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실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4초

수술과 항암치료 후 종양표지자 검사의 상승으로 복막 가성점액종의 재발을 확인한 1례 (A Case of Recurred Pseudomyxoma Peritonei Identified by Serially Elevated Serum CEA Levels after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 한인섭;송근암;김광하;이봉은;백동훈;이성준;이문원;한성용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32-35
    • /
    • 2016
  • 복막 가성점액종은 표준치료인 종양감축수술과 함께 복강 내 고온열 항암요법과의 병합치료로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재발성 병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종양감축 수술이 권고되고 있지만, 치료시기에 따른 이환율과 사망률의 차이가 있어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수술 전 혈청 종양표지자 검사의 수치 이상 여부에 따른 재발과 생존율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들은 있지만, 추적관찰 중 수치 이상에 따른 재발여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CSR과 HIPEC, 그리고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CEA의 수치 상승이 질병의 재발과 상관관계가 있었음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 항암요법으로 시행한 FOLFOX 치료로 완전 관해를 보인 1례 (A Case of Complete Response with FOLFOX Based Neo-adjuvant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Lymph Node Metastasis)

  • 김명희;정현용;문희석;성재규;강선형;김주석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40-44
    • /
    • 2018
  • 국소적인 진행성 위암의 근치적인 치료는 수술이 첫 번째 방법이다. 하지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약 30% 만이 수술이 가능한 진행성 위암으로 진단을 받으며 그 중 약 40-60% 만이 R0 절제술이 가능하다. 저자들은 위 주위 림프절과 복강 림프절, 장막을 침범한 진행성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3주간의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하였고, 근치적인 목적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병리검사에서 완전히 괴사된 종양 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수술 후 현재까지 3차례의 추가적인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추적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재발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양에서 좌측 개흉술 하에 완전인공심장의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Total Artificial Heart as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 Left Thoracotomy in an Ovine Model)

  • 원태희;민병구;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96-304
    • /
    • 2001
  • 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개발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동물실험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동작동형 완전 인공심장의 양심실 보조장치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7마리의 Corridale 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번째 늑간극을 통하여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고 좌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에 Dacron graft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유입로 캐뉼라는 좌심방에 삽입하였다. 우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과 같은 방법으로 주폐동맥에 연결하였으며 유입로 캐뉼라는 혜동맥을 하방으로 젖혀 우심방이를 노출시킨 다음 우심방이에 삽입하였다. 4마리에 있어서는 양심실 보조장치를 전복막강(preperitoneal space)에 위치시켰으며 2마리에 촤측흉강 내에, 1마리에서는 외부에 위치시켰다. aPTT는 수술전 aPTT의 2∼2.5배로 맞추어 주었다 결과: 수술중 또는 수술직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으며 7마리 모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고 스스로 기립하고 음식물 섭취도 가능하였다. 1마리는 술후 2일째 혈전 색전증 및 인공호흡기 작동 잘못으로 사망하였으며 2마리의 겨우는 술후 2일째 각각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 잘못 및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고, 3마리의 경우는 술후 4일째 혈전색전증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및 호흡부전 등으로 사망하였다. 1마리에 있어서는 28일간 생존하였으며 양심실 보조장치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 라인의 마로로 인해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나 바로 양심실 보조장치를 제거하고 살릴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는 캐뉼라를 삽입하고 양심실 보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7마리 중 4마리에서 혈전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판막을 연결한 부위에 혈전생성이 많았다. 그러나 캐뉼라에는 혈전생성이 없었다. 결론: 양에 있어서 좌측 개흉술 및 전복막강 공간에 양심실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는 이번 동물실험 모델은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개발을 위한 좋은 동물실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디동 작동기형 완전 인공심장의 혈전생성을 억제할수 있는 방법들의 연구개발이 지속된다면 장기간의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에 따른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Associated with Tasks of Operating Room Nurses)

  • 박현희;이꽃메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1-359
    • /
    • 2005
  • Purpose: To find the factors of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operating room nurses (OR nurses) and then to use the factors as basic information for preventing and managing musculoskeletal symptoms in OR nurses. Method: This study was an explorator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OR nurses working at 8 polyclinic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6 2004 to August 19 2004. The questionnaire contains 7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18 questions on tasks in the operating room. Result: 187 (75.1%) nurses said they 'had'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career as an OR nurse, skillfulness, satisfaction with tasks in the operating room, perception on suitable treatment, care of symptoms by the hospital. weight of hospital linen and weight of a basic operation set (p<.05). Conclusion: Musculoskeletal symptoms complained of by OR nurses were significant. This may cause difficulties in nursing tasks in the operating room. Thus, various arrangements should be made for OR nurse with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at the early stage.

  • PDF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확보 경험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s of Securing for Patient Safety)

  • 박광옥;김종경;김명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1-77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xperience of securing patient safety in hospital operating rooms. Methods: Experiential data were collected from 15 operating room nur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ain question was "Could you describe your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Qualitative data from the field and transcribed notes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in the operating room was 'trying to maintain principles of patient safety during high-risk surgical procedures'. The participants used two interactional strategies: 'attempt continuous improvement', 'immersion in operation with sharing issues of patient safe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ortant factor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atients in the operating room are manpower, education, and a system for patient safety. Successful and safe surgery requires communication, teamwork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by the surgical team.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perating Room Nurses)

  • 윤미정;임여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112-12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OR). These factors includ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A total of 185 OR nurses from nine general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across three 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1.0. Results: The mean score f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3.62 out of 5.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feedback on job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f OR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48.2%. Conclusion: Reinforc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individual OR nurses and organizational efforts to endorse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s required. It follows that OR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an be enhanced based on mutual trust, cohesiveness, and feedback on their work performance.

자가이동형 청정격리기의 성능평가에 환한 연구 (Efficiency Evaluation of Self Removal Type Clean Isolator)

  • 엽무종;김윤신;이철민;장기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1-422
    • /
    • 2002
  • 병원은 환자가 모여 치료를 받는 곳이지만 이곳에 모인 대부분의 환자 중 맡은 사람이 감염증을 갖고 있거나 다른 환자에 대해 전염원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홍영이, 1983). 즉, 백혈병 및 암 환자들이 (특히, 골수암) 수술실에서 수술을 마치고 무균실로 옮기는 과정이나 골수이식을 받을 경우 병원 내에서 이동할 때 저항력이 없는 상태에서 외부 병원균으로부터 신체 내에 감염을 막을 방법이 현재로서는 전혀 없다(산업자원부 2002). (중략)

  • PDF

병원 수술실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operating room)

  • 정을규;오정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3-110
    • /
    • 2003
  • In the early 1990's the clean room system was a new trend of the operating room. This is the concept using in seminconductor plants. That is what the space around the operating table so clean as it remove contaminations with circulation of interior air. These articles describe the standard of interior construction and drawing details.

개심술후 시행한 양심실보조장치의 성공치험 수술례 (Postcardiotomy Biventricular Assist Device in Adult Heart Disease.)

  • 이재원;유양기;정성호;김건일;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403-406
    • /
    • 2001
  • 본 증례는 66세(51.8kg)된 남자에서 수술전 심한 좌심실 기능 부전과 승모판 및 삼첨판 폐쇄부전이 있어 개심술 시행후 심한 저심박출증 발생으로 인공심폐기 이탈에서 실패하고 양심실 보조장치(Centrifugal Biopump)를 사용한 후 이로부터 성공적인 이탈과 퇴원이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