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실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7초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Perception of Teamwork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 박미마;김선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71-281
    • /
    • 2018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의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종합병원 수술실에서 6개월 이상 임상경력을 가진 간호사 110명이다.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비교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령이 높은 군과 교육수준이 높은 군이 유의하게 환자안전역량점수가 높았다.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유의한 양의 상관(r=.37)을 보였고, 팀워크와 환자안전관리활동도 유의한 양의 상관(r=.21)을 나타냈다. 회귀분석결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 인식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5.7%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을 위해 환자안전역량과 팀워크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추가적으로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Involvement in Operating Room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 이다윤;조옥희;황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265-27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 24개 중소병원의 수술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7월부터 9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몰입은 간호근무환경 또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정 상관관계가 있었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간호근무환경과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들이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직무에 몰입하도록 돕기 위해 심리적 임파워먼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 이경희;이영신;박해경;류정옥;변인승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2호
    • /
    • pp.204-21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OR) nurs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fety care activities. Methods: For this descriptive researc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68 OR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university-affiliated and general hospit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grav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7.0.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3.27 out of 5 points and that of safety care activity was 4.31 out of 5.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Also, the scores of safety ca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OR nurses' position, education levels, and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Their explanatory power on safety care activity was 8.8%, which includes working environment in operating room 3.3% and nursing position 5.5%. Conclusion: Compared to the level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the OR nurses'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low. Give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in each hospital, it needs to increase the OR nurses'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activities related to patient safety.

주요대동맥-폐동맥 측부혈관이 동반된 기능적 단심실 환자에서의 폰탄수술 (Fontan Procedure for Functional Single Ventricle with Major Aortopulmonary Collateral Arteries)

  • 홍순창;박한기;조범구;박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39-542
    • /
    • 2004
  • 폐동맥 형태가 비정상적이거나 폐동맥 저항이 높은 경우뿐 아니라 주요 대동맥-폐동맥 측부혈관은 폰탄 수술의 위험을 높이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능적 단심실과 더불어 양측 폐동맥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고 양측 폐의 대부분을 주요 체-폐동맥 부행혈관에 의해 혈류가 공급되는 고위험 폰탄수술 환자에서, 단일초점화수술과 체폐동맥 단락술로 폐동맥 재건과 단계적 수술을 거쳐 성공적으로 폰탄수술에 이르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수술 전 평가와 마취

  • 오용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3호
    • /
    • pp.117-122
    • /
    • 2002
  • 전통적으로 수술 전 평가는 수술 전날 밤에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외래수술을 받는 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많은 환자들이 수술 당일 아침에 마취과 의사를 처음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심각한 내과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도 충분한 수술 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태에서 수술실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마취과의사는 주술기(perioperative)의 환자 상태를 관리하는 주된 역할자로서 수술 전 환자에 대한 평가를 충실히 해야 한다. 수술 전 평가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고, 수술 중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에 대비하며, 수술실을 넘어서 중환자실, 통증치료실에서의 마취의사의 역할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발전하고 있는 수술 전 평가 클리닉은 환자의 수술준비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마취의사에게는 상당한 장점과 편리성을 제고하는 것이고, 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급변하는 병원관리정책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다.

  • PDF

수술 전 평가와 마취 (Preoperative Evaluation and Anesthesia)

  • 오용석
    • 대한위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위암학회 2002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 /
    • pp.37-46
    • /
    • 2002
  • 전통적으로 수술 전 평가는 수술 전날 밤에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외래수술을 받는 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많은 환자들이 수술 당일 아침에 마취과 의사를 처음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심각한 내과적 문제를 가진 환자들도 충분한 수술 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실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마취과의사는 주술기(perioperative period)의 환자 상태를 관리하는 주된 역할자로서 수술 전 환자에 대한 평가를 충실히 해야 한다. 수술 전 평가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고, 수술 중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에 대비하며, 수술실을 넘어서 중환자실, 통증치료실에서의 마취의사의 역할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발전하고 있는 수술 전 평가 클리닉은 환자의 수술준비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마취의사에게는 상당한 장점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환자 관리의 질적 향상과 급변하는 병원관리정책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다.

  • PDF

$CAVE^{TM}$-like 시스뎀을 이용한 수술실 시뮬레이션 프로토타입 (A Prototype of Operation Room Simulation in $CAVE^{TM}$-like System)

  • 박성원;김명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22
    • /
    • 2003
  • 가상현실을 응용한 의료 시뮬레이션은 가상의 3차원 인체모델을 대상으로 위험부담 없이 정확하고 반복적인 훈련 및 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의료 시뮬레이션 분야에 도입되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기존의 데스크탑 기반 모니터와 테이블 형태의 가상환경 보다 몰입된 가상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CAVE$^{TM}$-like 시스템에서의 수술실 환경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체의 주요 장기와 뼈를 삼차원 모델로 생성하고, 이 삼차원 모델과 동시에 이에 대한 이차원 단면 영상과 각각의 명칭 및 구조를 설명하는 해부도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제 수술실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몰입감을 향상시킨다. 이에 덧붙여 VRML의 센서와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인터렉션을 제공하며 보다 현실감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PDF

