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방법

검색결과 2,453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Enhancing Smart Learning)

  • 임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3-45
    • /
    • 2011
  • 최근 등장한 스마트 러닝에 대한 관심의 확산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러닝의 개념을 도구적 접근, 환경적 접근, 그리고 이론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스마트 러닝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원리로서는 교육내용 측면에 있어서 풍부한 학습자원의 활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적 환경, 그리고 교육경험에 있어서 실제적 맥락과 경험제공을 들 수 있다. 이들 개념 및 원리에 근거하여 제시된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모형 설계는 목표설정, 자원확인, 환경선정, 수업과정 설계, 수업도구 개발, 수업적용, 그리고 평가 및 분석의 단계로 접근될 수 있다. 이 같은 스마트 러닝 현황을 기반으로 향후 개별적 수업상황에 적합한 구체적인 개발전략의 지속적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원격수업을 하는 자녀들을 위한 해결중심상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lution Focused Counseling for Children in Online Classes)

  • 이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49-3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하여 원격수업을 하고 있는 자녀들이 해결중심상담을 통하여 게임시간, 부모 자녀 간의 의사소통, 미래에 대한 계획 등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세 명의 자녀들과 어머니이다. 세 명의 자녀들은 초등학생이고, 원격수업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결중심상담의 상담기법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Creswell의 나선형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을 하는 자녀들은 해결중심상담을 통하여 게임시간이 감소하였다. 둘째, 원격수업을 하는 자녀들은 해결중심상담을 통하여 부모 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원격수업을 하는 자녀들은 해결중심상담을 통하여 자신의 미래를 계획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효과적인 e-NIE 수업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using e-NIE(electronic-Newspaper In Education))

  • 박지연;전석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7-134
    • /
    • 2010
  • 지식정보사회에서 좋은 수업이란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하는 수업이다. 이런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추상화, 일반화된 내용으로 구성된 교과서에 있는 학습 내용이 아니라 학습자가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내용이 필요하고, 그 학습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매체를 찾아야 한다. 신문은 매일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고, 이를 활용하면 유익하고 실용적인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교과서'로 불린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패러다임의 변화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원하는 수준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e-learning 체제와 인터넷 신문(전자 신문)을 등장하게 했다. 이러한 변화된 환경은 NIE의 방법과 영역을 더욱 넓게 확대시켜 e-NIE로 발전시켰고, e-NIE는 수업목표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매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수업설계모형에 맞게 e-NIE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수업 설계시 수업목표를 달성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하도록 e-NIE를 투입하였고, e-NIE를 활용하는 활동과정에서 다양한 고등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안을 작성하였다.

  • PDF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Instructional Effect of Infographics Co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

