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실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6초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Perioperative Nurses)

  • 윤계숙;박성애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0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explore and measure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perioperative nurses, specif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perioperative nursing in Korea. Method: Items (69) were developed from the responses to two open-ended questions by 168 perioperative nurses in one teaching hospital; (a) reasons that make work enjoyable, (b) reasons that make work unpleasant. Finally 55 items were selected, excluding items with lower correlation with the total scale. The instrument was completed by 885 perioperative nurses from 89 different hospitals nationwide who were attending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perating Room Nurses (KAORN), yielding a response rate of 95.6%. Results: Ten factors we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which explained 60.0% of the total variance;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established (Cronbach's alpha=.95). A smaller sample of 39 perioperative nurses completed the instrument on two occasions, with a 2-week interval between. Mean scores were computed and two sets of scores were analyzed by Weighted Kappa (W-Kappa=0.680, p=.029). Conclusion: This instrument is a concise, highly practical and flexible tool, which can be used for the perioperative nurse in a wide range of hospital settings.

수술실 간호인력 대상 수술부위 감염관리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al Training on Surgical Site Infection Management for Operating Room Nursing Staff)

  • 허연정;남소희;현혜진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3-9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brochure- and video-based education on managing surgical site infections by operating room health personnel. Methods: From April 20 to May 4, 2021, 34 operating room health personnel were subjected to training on surgical site infection management using brochures and educational videos. A survey was then conducted on knowledge, perception, and adherence regarding surgical site infection management. Results: After receiving training on surgical site infection management, the knowledge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15.15±2.09 vs.19.70±1.96, p<.001). However, the perception and adherence scores were already near perfect before the intervention and did not further increase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continuous and substantive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perception and adherence of surgical site infection management.

단심실에서 폐동맥 교약술의 유용성 및 수술전략 (Usefulness and Surgical Strategies of Pulmonary Artery Banding in Functional Univentricular Heart)

  • 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39-448
    • /
    • 2002
  • 폐동맥 교약술은 기능성 단심실 환아에서 폐혈류가 많은 경우 시행하는 고식적 수술 방법 중의 하나 이나 이들 환아의 최종 목표인 폰탄수술에 있어서는 유병율과 사망률의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본원에서 기능적 단심실로 폐동맥 교약술을 시행 받은 3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최소한 24개월 이상 외래 추적한 상태에서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전후로 대동맥 협착의 유무, 대동맥하 협착의 발생 유무 그리고 수술 방법에 따른 사망률의 위험 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기능적 단심실의 혈류역학을 가진 37명의 영유아에서 폐동맥 교약술 전후로 대동맥 협착이 동반된 경우는 7례였다. 폐동맥 교약후 조기 사망은 6례 (16.2%), 만기 사망은 폰탄수술후 3례 (8.1%) 였다. 조기 사망을 포함한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80.7$\pm$6.6%, 72.2$\pm$8.2% 였다. 폐동맥 교약후 생존한 31명의 환아중 27명이 폰탄수술의 대상(87.1%)이 되며 이중 22명이 폰탄수술을 시행하였고(71.0%) 이 중 3명이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5명은 양방향성대정맥폐동맥단락술이나 폰탄수술을 기다리고 있다(외래 추적, 평균 4년 6개월, 최소 2년). 폐동맥 교약후 8명의 환아에서 대동맥하 협착이 발생하였으며(8/29, 27.6%), 이중 대동맥 협착이 없었던 환아에서는 3명이 발생하였고(3/22, 13.6%) 대동맥 협착이 있었던 환아에서는 5명이 발생하였다(5/7, 71.4%). 대동맥하 협착이 발생한 환아에서 초기 2명은 원추중격절제를 시행하였는데 장기 생존은 없으며 그후 6명은 Damus-Kaye-Stansel 술식을 시행하였는데 사망은 없었다. 위험 요소 분석에서 페동맥 교약술시 대동맥 협착이 동반된 경우는 향후 대동맥하 협착 발생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p<0.001). 양방향성상대정맥폐동맥단락술을 거치지 않고 폰탄수술을 한 경우가 만기 사망에 있어서는 유일한 위험 요소였다 (p=0.001). 결론: 폐혈류가 많은 기능성 단심실 환아에서 1차 고식적 수술 방법으로 폐동맥 교약술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대동맥 협착이 동반된 고위험군에서도 단기간의 폐동맥 교약술을 거쳐 엄격한 추적관찰을 통하여 대동맥하 협착이 발생할 경우에 Damus-Kaye-Stansel 술식을 추가하는 경우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수술 방침으로 궁극적으로 폰탄수술에 적합한 혈류역학과 해부학적 형태를 기대할 수 있다.

