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소-공기 확산 화염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희석된 동축공기 수소 난류확산화염의 화염 길이 스케일링 (Flame Length Scaling in a Non-premixed Turbulent Diluted Hydrogen Jet with Coaxial Air)

  • 황정재;오정석;윤영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42-245
    • /
    • 2009
  • 희석된 동축공기 수소 난류확산화염에서 연료의 구성이 화염 길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염의 길이는 동축공기와 연료 제트의 속도비의 함수로 표현하였고, 이론적 예측과 비교하였다. 네 조건의 연료 구성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축공기 제트 화염의 길이 예측을 위해 near-field concept에서의 유효 직경을 이용한 스케일링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 가시 화염의 길이는 이론적 예측과 크게 일치하였다. 여러 연료 조건에서의 희석된 수소 제트의 화염에서도 스케일링 분석은 유효하였다.

  • PDF

수소/액체연료/공기의 연소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for Hydrogen/Liquid Fuel/Air Mixture)

  • 임복빈;백승원;김광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93-29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수소/액체연료/공기의 연소특성에 대해 CFD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소/공기의 난류 비예혼합 화염에 대한 반응물과 생성물의 몰분율을 Barlow실험 결과와 비교하였고, X축 방향의 온도분포를 Flury의 실험 값과 비교하여 값이 물리적으로 근사함을 확인하였다. 혼합분율(Mixture Fraction)과 확률밀도함수(PDF)의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화염진단과 오염물질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간 종들의 몰분율을 확인하였다. 수소/액체연료/공기에 대해서는 화염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연료와 산화제의 속도비 변화(100,10,1,0.1)로부터 산화제속도가 연료속도 보다 클 경우 고속 측인 산화제에 의해 연료의 확산이 지배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화염의 온도분포가 최고가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소과정 중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수치적으로 해석하여 최저의 오염농도를 가질 수 있는 속도 비를 찾아 낼 수 있었다. 수소/공기와 수소/액체연료/공기의 온도 장 비교를 통하여 수소/액체연료/공기의 혼합물이 대체에너지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소 난류 확산화염에서의 선회류에 의한 배기배출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NOx Emission in a Swirl Flow in Nonpremixed Turbulent Hydrogen Jet with Coaxial Air)

  • 오정석;윤영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3호
    • /
    • pp.275-282
    • /
    • 2010
  • 동축공기 수소 난류 확산화염에서 선회류가 NOx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기와의 혼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축공기관에 스월러의 각도를 30, 45, 60, $90^{\circ}$로 바꾸어가며 화염길이와 질소산화물 배출수준을 측정하였다. 연료 속도를 85.7~160.2 m/s, 동축공기 속도는 7.4~14.4 m/s로 조절하였다. 실험을 통해 동축 공기 속도 증가에 따라 화염길이와 질소산화물 배출수준은 증가하였고, 회전류 증가에 따라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EINOx에 미치는 동축공기와 회전류 영향을 상사하기 위하여 far-field 개념의 유효직경($d_{F,eff}$)을 도입하여 동축공기와 선회류에 의한 혼합효과를 표현하였다. 질소산화물 배기배출지표는 화염체류시간(${\sim}{\tau_R}^{1/2.8}$)과 전체 신장률(${\sim}{S_G}^{1/2.8}$)에 영향을 받았다.

질소희석이 부상된 수소 난류확산화염의 화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Nitrogen Dilution Effects on Liftoff Flame Stability in Non-premixed Turbulent Hydrogen Jet with Coaxial Air)

  • 오정석;윤영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93-396
    • /
    • 2008
  • 질소 희석 가스가 수소화염의 화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연료는 수소이며 수소화염을 부상시키기 위하여 동축공기를 사용하였다. 이때 수소의 속도는 200 m/s이고 동축공기의 속도는 16 m/s로 고정하였다. 질소 희석 가스는 연료 공급라인에 주입되었으며 전체 연료 부피의 0$\sim$20%까지 주입하였다. 화염구조분석을 위하여 PIV/OH PLIF 동시측정 기법을 사용하였다. 수소 난류 확산화염 화염안정성 실험을 통하여 질소 가스 주입에 따라 부상화염 높이는 증가하였으며, 난류 화염 전파속도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난류 화염전파속도는 난류강도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었다.

  • PDF

부상된 동축공기 수소 난류확산화염에서의 화염안정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Stabilization Point in Lifted Turbulent Hydrogen Diffusion Jet with Coaxial Air)

  • 오정석;김문기;윤영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52-356
    • /
    • 2008
  • 수소제트와 동축공기를 사용한 본 연구에서, 난류확산화염의 화염안정성 특징을 실험적으로 수행하였다. 목적은 연료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부상화염길이의 경향을 보고하고, 부상 메커니즘을 포함한 화염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수소연료는 100에서 300 m/s 사이에서 조절되었으며, 이때 동축공기는 16 m/s 고정되고, 주위류는 0.1 m/s 이하로 유지되었다. 유동장과 연소장 동시측정을 위하여, 두 대의 Nd:Yag 레이저와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PIV와 OH PLIF 기법이 사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난류화염전파속도는 난류강도에 비례하였으며, 제트 레이놀즈수의 0.017승에 비례하였다.