  • 이희우;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25-635
    • /
    • 2019
  •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시각적 표상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글과 함께 시각적 표상이 제공되는 인포그래픽은 교사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효율적이다. 또 학생들이 직접 정보를 생산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부분 글로 기록하는 기존의 실험관찰책과 비교하여 학생들이 직접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수업이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학생 총 9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적용 단원은 2단원 '산과 염기'로 연구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와 과정을 중심으로 동일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집단은 탐구 결과와 과정을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한 반면, 비교집단은 실험관찰책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중점적으로 설명하려는 내용에 따라 인포그래픽의 유형이 달라졌다. 학습 목표에 따라 학생이 중점을 두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스스로 가장 적합한 유형의 인포그래픽을 선택하였다. 둘째,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수업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시각화 경향성과 수업 처치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고, 인포그래픽 구성 수업은 학생들의 시각화 특성과 무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업 중 인포그래픽 학습지를 활용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각화 경향성과 수업 처치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인포그래픽을 구성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느낀 학생들의 응답으로부터 수업에서 인포그래픽이 점차적으로 어떻게 활용되어야 더 효과적일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뇌기능 분화에 따른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Mind Map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정영란;이주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05-813
    • /
    • 2004
  • 현재의 교육과정은 좌반구 중심의 활동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우반구 중심으로 사고하는 학생들은 학습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 따라서 우뇌 우세 학생 집단에서 학습부진아가 많이 나타난다. 특히, 과학은 좌반구 중심의 사고가 많이 요구되는 과목으로 우뇌 우세 학생들이 흥미를 잃기 쉽고 학업성취도도 낮다. 본 연구에서는 좌뇌 중심의 과학 학습에서 소외되기 쉬운 우뇌 우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방법으로 좌 우뇌 요소를 고루 활용하는 마인드 맵을 적용하여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뇌 기능 분화와 성별에 따라서 수업의 효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158명으로, 통제반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였고, 실험반은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단원은 "생물의 구성", "상태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호흡"단원으로 약 17주간 50차시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는 SOLAT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연구 결과는 SPSS 10.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x^2$검정과 공분산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중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 양상을 분석해 본 결과, 좌뇌형이 21.6%, 우뇌형이 31.4% 그리고 양뇌형이 47.1%이었고 뇌 기능 분화의 분포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05).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함으로써 우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좌뇌 학생 이상으로 높힐 수 있었다. 사전검사에서는 우뇌형 학생의 성취도가 가장 낮았으나 사후검사때서는 우뇌형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은 우뇌형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고 우뇌형 학생들에게 고무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남학생들보다는 여학생에게 효과적이어서 여학생들에게 고무적인 여학생 친화적인 과학 학습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중학교 기술·가정과 '에너지와 수송 기술' 단원의 수업과정안 및 수행평가 도구 개발 (Develop of Instructional Process Plan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for 'Energy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Unit at the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 이상봉;이도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6-215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가정과 '에너지와 수송 기술' 단원의 수송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활동을 위한 수업과정안 및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째, 에너지와 수송 기술 단원을 고찰하고,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둘째, 수송 기술 체험과 관련된 문제해결활동 주제를 선정하고, 수업과정안과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수업과정안과 수행평가 도구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받고 수정 보완하였으며, 수정된 수업과정안과 수행평가 도구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시험을 실시한 후 의견을 종합하여 개선하였다. 이상의 단계에 따라 수송 기술 체험과 문제해결활동 주제로 호버크래프트 만들기를 선정하였으며, 중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체험활동 경험과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반구조화된 문제로 개발하였다. 수업과정안은 문제기반학습 및 협동학습을 위한 8차시의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문제해결활동 과정에 따라 과제 제시 및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의 탐색과 개발, 실현,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평가 방법으로 교사에 의한 학생 관찰, 완제품 평가, 포트폴리오, 학생에 의한 자기 평가 4가지를 선정하였으며, 총 14개 영역, 25개 항목, 각 항목별 4단계 척도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과정안은 수송 기술 문제해결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예시 안으로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수업 시수, 학급당 학생 인원, 학습자 수준 등을 고려하여 차시를 가감할 수 있으며,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는 2~4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블렌디드러닝의 외적 수업형태 및 내적 수업전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Impact of Blended Learning's External Classroom Formats and Internal Teaching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s' Perception)

  • 홍예윤;임연욱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1-1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학 수업에서 시행하게 된 블렌디드러닝의 외적 수업형태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친 영향, 그리고 블렌디드러닝의 내적 수업전략이 학습자의 인식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온라인수업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 1학기 G대학에서 미적분학I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반 117명과 비교반 707명에 대한 대면수업 및 온라인수업 그리고 교수 방법의 혼합을 통한 블렌디드러닝을 실시하고 학업성취도와 학습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온라인수업만으로 한 학기를 진행했을 때보다 중간고사 이전에는 온라인수업을 진행하고, 이후에는 대면수업으로 운영하는 블랜디드 수업방식을 수행하였을 때 학업성취도가 하향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미리 준비되지 않은 단순한 외적 수업형태의 블렌디드러닝은 비효과적이었으나 온라인수업으로만 이루어진 수업형태에서 동영상 및 실시간 수업의 혼합 모형은 긍정적인 학습자 인식을 보여주었다. 테크놀로지를 혼합하여 실시한 교수전략 또한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과학 연극 수업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cience Drama in Elementary School)