변형 폰탄 수술 시행 이후에 방실 판막 폐쇄부전의 변화 양상 (A Trend for Atr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after a Modified Fontan Operation)

  • 임홍국;이창하;서홍주;김웅한;황성욱;이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05-312
    • /
    • 2008
  • 배경: 여러 단계의 수술이 필요한 기능성 단심실 환자들에서 방실 판막의 해부학저이고 기능적인 기형이 흔하고, 방실 판막 폐쇄부전과 관련된 위험성은 잘 알려져 있다. 본 저자들은 폰탄 수술까지의 과정에서 방실 판막 폐쇄부전에 대해 적극적으로 수술적 교정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기능성 단심실을 가진 209명의 환자에서 폰탄 수술이 시행되었다. 이중 폰탄 수술 후 심장 초음파 검사의 추적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 되는 168명의 환자들에 대해서 방실 판막 폐쇄부전의 발생, 방실 판막 성형술의 효과와 폰탄 술 후 방실 판막 폐쇄부전의 진행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폰탄 수술 시기까지 25명의 환자에서 30예의 방실 판막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양방향성 체정맥-폐동맥 단락술시 9예에서, 양방향성 체정맥-폐동맥 단락술과 폰탄 수술 사이에 4예에서, 폰탄 수술시 17예에서 시행되었다. 이중 5명의 환자는 방실 판막 술식을 두 번 시행 받았다. 결과: 폰탄 수술 후 중앙값 52개월(범위: 6개월${\sim}$123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7명(4.2%)의 환자들이 만기 사망하였다. 마지막 추적 관찰 시 3도 이상의 방실 판막 폐쇄부전이 6예, 의미 있는 방실 판막 협착이 1예에서 있어, 7명(4%)이 좋지 않은 판막 기능의 결과를 보였다 이중 4예는 폰탄 수술 후 방실 판막 성형술이 시행되었으며, 1예는 방실 판막 치환술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폰탄 수술 후 마지막 추적 관찰 시 30명(18%)에서 2도 이상의 방실 판막 폐쇄부전이 관찰되었으며, 이중 이전에 방실 판막 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이 12예였다. 폰탄 수술 후 방실 판막 폐쇄부전의 진행에 유의한 위험인자는 초기 방실 판막 폐쇄부전의 정도, 이전에 방실 판막 수술의 시행 여부와 공통 방실 판막이나 승모판막 폐쇄증의 방실 판만 구조였다. 결론: 단심실 환자들에서 방실 판막 페쇄부전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로 폰탄 수술 후 의미 있는 방실 판막 폐쇄부전은 낮은 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폰탄 수술후 방실 판막 폐쇄부전의 진행을 평가하기 위해서 방실 판막의 구조나 초기의 방실 판막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들에서는 특히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이소성증후군에서의 심장외도관 폰탄 수술의 결과 (The Results of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 in the Patients with Heterotaxy Syndrome)

  • 임홍국;김수진;이창하;김웅한;황성욱;이철;오삼세;백만종;나찬영;김재현;서홍주;정성철;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29-537
    • /
    • 2005
  • 배경: 이소성증후군과 기능적 단심실을 동반한 환자들은 체정맥 또는 폐정맥의 연결이상, 폐쇄부전을 동반한 공통 방실판막, 우심실형의 단심실과 부정맥이 많이 동반되어 폰탄 수술의 결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환자들에 대한 심장외 도관 폰탄 수술의 치근 결과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5년까지 기능적 단심실로 폰탄 수술을 받은 62명(연령: $54.79\pm33.97$개월)의 이소성증후군 환자들에 대하여 심장외 도관 폰탄 수술을 시행하였다. 좌측 이소성 환자가 21명이었고, 우측 이소성 환자가 41명이었다. 2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들에서 양방향성 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을 시행하였으며, 천공은 좌측 이소성에서 더 적게 필요하였다. 걸과: 좌측 이소성 군에서 하대정맥 단절과 폐동정맥루가 더 많았으며, 우측 이소성 군에서 페정맥의 연결 이상,공통 방실판막과 우심실형의 단심실이 더 많았다. 병원 내 사망은 3예$(4.8\%)$였으며, $48.8\pm31.0$개월간 추적 관찰하여 만기 사망은 3예$(5.2\%)$였다. 누적생존율은 8년에 좌측 이소성에서 $90.5\pm6.4\%$와 우측 이소성에서 $88.6\pm5.4\%$로 차이가 없었다(p=0.94). 재수술의 자유도는 8년에 좌측이소성에서 $73.9\pm11.3\%$와 우측 이소성에서 $82.3\pm6.7\%$ 로 차이가 없었다(p=0.87). 술 후 이소성증후군에서 방실판막 페쇄부전이 진행하였으며, 좌측 이소성 군에서는 폐동정맥루에 대한 재수술과 동결절 기능장애에 의한 인공심박조율기 삽입이 더 필요하였다. 걸론: 이소성증후군이 있는 기능적 단심실 환자는 심장외 도관 폰탄 수술, 천공, 단계적 수술과 동반된 기형의 적극적인 수술로 폰탄 수술 후 생존율은 호전되었다. 그러나 수술 후 방실판막 폐쇄부전, 부정맥, 그리고 페동정맥루에 대한 술 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진료실 CAD-CAM에 의한 컴퓨터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과 즉시 임시보철치료: 증례보고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 and immediate provisionalization by chair-side CAD-CAM: A case report)