시간지연 모델의 적용을 통한 수소/공기 확산화염의 음향파 응답 분석 (A Numerical Analysis of Acoustic-Pressure Response of H2-Air Diffusion Flames with Application of Time-Lag Model)

  • 손채훈;임준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2
  • 희석된 수소-공기 확산화염의 응향 응답 특성을 저압과 고압 영역에서의 화염 구조 해석을 토대로 수치적으로 조사하였다. 음향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어느 압력 영역에서든 열방출율의 비선형 축적현상에 의해 유한 화학반응의 효과가 증진된다. 이는 결국 높은 음향 증폭으로 이어지게 된다. 동일한 계산 결과를 압력 감응 시간지연 모델에 의해 재해석하였다. 시간 지연 모델의 적절한 적용을 통해, 각 압력 영역에서 시간지연과 간섭지수 인자가 정량화되었다. 음향 증폭의 정도를 나타내는 간섭지수는 어느 압력 영역에서든 1000 Hz 근처에서 최고값을 나타내었고, 고압영역에서 화염이 더 불안정한 응답을 보였다. 음향 주파수에 따른 간섭지수의 변화 경향은 기존의 증폭지수 변화 경향과 잘 일치하였다.

수소-공기 화염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프로판 첨가 효과 (Effects of propane substitution for safety improvement of hydrogen-air flame)

  • 권오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22
    • /
    • 2004
  • In order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partial hydrocarbon substitution to improve the safety of hydrogen use in general and the performan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 particular, the outward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surface cellular instability of spark-ignited spherical premixed flames of mixtures of hydrogen, hydrocarbon, and air were experimentally studied at NTP (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 in a constant-pressure combustion chamber. With propane being the substituent, the laminar burning velocities, the Markstein lengths, and the propensity of cell formation were experimentally determined, while the laminar burning velocities and the associated flame thicknesses were computed using a recent kinetic mechanism. Results show substantial reduction of laminar burning velocities with propane substitution, and support the potential of propane as a suppressant of both diffusional-thermal and hydrodynamic cellular instabilities in hydrogen-air flames.

난류 예혼합 화염에 의한 미연가스 영역의 난류 특성 변화

  • 이대훈;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9년도 제12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5-25
    • /
    • 1999
  • 안정화 화염으로 수소 확산 화염을 이용한 메탄/공기 난류 예혼합 화염의 미연가스 영역의 난류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동일한 위치에 대해서 화염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대해 수행되었다. 버너 출구 레이놀즈 수 7000에서 당량비 0.6과 1.0의 경우에 대해 실험이 수행되었다. 난류 유동장은 2색 레이저 유속계에 의해 측정되었다. 21개의 위치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측정이 수행되었다.

  • PDF

수소/공기 대향류 확산화염의 비선형 음향파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Nonlinear Acoustic-Pressure Responses of H2/Air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 김홍집;정석호;손채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8호
    • /
    • pp.1158-1164
    • /
    • 2003
  • Steady-state structure and acoustic-pressure responses of $H_2$/Air counterflow diffusion flames are studied numerically with a detailed chemistry in view of acoustic instability. The Rayleigh criterion is adopted to judge acoustic amplification or attenuation from flame responses. Steady-state flame structures are first investigated and flame responses to various acoustic-pressure oscillations are numerically calculated in near-equilibrium and near-extinction regimes. The acoustic responses of $H_2$/Air flame show that the responses in near-extinction regime always contribute to acoustic amplification regardless of acoustic-oscillation frequency Flames near extinction condition are sensitive to pressure perturbation and thereby peculiar nonlinear responses occur, which could be a possible mechanism in generating the threshold phenomena observed in combustion chamber of propulsion systems.

희석된 수소/공기 확산화염의 비정상 음향파 응답특성 해석 (Unsteady Analysis of Acoustic-Pressure Responses of $N_{2}$ Diluted $H_{2}$ and Air Diffusion Flames)

  • 손채훈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0-325
    • /
    • 2003
  • Acoustic-Pressure Response of diluted hydrogen-air diffusion flames is investigated numerically by adopting a fully unsteady analysis of flame structures. In the low-pressure regime, the amplification index remains low and constant at low frequencies. As acoustic frequency increases, finite-rate chemistry is enhanced through a nonlinear accumulation of heat release rate, leading to a high amplification index. Finally, the flame responses decrease at high frequency due to the response lag of the transport zone. For a medium-pressure operation and low-frequency excitation, the amplification index is low and constant. It then decreases at moderate frequencies. As frequency increases further, the amplification index increases appreciably due to an intense accumulation eff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