  • 윤혜경;라지연;장병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02-915
    • /
    • 2004
  • 과학교육 매체로서 연극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초등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과학 연극 두 편을 개발하고, 개발된 과학 연극을 학교 현장에서 지도함으로써 과학 연극을 통한 과학 교수 학습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발한 연극은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을 다룬 '맨해튼 계획'과 혈액형의 유전 방법을 다룬 '엄마, 난 O형 이래요' 두 가지로 전자는 과학 논쟁 연극이고, 후자는 과학 개념 연극이다. 또한 6단계로 구성된 과학 연극 수업 모형과 지도 교사를 위한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과학 개념 연극은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과학 논쟁 연극은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지도 교사는 연극 수업의 준비, 실시과정에서 일지를 통해 학급에서 일어났었던 일과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였으며, 과학 연극 수업은 비디오로 녹화 분석되었다. 또 과학 연극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연극 참여 학생 일부와 관람 학생 일부를 대상으로 지도 교사가 연극 수업 직후 비형식적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업 직후 실시된 설문에서는 과학 연극 수업에 대한 반응을 5점 척도로 조사하고(4문항), 수업 전후의 생각을 비교하게 하거나 수업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을 쓰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두 과학 연극 수업에 대한 학생들과 지도교사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맨해튼 계획' 보다는 '엄마, 난 O형 이래요' 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좀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또 다른 과학 연극 수업을 기 대하기도 하였다. '엄마, 난 O형 이래요' 의 경우 연극에서 다룬 과학 지식의 내용을 대부분의 학생들(93%)이 잘 이해했으며, '맨해튼 계획' 의 경우 연극 관람 후, 원자폭탄의 사회적 이용에 대한 보다 다양한 책임 소재를 인식하였다. 그러나 핵의 위력(위험성)과 원자폭탄의 피해 상황을 부각하여 인식하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연극 수업시, 주제와 관련된 학습 활동이나 토론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지도 교사는 연극이라는 형식이 매우 새롭고 다른 수업 방법으로 다루기 어려운 내용을 지도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과학 연극 수업에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가 높은 것에 대해 만족해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이러한 과학 연극 수업이 정규 수업 외에 교사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여 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정보이용능력교육과 학교수업방법에 관한 연구 : 정보조직력 향상을 위한 정보처리 학습모형의 사용을 중심으로 (Enhancement of Information Power and Remodeling of Classroom Teaching : for Use of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cusing on Organization of Information)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47-261
    • /
    • 2004
  • 우리나라 중등교육에서 크게 대두되는 사교육비 증가, 교육의 질 저하, 교실붕괴와 같은 문제를 보도한 신문기사와 이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을 검토, 종합한 결과 문제는 평준화자체라기보다 평준화로 달라진 교육상황에 합당하게 교육방법을 바꾸지 않는데서 결과한 표면의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평준화로 인해 두드러지게 달라진 상황이란 평준화 이전에 비하여 학력수준이 천차만별인 학생들을 한 교실에서 가르치게 된 점이다. 본 연구는 수업방법을 정보처리학습모형과 같이 학생을 개별로 대응하도록 짜여졌으면서 사고력 창의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학습모형을 사용하여 집단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탈피할 것을 촉구하고, 6 단계정보처리 학습모형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어려움이 많은 정보조직 즉 종합(Synthesis)의 단계를 원리와 방법의 제시로 설파하여 교과담당교사나 사서교사들이 수업에서 참고하도록 하였다.

구성주의 관점에 의한 수학 교수-학습 모델의 설정과 수업 전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odel and Instructional Process Based on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 김선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5-92
    • /
    • 1999
  • 제7차 교육과정은 수학과 교수-학습의 중심 원리로 구성주의 이론을 들고 있다. 그리고 학습방법 면에서도 탐구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 협동 학습을 통해서 정말 쉬우면서도 재미있는 활동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교과서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교과서 편찬 방향이나 교수-학습 방법도 구성적 방법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구성주의적 요소들이 투입된 교수-학습 방법은 관심 있는 교사들에 의해 이미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들에게 수업 과정의 단계화, 지식 구성의 위계화를 이루는 데 도움을 주고, 교수-학습 방법의 기준이 될 교수-학습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모델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들어 지식의 구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모델의 적용 과정을 이해하도록 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