은 지구성 운동으로 증가된 PGC-1α mRNA가 단백질로 전환된 후 PGC-1α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과 운동처방 I. 비만과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Exercise Prescription and Dietary Modific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I. On Obesity and Diabetes)

  • 백영호;전병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2-230
    • /
    • 1999
  • 비만증이란 체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이고, 당뇨병이란 혈당을 조절하는 insulin의 부족 혹은 작용 결함으로 인한 질환이다. 비만과 당뇨병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유전, 과식,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다. 비만 및 당뇨병 환자는 섭취 열량을 줄이고 신체에 영양공급이 균형있게 이루어 지도록 균형잡힌 식생활을 해야 하며 고열량식품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일반적인 운동 지침은 운동전 의학적 진단과 병력 검사가 우선되어야 하며, 점진적으로 운동강도를 높여야 한다. 비만과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유산소 운동(조깅, 수영, 테니스, 에어로빅 댄스 등)을 60~80$\%$ HRmax(50~70$\%$ $Vo_2$ max)강도로, 15~60분, 주 3~6회 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유형에 따른 처방을 다소 달리해야 하며, 운동중 탄수화물이 든 간식을 하고 인슐린 활동이 최고에 달했을 때 운동을 중지하며 운동 후 저혈당 발생의 가능성에 대비하여 혈당을 높이기 위한 탄수화물 15~20g 분에 해당하는 식품을 섭취한다. 비만과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운동요법은 식이요법과 병행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 PDF

경기용 마필의 흔히 발생되는 부종의 종류, 발생기전 그리고 EQUIDRAIN을 이용한 치료적 방법의 임상적 고찰

  • 김갑수;이성준;김천호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4-130
    • /
    • 1998
  • 말의 관절(articulatio)이나 인대(ligament), 건(tendon), 건막(lacertus) 및 윤상인대(ligamenta annularia)에 생기는 부종(edema)은 말과 관계되는 모든 사람에게는, 즉 말을 기르는 사람, 말을 관리하는 사람, 그리고 또한 말과 관계되는 모든 수의사에게 늘 접하지 않으면 안되는 병 증상 중의 하나이다. 말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나타내기 위해서는 부종이 없는, 소위 말하는 ‘깨끗한(clear)사지’를 가진 말의 상태(condition)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 부종은 말에게서 눈에 보이지 않는 만성적인 능력 감퇴를 일으킬 수 있고 때로는 심한 통증을 유발 시키므로써 심한 파행(laemness)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럼으로써 오랫동안 운동경기나 일반 승마에 이용을 하지 못하고 강제적인 휴식 상태로 가지 않으면 안될 때가 종종 있다. 수의 분야에서 지금까지 응용되고 있는 치료방법에는 말에게 휴식을 처방하는 것 외에 압박붕대를 착용 후 운동요법(평보, 수영 등)으로 치료를 하거나 찬물을 이용하는 방법, 열을 방생하는 연고(warm ointment)를 그 위에 바른다든지, 항염증 치료제(antiphlogistica), 이뇨제(diuretica)혹은 부종이 생긴 부위를 주사바늘 등을 이용하여 그 속에 들어 있는 액체를 빼어 내는 방법(punction)등이 이용되어왔다.

  • PDF

심해 잠수정용 테더 케이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ther Cables Used for Deep Submergence Vehicles)

  • 신현경;김덕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56-6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 비선형 정역학 방정식의 해로서 선박-케이블-잠수체 시스템의 정적모양이 보여지고, 선형 운동 방정식의 진동수영역해석에 의해 고유진동수가 구해진다. 또한 긴 연직케이블의 스내핑 현상을 클리핑 오프(clipping-off) 수치모형으로 이상화하여 극단장력을 계산한다.

  • PDF

흰쥐 좌골신경 압좌손상 후 수영운동의 부하에 따른 근육 회복 (Muscle Recovery After Sciatic Nerve Crush Injury in Rats by Different Loading Swimming Exercise)

  • 이민형;김종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25-532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loading swimming exercises on muscle recovery after sciatic nerve crush injury in rats. METHODS: For this study, thirty-one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There were the negative control group (NCG, n=5), the positive control group (PCG, n=7), the low intensity swimming exercise group (LISEG, n=7), the moderate intensity swimming exercise group (MISEG, n=7) and the high intensity swimming exercise group (HISEG, n=5). Each rat was weighed to determine the lead weight to be attached to the base of its tail. Subsequently, the PCG, the LISEG, the MISEG and the HISEG were underwent standard unilateral sciatic nerve crush. The LISEG (no load), the MISEG (lead weight equivalent to 2% average body mass) and the HISEG (lead weight equivalent to 4% average body mass) were received the 10 minute swimming exercise in a day for 10 days. The NCG and PCG were not received with any therapeutic intervention. The diameter of the calf muscle and the level of serum lactate dehydrogenase (LDH) were measured to detect the effects of the swimming exercise. RESUL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alf muscl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eventh swimming exercise in the LISEG, the MISEG and the HISEG compared with the PCG (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ISEG, the MISEG and the HISEG. Also, the level of the serum LD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ISEG, the MISEG and the HISEG compared with the PCG (p<0.05).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imming exercise could accelerate muscle recovery processes after crush injury, but the different intensity of the swimming exercise does not affect healing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