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에 대한 인식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34초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파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views of home economics)

  • 유태명;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9
    • /
    • 2007
  •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가정 교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은 Thomas(1986)가 분류한 시대에 따른 여섯 가지의 견해, 즉 전통적 여성역할, 수공훈련, 과학지식의 응용, 가족관리, 가족발달,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육으로서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중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의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독립변수는 수업방식(실험집단은 실천적 추론 수업 비교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수업), 종속변수는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으로 하여 의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실천적 추론 수업'을,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가정과 교과서를 위주로 한 수업'을 각각 10차시씩 진행하였다.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대응표본 t-test 결과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가정과교과에 대한 인식 가운데 수공 훈련을 강조하는 교과라는 인식을 감소시켰고,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과라는 인식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실천적 추론 수업은 가정교과를 전근대적 교육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좋은 수업이라 사료된다 또한 현재의 제 7차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한다고 해도 가정교과를 가족관리나 가족발달을 강조하는 교과로 인식시킬 수 있어 앞으로 가정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사회적 합의를 강조한 개념 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 (Instructional Influences of Conceptual Change Model Emphasizing Social Consensus)

  • 노태희;여경희;임희준;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0-11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갈등 유발을 통한 개념 변화 수업과 사회적 합의를 강조한 개념 변화 수업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남자 중학교 1학년 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상태 변화, 밀도, 용해 등에 대하여 8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예비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할 가설들을 구성하였다. 사전 검사로 토론에 대한 인식,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학급별로 전통적 수업, 인지적 갈등 유발을 통한 개념 변화 수업, 주어진 가설에 기초한 토론 과정에서의 사회적 합의를 강조한 개념 변화 수업을 각각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업 성취도, 개념 이해도, 토론에 대한 인식,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공변량 분석 결과, 통제 집단에 비하여 처치 집단들의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념 이해도에서는 사회적 합의를 강조한 개념 변화 수업 집단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토론에 대한 인식은 사회적 합의를 강조한 개념 변화 수업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이었으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세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영어캠프에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의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NESTs' and NNESTs' Class Management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of an English Camp)

  • 방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2-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진행한 영어캠프에서의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차이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대학교 캠프에 참가한 남 녀 대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캠프 만족도, 두 교수들에 대한 일반적 교수 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 등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진행한 캠프 수업과 수업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캠프에 참가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한 캠프에 대해 만족하였지만,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교수자질, 수업 운영, 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먼저,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수업을 흥미롭게 진행했다고 인식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체계적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들이 즉흥적으로 수업을 진행한 반면에 비원어민 교수들은 교재에 의존하며 더 많은 부교재를 제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비원어민 교수들이 원어민 교수에 비해 스피킹과 문법에 더 초점을 맞추어서 수업을 진행하였고, 과제, 시험,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고,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더 원활하게 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들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육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ChatGPT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 질문 단계의 변화 및 수업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Question Levels and Class Percep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Using ChatGPT)

  • 신화영;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322-33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위한 ChatGPT 활용 과학 수업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D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초등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영역 발달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은 과학 수업에서 ChatGPT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ChatGPT 활용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인지적 영역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고, 초등학생은 ChatGPT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에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또한 ChatGPT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 그리고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인식하는 학생들로 구분하였다.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은 주로 ChatGPT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Remember' 단계에 머무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인식하는 학생들일수록 보다 높은 단계의 질문을 ChatGPT에게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중학교 영재 학생 및 예비 교사의 인식 조사 (Perceptions of the Middle School Gifted-students and Pre-teachers About the Convergence Class Programs Using Realistic Contents)

  • 김은지;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96-1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융합 수업 프로그램이 중학교 영재 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를 포함하여 융합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설문을 통해 영재 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과학적 태도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업 프로그램의 중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영향 그리고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생 및 예비 교사 모두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수업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었다. 반면, 어플리케이션의 질적 수준이 낮다는 것과 스마트 기기의 인프라 부족 등이 단점이라고 지적하였다. 또한 예비 교사는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정보는 부족하지만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필요하며 이에 대비한 예비 교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을 위한 학교 내 시설 및 장비 마련, 융합 수업에 활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프로그램 및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예비 교사를 위한 교육 등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스마트기기 활용 로봇 프로그래밍 활동 개발 (Development of robot programming activity based on smart device)

  • 장윤재;윤일규;이원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241-24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스마트기기 인식 변화를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 단계 및 인식에 대한 설문 도구를 제안한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스마트기기 사용 환경에 노출된 어린 학습자에게 스마트기기의 올바른 활용을 위한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스마트기기의 올바른 활용 방안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로봇을 조립하고 프로그래밍을 작성해 봄으로써,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한다. 학습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은 스마트기기 활용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인식의 변화를 측정한다. 특히 학습자가 수업 후 자신의 생각이 바뀐 이유를 기술함으로써,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활용한 인식 변화의 요인을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PDF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 탐색 연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 이승은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는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으로서 교육실습 과정을 경험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를 탐색하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N시의 4년제 대학 유아 교육학과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41명 및 지도 교사 41명이었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개방형 문항을 내용 분석을 통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전문성 인식 총점 및 하위요인들의 평균값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실습 초반에는 실제 수업의 진행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다소 어려움을 겪지만 실습기간 중, 지도교사의 안내를 받으며 다양한 유형의 실전수업을 경험하면서, 실습이 마무리 될 무렵에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변화하여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전문성 인식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을 내용분석 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실습과정에서 실제 수업을 처음 수행한 후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수업에서는 첫번째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발전 방안을 찾고, 적용해보는 과정을 통해 발전된 모습을 스스로 발견하면서 수업전문성 발달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드러났다. 셋째 실습 지도교사가 강조한 수업전문성을 내용 분석한 결과, 지도교사들은 수업의 청사진으로서의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의 흐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발문 구성,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융통성 있는 수업의 운영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선행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gnition on Pre-taught Students)

  • 김지은;전인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71-394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 선행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그것이 수학 선행학습에 대처하는 초등교사의 수업 운영 방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4명의 서울특별시 공립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양적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학 선행학습이 학교 수학 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수학 선행학습은 수학 개념의 이해보다는 수학 공식의 암기와 문제 풀이에 있다고 보며, 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수학 선행학습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학 수업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학 선행학습이 수학 수업에 대한 사기를 떨어뜨린다고 인식하며, 자신의 수학 수업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교육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초.중등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 Comparison of Conceptio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 방정숙;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17-338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 수업을 알아보기 위해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48개 하위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교사 223명과 중학교 수학 교사 151명의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영역을, 중등 교사는 교수 학습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부 요소 별로 살펴보면, 초 중등 교사는 공통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초등 교사는 좋은 수학 수업과 관련된 23개 요소에 대해서 중등 교사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중등 교사는 수학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동기 유발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의 2개 요소에 대해서만 초등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본연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Hearing Teachers' Voic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31-2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하위 48개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 교사 223명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수업, 개념에 초점을 두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학을 사용하는 수업, 좋은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좋은 수학 수업의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