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Science Drama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과학 연극 수업 사례 연구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Science drama can be an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ionship by providing indirect experiences to young students. Specific science concept and knowledge can also be learned with high interests.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science drama in elementary science lessons, two scripts of science drama and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Six step model for science drama lessons was also suggested. One was 'Manhattan Project' which dealt with social, ethical responsibility in using science & technology (science argument drama), and the other was 'Mom, My blood type is O' which explained the heredity of blood type (science concept drama). Two teachers were asked to write their journals during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drama lessons, and the lessons were observed by the researcher and video taped for analysis. Some students were interviewed just after the lessons by the teacher and all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their impressions, change of their thought, what is leant etc. Overall responses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two science drama lessons were very positive, 'Mom, My blood type is O' got more positive responses, and girls were more positive than boys. Some students anticipated another science drama even suggest topics for it. 'Mom, My blood type is O' was successful in making students (grade 3) understand the knowledge related with heredity of blood type (71% of the students got perfect answer). In 'Manhattan Project' students (grade 5) perceived more diverse location of responsibility after the lesson, but the danger and harmfulness of atomic power was embossed. This implied the need of more careful planning for the relevant learning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play of science drama.Two teachers perceived the science drama as a new, useful tool for some subject which is hard to deal with by other teaching method. They were also satisfied with students' high interest and engagement during the science drama lessons but the extra time and effort for the lessons were pointed out as a main difficulties.

과학교육 매체로서 연극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초등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과학 연극 두 편을 개발하고, 개발된 과학 연극을 학교 현장에서 지도함으로써 과학 연극을 통한 과학 교수 학습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발한 연극은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을 다룬 '맨해튼 계획'과 혈액형의 유전 방법을 다룬 '엄마, 난 O형 이래요' 두 가지로 전자는 과학 논쟁 연극이고, 후자는 과학 개념 연극이다. 또한 6단계로 구성된 과학 연극 수업 모형과 지도 교사를 위한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과학 개념 연극은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과학 논쟁 연극은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지도 교사는 연극 수업의 준비, 실시과정에서 일지를 통해 학급에서 일어났었던 일과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였으며, 과학 연극 수업은 비디오로 녹화 분석되었다. 또 과학 연극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연극 참여 학생 일부와 관람 학생 일부를 대상으로 지도 교사가 연극 수업 직후 비형식적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업 직후 실시된 설문에서는 과학 연극 수업에 대한 반응을 5점 척도로 조사하고(4문항), 수업 전후의 생각을 비교하게 하거나 수업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을 쓰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두 과학 연극 수업에 대한 학생들과 지도교사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맨해튼 계획' 보다는 '엄마, 난 O형 이래요' 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좀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또 다른 과학 연극 수업을 기 대하기도 하였다. '엄마, 난 O형 이래요' 의 경우 연극에서 다룬 과학 지식의 내용을 대부분의 학생들(93%)이 잘 이해했으며, '맨해튼 계획' 의 경우 연극 관람 후, 원자폭탄의 사회적 이용에 대한 보다 다양한 책임 소재를 인식하였다. 그러나 핵의 위력(위험성)과 원자폭탄의 피해 상황을 부각하여 인식하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연극 수업시, 주제와 관련된 학습 활동이나 토론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지도 교사는 연극이라는 형식이 매우 새롭고 다른 수업 방법으로 다루기 어려운 내용을 지도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과학 연극 수업에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가 높은 것에 대해 만족해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이러한 과학 연극 수업이 정규 수업 외에 교사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여 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인태(1994). 초등 국어과의 연극교육. 국어교육, vol.8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 최영애(1999). AATE 초등연극교과과정을 통해 본 연극교육의 개별성과 통합성,연극교육연구, vol.4. 한국연극교육학회
  3. American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tiflc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 Bailey, S., & Watson, R. (1998). Establishing basic ecological understanding in younger pupils: a pilot evaluation of a strategy based on drama/role pla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139-152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202
  5. Bentley, M. L. (2000). Improvisational Drama and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1), 63-75 https://doi.org/10.1023/A:1009427831897
  6. Braund, M, (1999). Electric Drama to improve understanding in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81, 35-41
  7. Christofi, C., & 와 Davies, M. (1991). Science through Drama. Education in Science, 141, 28-29
  8. Crawford, E. (1999). Drama in Science Teaching comedy tragedy or documentary. Presentation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ASE) in Reading, UK
  9. Duveen, J. & Solomon, J. (1994). The great evolution trial: Use of role-play in the classroom. Jouu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575-582
  10. Metcalfe, R.J.A., Abbott, S., Bray, P., Exley, J. & Wisnia, D. (1984). Teaching Science through drama: an empirical investigation.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 77-81 https://doi.org/10.1080/0263514840020109
  11. Monk, M., & Osborne, J. (1997). Plac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on th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81, 403-424
  12.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93), Scope, Sequence, and coordinat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he content core.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3. Odegaard, M. (2003). Dramatic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drama in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9, 75-102 https://doi.org/10.1080/03057260308560196
  14. Shamos, M. A. (1995). The myth of scientific literacy.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15. Solomon, J. (1990). The retrial of Galileo. SATIS 1619. Vol.1 Hatfield: 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