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혁신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력 분석 (Analysi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 Learners' Core Competencies at the Digital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 이현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81-38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온라인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결과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질 관리 환류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fforts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n Teacher Efficacy: Focused on Comparison among Types of School Climate)

  • 최원석;길혜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72-48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수업변화 경험과 사기 열의, 학교 풍토가 어떻게 매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 경기도의 197개 중학교 3학년 학생 표집과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된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등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기 열의라는 개인 수준의 변수가 조절하는지에 대해 조건부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학교풍토 유형 간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고 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학교 풍토를 보수적, 허용적, 혁신적 풍토로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변화 경험이 매개하는 효과는 혁신풍토 학교에서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의 사기 열의가 조절하는 효과는 허용적 및 혁신적 풍토에서만 발견되었다. 끝으로 교사의 사기 열의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는 허용적 풍토에서보다 혁신적 풍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요소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PBL)에서 중등예비교사의 성찰일지 분석 (An Analysis of Self-reflection Journal of Pre-service Teachers' in PBL by focusing on Teaching Innovation Components for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convergence)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81-490
    • /
    • 2020
  •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에서 중등예비교사들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인식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30명이 계절학기 4주간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하였으며, ATLAS.ti 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찰일지 내용에서 한국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지원 방안' 연구보고서의 수업 혁신 요소의 의미가 도출되는지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등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시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지도안 작성부터 시연까지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교수방법의 중요성 인식, 새로운 경험, 상호작용 등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연구의 필요함을 시사한다.

e-PBL을 적용한 수업혁신 (Instructional Innovation Using e-PBL)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41-249
    • /
    • 2022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PBL의 적용가능성을 확대한 e-PBL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교육대학교의 전공 선택 교과목의 한 학기 수업활동 중 4주 분량의 활동을 체계적 설계 절차에 따라 e-PBL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였다. e-PBL 운영 기간 동안 참여 수강생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수강생들은 초기의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을 극복하고 점진적으로 e-PBL 활동에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으로 e-PBL 활동 경험에 대하여 만족스러워했다. 참여 수강생들은 e-PBL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주인의식을 갖고 활동에 참여하였고, 팀 구성원들과의 빈번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PBL을 활용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혁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e-PBL 적용 수업을 확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e-PBL의 교육적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 모델 제안 (Educational Mode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 김성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29-231
    • /
    • 2023
  •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테크놀로지는 학교 현장에 도입되어서, 교수-학습 형태의 변화와 교육 환경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예비 교사의 교육 모델에서 테크놀로지 지식을 함양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Mishra and Koehler(2006)의 TPACK 모델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PACK 모델을 활용하여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모델은 브레인스토밍, 협력, 탐색(TPACK, AI, 교육과정, 교육적 맥락, 수업 사례), 수업 설계, 마이크로티칭, 수업 비평, 수업 성찰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융합 TPACK 교육 모델을 바탕으로 예비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 정선경;박남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8-17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 동료평가를 위한 수업 절차 설계, 동료평가 유형과 문항 개발, 동료평가 실시, 수업만족도 조사 및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문제중심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 선정된 협력학습 기반 수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협력기반 수업 참여자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동료평가를 위한 협력학습 절차는 팀 구성, 과제 수행 계획, 과제수행, 중간평가, 과제 수행 완료, 발표 및 평가, 자기평가로 설계하였고, 동료평가는 팀내. 팀간 평가로 유형화 하였고, 단계별 동료평가문항을 설계하였다. 동료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12인의 CVR로 평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동료평가의 수업만족도는 평균 4.05(SD=.91)로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집중, 수업의 성실성, 자발성, 학습 분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수준 차이 검증 결과, 성별과 학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업 유형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프로젝트기반 학습에 비하여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교육에서의 동료평가 적용 및 확대를 위한 수업설계와 운영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비대면 가창 수업 방법 고찰 (A Study on Non-Contact Vocal Instruction)

  • 임지현;민경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2021
  •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시작으로 비접촉 사회를 형성하였다. 접촉을 제한하는 언 콘택트 시대가 도달함으로써 우리 사회 및 경제생활뿐 아니라 교육 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여 대학을 비롯한 모든 교육 기관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시행하였다. 특히, 예체능을 비롯한 실무 형태 위주의 학과 수업들은 비대면으로 인한 제한된 환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창 수업은 주로 1:1 대면 개인지도 또는 단체 수업 방법에서 비접촉 시대로 시행된 비대면 수업 전환으로 과도기를 경험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머물러 있던 국내 학교 현장에서 코로나 19 이후 비접촉 시대를 맞이하여 기술을 혁신하는 에듀테크가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속화된 교육 혁신에 대비하여 비대면 실기 수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언택트 가창 수업 방법연구를 위해 먼저 비접촉 사회로 인한 국내 대학 현황과 가창 수업 형태를 살펴본다. 그 사례 연구로 가창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 그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비대면 가창 수업의 장단점을 조사하고, 만족하는 수업 방법의 연구결과로 '가창 녹화 모니터링 및 선행학습', '즉각적인 영상자료 보컬 분석 및 보충 음악 이론'이 두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시대적 변화와 함께 효과적인 비접촉 가창 수업을 위해서는 비대면 가창 수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새로운 비접촉 가창 수업 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시스템 구축이 더욱 마련되어야 한다.

Analysi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 Learners' Core Competencies in the Digital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 Lee, Hyun-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267-27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의 온라인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을 수강한 총 470명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조사 결과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대체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목표 설정과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학생들의 핵심역량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 기능, 운영, 내용 영역에서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활성화, 교육과정 체계성, 교육내용 질 제고 측면에서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이 중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환류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혁신제품개발 모듈 교육과정 구축을 위한 stakeholder 의 요구사항 파악 (Identification of Stakeholders' Needs for Development Course Module of an Innovation Product)

  • 이원섭;장준호;유시원;유희천;장수영;전치혁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8-202
    • /
    • 2006
  • 다양한 신제품이 출시되고 제품의 수명 주기가 짧아지는 기업 환경에서, 시장 경쟁력을 갖추고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제품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대학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혁신제품개발 모듈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교육주제, 수업운영방식, 산학연계 방식에 대해 학생, 산업체 실무자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본 설문에서는 제품개발 관련 문헌조사를 통해 추출된 7개 부문(기획, 타당성 분석, Concept 개발, 제품 설계, 제조 공정 설계, 생산, 윤리와 법)의 46개 교육주제에 대해 교육 선호도와 실무 적용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 제품개발 관련 교과목들의 수업 구성 비율을 파악하고 희망 수업구성 비율, 수업 진행방식에 따른 요구사항, 실습 및 프로젝트 진행방식에 대한 희망사항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산업체 실무자들로부터 산학연계 방식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학생, 산업체 실무자들의 의견은 제품개발 교육과정 구축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속적인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구안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ment for Continuous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 김훈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4
    • /
    • 2013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창의 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설계모형을 구안하기 위하여 NFTM-TRIZ를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NFTM-TRIZ는 TRIZ에 기반하여 유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이다. TRIZ는 주어진 문제의 모순을 찾아내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혁신적인 해결안을 얻도록 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방법론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과정은 G 대학교의 교직과목으로 개설된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를 수강한 3, 4학년 남, 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주 10분씩 창의성 수업을 하고 이에 대한 산출물로 창의적 수업안을 만들고 창의성 수업에 대한 후기를 작성토록 하여 연구결과를 모색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