수술실 CCTV 설치의 쟁점과 입법방향에 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Major Issues and Legislative Considerations of CCTV Installation in an Operating Room)

  • 김성은;최아름;백경희
    • 의료법학
    • /
    • 제22권2호
    • /
    • pp.111-138
    • /
    • 2021
  • 대리수술 및 유령수술 등으로 대변되는 '비의료인의 의한 무면허의료행위'는 생명·신체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야기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엄격하고 진지한 관리가 필요한 영역에 속한다. 무면허 대리수술 근절 등을 위한 '수술실 내 영상정보처리기기(CCTV) 설치법안'은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온 영역이나 많은 쟁점과 찬·반 대립이 극심하여 오랜 기간 관계법안이 국회에 계류되어 왔다. 그러나 그간 미용성형수술 분야에서 문제되어 온 대리수술 및 공장식 성형수술은 물론, 최근에는 치료적 수술 영역에서도 무면허 대리수술 사건이 발생하는 등 관계법안이 국회에서 본격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수술실은 기본적으로 밀실성과 폐쇄성, 내부자 간 침묵의 공모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이들 간에 불법행위를 공모·은폐하는 경우는 물론, 정당한 수술행위라 하더라도 영리목적의 많은 수술실적을 위하여 집도의가 신속한 성형수술 후 의료기관을 이탈하여 수술종결 및 회복에 심각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는 측면에서 CCTV는 불법행위의 규명과 과실 판단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면, 성형수술 외 치료목적 수술의 근본 목적이 환자의 생명·신체 회복이라는 구명(救命)에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볼 때는 수술과정 촬영이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감시와 불신에서 출발하게 하여 환자 측이 최상의 수술결과 달성미흡 등을 이유로 한 촬영기록 열람과 분쟁의 증가, 주치의에게 부담을 증가시켜 과감한 수술의 단행보다는 양심에 반하는 비침습적 치료로 전환하게 하거나 수술시기의 판단에 어려움을 유발하는 등 외과계 의료제공에 제한이 초래되어 개별 의사와 환자 간의 관점은 물론, 장기적 관점에서도 국민과 환자에게 불이익이 발생할 우려 또한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수술실 CCTV 설치에 대한 국내·외 현황과 쟁점 등을 살펴보고 제도 도입에 따른 법리적 문제점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입법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과 대안을 제시하여 국민과 환자, 피수술자의 생명과 건강 보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웹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 선택속성이 수술실 신규간호사의 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eb-based Video Program Selection Attributes of Confidence in Nursing Performance-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 박정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85-494
    • /
    • 2021
  • 본 연구는 수술실 신규간호사의 웹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 선택속성이 학습 몰입을 매개로 차후 간호 수행능력에 관한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인천 및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의 수술실 근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50개의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7월부터 8월까지 수집되었다. 참가자들은 인천과 경기에 있는 대학병원 수술실 250명의 간호사이다. 수집 된 데이터는 IBM SPSS Statistics 25.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조모형을 통해 위에 적합도 지표를 기반으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수술실 신규간호사는 수술과 1차적으로 직결되는 위생 안전요인과 환자 관리요인을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하게 인지하였다. 학습 몰입을 통하여 차후 간호 수행능력에 관한 확신이 있었고, 위생 안전요인의 경우 학습 몰입이 없어도 수술실 신규간호사가 중요성을 인지하여 차후 간호 수행능력에 관한 확신에 긍정적 영향이 미침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시각적 효과에 더 비중을 둔 웹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 구성을 통해 간호의 위생 안전요인뿐만 아니라 환자 관리요인 그리고 간호 관련 요인 모두가 환자의 생명과 회복에 핵심적 단계임을 신규간호사에게 적합하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수술실] 욕창예방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 조사 (A Survey of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Pressure Injury in the Operating Room)

  • 김승옥;신용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35-644
    • /
    • 2018
  • 수술실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상급 종합병원 4개와 전문병원 3개를 온라인 무작위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정하였고 선정된 수술실에서 6개월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였고 설문지는 총 150명에게 배부하여 129명에게 회수(회수율 86%)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은 측위 43명(33.3%), 앙와위 37명(28.7%), 복와위 36명(27.9%)이 수술 체위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 경험을 갖고 있고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은 젤 102명(79.1%), 스폰지 62명(48.1%), 솜 47명(36.4%)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전후로 2회(90명, 69.8%) 피부사정을 실시하지만 욕창위험 사정을 위해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고(76명, 58.9%)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83명,64.3%)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49명,38.0%)임을 확인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이 수술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이 젤, 스폰지, 솜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