  • 현상우;이성복;이석원;조영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78-486
    • /
    • 2021
  • 치과와 기공실을 오가며 복잡하게 진행되는 기존 CAD-CAM 컴퓨터 가이드 제작 방식을 단 순화하기 위하여, 진료실에 설치한 바로가이드 시스템(VARO Guide, CAD, Pre-Guide, VARO-mill, NeoBiotech, Seoul, South Korea)을 통하여 Top-Down 개념과 수복 주도개념을 적용하여 1-day 수술과 임시보철을 완료하는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Pre-Guide를 통해 환자의 중심위에서 교합을 채득하고 CT를 촬영하며, 진료실 내 컴퓨터에서 CAD를 통해 바로가이드를 1시간 내에 제작하였다. 미리 제작된 광중합 레진이 담긴 Pre-Guide 트레이를 술부에 위치시킨 후 중심위에서 CT를 촬영하였다. CT 데이터가 진료실 내 컴퓨터로 전송되면 수복 위치를 정한 후 이어서 3차원적으로 턱뼈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할 위치를 디자인하여 STL 파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진료실에 설비된 밀링 기계(VARO-mill)에 Pre-Guide를 고정하여 수술용 가이드를 15분 내에 제작한다. 이 가이드로 환자는 한번 내원하여 임플란트를 계획한 위치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술해 줌과 더불어, 초기고정력이 양호한 임플란트에 대해서는 즉시임시치아까지 장착해 주어 환자에게 즉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과 방사선 방어행위에 대한 인식도 및 수행도 (Knowledge of Radiation Protection and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 among Perioperative Nurses)

  • 강성금;이은남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7-25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radiation protection and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among perioperative nurs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yiel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the nurses'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Methods: One hundred and thirty-seven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 participated in a survey from September 1 to 30, 2011.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ith the SPSS/WIN 19.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radiation protection knowledge was $7.57{\pm}3.45$ out of 16. The average score for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was $4.32{\pm}0.23$. The knowledge of radiation prote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Conclusion: Expanding the knowledge of radiation protection could lead to the increase of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Therefore,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radiation protection behaviors by improving perioperative nurses' knowledge of radiation protection through reinforcing radiation-related education hereafter could be an important part of nursing.

수술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전문직 자아개념, 긍정심리자본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perating Room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 문현숙;신성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6권2호
    • /
    • pp.139-14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performance of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8 operating room nurses with more than a year of experience in one of the general hospitals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8 to 29 November 2019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method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self-leadership,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perating room nurs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erformance. The performance of operating room nurses was the most affected by professional self-concept (β=.32, p=.002), followed by operating room career (β=.22, p=.037)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20, p=.039),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a nursing performance of up to 42.9% (F=12.06, p<.001).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operating room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수술실 간호과오 측정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Scale of nursing malpractice in operating room)

  • 김명수;김정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3-203
    • /
    • 200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Operating Room Nursing Malpractice Scale and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and to describe frequency of malpractice. Method : The subjects used to verify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179 nurses who working at 3 university hospital and 6 general hospital in Busan and Kyoung nam province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0, 2002.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WIN 10.0 program. Result : The factor analysis classified a total 5 factors statistically, it's communality was 44.18%. Item content are as follows. The factor were 'malpractice in the patient's preparation', 'malpractice in nursing technique', 'malpractice in the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malpractice of the patient's security', 'malpractice in the supervision of the patient'. The most frequent malpractice was 'The patient complained of waiting for a long time to go back from the operating room because of inadequate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partment'. Conclusion : The scale of operating room nursing malpractice was to prevent the severe nursing accident and to provide the basis of needs of educational program.

  • PDF

수술실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 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Level of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Operating Room Nurses)

  • 허선;김인숙;김계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5-385
    • /
    • 2008
  •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n the level of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of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 nurses who worked in operating rooms of six medical centers in located Gwangju and Chonanam area. Data were collected during October, 2006 by the questionnaire including a total of 124 questions.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use of SPSS 12.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level of practice by marital status(t=3.957, p=.048), education level(F=3.691, p=.027), position(F=6.588, p=.002), type of hospital(t=4.857, p=.029), number of nurse(F=4.243, p=.007), education about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F=3.069, p=.030), management council(t=6.397, p=.012) and management manual(t=6.961, p=.009).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r=.389, p=.000), and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r=.389, p=.000). Knowledg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wareness of hands washing and positions were affecting factors on the level of practi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knowledge and awareness on nosocomial infect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perating room nurse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sistent education. and support of administrator's of hospitals is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