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업모형개발

Search Result 58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project learning model on the field ophthalmic optics (안광학 연구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개발)

  • Kim, Yong-Geu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2 no.1
    • /
    • pp.75-84
    • /
    • 2007
  • In this study, I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project learning model which makes the most of PIM(Peer & Instructor Mentoring), Presentation contest, and unification of courses on the field ophthalmic optics. There were several conclusion as followings;. The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the unification and organic connections among subjects was efficient to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eer & instructor mentoring system was helpful for students to accomplish their own learning projects. Project learning model with collaboration wa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elf-controled learning ability and communicative ability. Project learning model gave its driving force to the better motivation and to the goal achievement. Project learning model was instructive for building up the related theories and concepts on the students' major. In conclusion, project learning model mixed subjects with festival, can be a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odel.

  • PDF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d Practice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마음공부 기반의 협동학습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An, Kwan-Su;Baek, Hyeon-G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6
    • /
    • pp.399-41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operative learning model by utilizing mind practice to build mutual understandings and reliability among team members at the early stage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at is to say, mind practice was applied to make the team members understanding one another and building the member's mutual confidences. The study was performed by dividing into two stages. First, the draft of mind practice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proposed by performing a literature survey and a case study. Second, the draft model was applied to actual classrooms. And the draft was modified and developed to the final model on the basis of the draft model's strength and improvement founded during the procedure of the actual application. This draft model was implemented to 46 students who were the sophomore of department of education and enrolled the profession class of "Education methodology and Education engineering" at J college in J city for 5 weeks. From the implementation result of the model, it was obtained that there was the positive reaction on applying mind practice to the beginning stage of cooperative learning. Adding of "Re-building team" step in the original steps was suggested. The final model was modified and issu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n summary, it was concluded that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mind practice could not only provide the harmonious interactions among team members at the step of "building the team members" but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freshing learning atmosphere of the team.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Dolittle Education and Robot Program Education on Creativity (두리틀 교육과 로봇 프로그램 교육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 Park, Kyoung-Jae;Lee, Soo-J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89-9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두리틀 교육과 로봇교육을 각각 10차시 분량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을 창의성 수업 모형에 따라 적용하였다. 또한 창의성 구성요소를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성 성격면으로 나누어 검사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능력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면을 측정하였으며, 창의적 성격은 호기심, 민감성, 집착력 면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비교반(일반수업) 보다 실험반(두리틀 교육, 로봇교육)의 창의성이 신장되었으며, 두리틀 교육보다 로봇교육이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Flipped-MOOC Model in University (대학에서의 Flipped-MOOC 모형 개발)

  • Park, Euns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6
    • /
    • pp.281-2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Flipped-MOOC model which can be applied and practiced in the college course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MOOC and Flipped learning. For this, this study implemented the following task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management and class types of MOOC and flipped learn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ly,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in the course for a semester and the strong point and weak point of the course was analyzed and the alternative was suggested. Thirdly, the core ideas and strategies of Flipped-MOOC model was deducted for enhancing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the students in the course which uses the MOOC content and applies flipped learning, an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direc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was suggested. As a result, Flipped-MOOC model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the educational revolution, change and quality improvement, and it is expected that Flipped-MOOC model might contribute to the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al competitivenes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Level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서 개별화 수업의 가능성 탐색)

  • Kim, Min-Jeong;Kim, Jae-Won;Son, Jeong-Woo;Han, In-Ki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4 no.2
    • /
    • pp.207-218
    • /
    • 2011
  • This research is to explor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which considered individual difference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fferentiated instruction model and mathematical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that consider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 We also investigate effectivenes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rough chang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tudying satisfaction of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after research related wit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Development of Spanish Teaching Model Applying Action Learning through Strengthening Communication (스페인어 교양수업에서 액션러닝을 통한 소통 강화 교수학습 모형 개발)

  • Kang, Pil-W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2
    • /
    • pp.121-127
    • /
    • 2021
  •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mmunication strengthening teaching model using action learning for Spanish learn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a case study of Spanish lesson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by dividing 91 students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20, 2019 into experiment and control class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both classes improved their writing ability to some extent, bu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class applying action learning showed more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the content, expressions, fluency of the text, and the affective domain test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velopment of this teaching model, which is necessary for learner-centered convergence activities, is expected to be of academic significance as it can be used for other foreign language class activities as well as improving Spanish communication.

정보통신분야의 기술정책수립 모형개발

  • 배종태;류희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10a
    • /
    • pp.173-176
    • /
    • 1996
  • 정보통신기술은 현재 및 미래의 생활양식, 사회모습, 정치/경제/문화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양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정보통신 기술개발에 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기술 정책적인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그 동안 정보통신 기술개발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국가 차원의 정책적 고려가 매우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기술정책에 대한 체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정보통신 분야 기술정책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관련자료와 기술개발 전문가 및 정책 입안자들과의 면담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기술정책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내용을 1. 비전 및 우선순, 2. 산업조직및 하부구조, 3. 기술확보, 관리및 활용, 4. 정부 역할 및 정책 추진 기본 체계, 5. 국가 기술혁신시스템의 구축등 5개 부문으로 구분하고 각 부문별로 우리나라 정책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둘째, 정보통신 기술개발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여 3단계 기술정책 수립모형을 개발하였다. 1단계에서는 검토대상사업이 정보통신 기술정책의 기본 지침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2단계에서는 검토대상사업이 정보통신 기술정책의 내용상 우선순위에 부합하는지 검토한다. 3단계에서는 구체적인 기술정책지표에 의해 검토대상사업을 항목별로 검토하고 종합평가하여 최종의사결정을 한다. 여러 기술정책지표 항목들에 대해 가중치를 주어 평점모형(Scoring Model)을 통해 종합지표를 산출할 수도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3단계 기술정책 의사결정과정 모형을 CDMA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4) 교수-학생간의 인간적인 관계, (5) 숙제 및 과제물과 같은 5가지의 요인으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AHP를 이용하여 각 요인들의 수업효과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를 조사하였다. 특이한 결과는, 미국학생의 경우 수업준비 및 강의 방법이 상대적으로 중시된 반면, 한국학생들은 미국학생들이 비교적 덜 중시하는 교수-학생간의 인간적인 관계가 수업효과를 높이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교수-학생간의 인간적인 관계가 중시되는 교육환경하에서, 정보화 사회의 한 수업형태인 재택수업을 외국(특히 미국)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 실시할 경우, 많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따라서 우리 교육문화에 맞는 재택수업 형태의 개발이 시급함을 제시한다고 하겠다.column density of HCaN is (1-3):n1014cm-2. Column density at distant position from MD5 is larger than that in the (:entral region. We have deduced that this hot-core has a mass of 10sR1 which i:s about an order of magnitude larger those obtained by previous studies.previous studies.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PBL-based Instruction Model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ICT 활용 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Jung, Hyo-Sook;Jun, Woo-C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6 no.3
    • /
    • pp.347-360
    • /
    • 2002
  • Advances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require new paradigms in every aspect of our society. In this sense, schools are supposed to educate students to solve real-world problems with ICT. However, schools have not provided quality education to students for learning ICT and applying it. It is thu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CT instruction models for creative students to lead the information society. One of the popular instruction models using the Web is the project-based model. The model includes inquiry activities of areas, such as variety of subjects, real-world problems, issues, and presentation activities of study results. The model also encourages interactions among students for achieving common goal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CT application instruction which provides four major enhancements to the existing project-based model. The stages of model consist of eight activities type and supporting tools. Also, we implement our proposed model for some elementary school courses.

  • PDF

Effectiveness of PB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플립드러닝 기반 PBL 모형 중학교 영어 수업의 효과)

  • Won, Youngmi;Park, Yangj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1
    • /
    • pp.185-19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PB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examine its effects. Recently, various attempts to combine flipped learning and PBL have been made; however, many studies have not been applied to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s yet. The attemp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e instructional model wa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rogram followed the general design procedure(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evaluation), and its validity was secured with the advice of related exper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English key competency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hanges i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by the paired-sample t-test, and the effect of key competency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test performance (high vs, low) on the pre-post score change was analyzed by the mixed effects repeated measures AN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key competencies increased, and the low-level students in the pre-academic achievement test showed more improvements. In conclusion, the PBL class based on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key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particular, it is shown to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