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소이온 농도

Search Result 398, Processing Time 0.085 seconds

Changes in Salivary Flow Rate and pH in Stressful Conditions (스트레스하에서 타액유출량과 수소이온농도의 변화)

  • Kim, Hyeon-Jung;Suh, Bong-Ji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1
    • /
    • pp.11-16
    • /
    • 2001
  • 타액은 그 양과 조성 등에 있어 많은 인자들의 영향을 받는다. 타액분비 감소는 구강의 자정작용, 완충능, 치아우식저항성 등 타액의 고유한 기능을 변화시켜서 구강건조감, 구강작열감, 다발성 치아우식증 등의 소인이 된다. 이에 저자는 심리적 요인이 구강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타액선질환을 포함한 전신질환이 없는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시와 시험 직전의 비자극성 전타액을 5분간 추출하여, 그 유출량과 수소이온농도를 측정, 비교, 평가하였다. 타액유출량은 $25m{\ell}$의 메스실린더를 사용하였고, 수소이온농도는 pH/SEmeter(ORION, 720A model)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남성의 비자극성 타액유출량과 수소이온농도는 $3.68{\pm}1.31m{\ell}/5min$$7.63{\pm}0.17$이었고, 여성에서는 각각 $4.93{\pm}1.47m{\ell}/5min$$7.43{\pm}0.29$로서 성별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일상생활시의 성인의 5분간 수집된 비자극성 타액유출량은 $4.18{\pm}1.48m{\ell}/5min$였고, 스트레스하에서의 양은 $2.20{\pm}0.95m{\ell}/5min$로 나타나 스트레스시 타액유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일상생활시의 성인의 비자극성 타액의 수소이온농도는 $7.55{\pm}0.24$였고, 스트레스하에서의 수소이온농도는 $7.22{\pm}0.20$으로 나타나 스트레스시 수소이온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스트레스는 타액유출량을 감소시키고 구강내를 보다 산성화시킨다고 사료된다.

  • PDF

Research on Fabrication of Graphene Sheet (그라핀 기판 제작 연구)

  • Oh, Se-Man;Cho, Won-Ju;Jung, J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384-384
    • /
    • 2008
  • 그라핀 기판 제작을 위해서는 그라파이트의 탈착이 가장 핵심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그라핀 기판 제작을 위해서, HOPG(Highly Ordered Pyrolytic Graphite) 기판에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고, HOPG를 이형기판에 본딩한후, 후속 열처리를 통해 HOPG를 탈착시켜 그리핀을 얻는 일련의 기본 실험에 대한 결과를 보여 주고자 한다. 기대하는 효과는 고농도의 수소/산소 이온의 경우 주입된 고농도의 수소/산소가 후속 열처리동안 이동 및 뭉침현상을 통해 HOPG기판 내에 수소압력(혹은 CO2 발생)을 증가시켜 HOPG를 자르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일차 수소이온 주입의 실험결과, 기대와는 달리 $900^{\circ}C$ 열처리에도 절단현상이 발견되지 않아서 산소이온주입에 대한 추가실험을 진행 중이다. 그라핀 본딩의 경우 그라핀의 큰 roughness로 인해 $SiO_2$만의 Fusion 본딩은 불가능함을 여러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고, 현재 SiO2/SOG 혹은 SiO2/Fox를 이용한 본딩실험을 진행중이다.

  • PDF

Transport of Metal Ions Across Bulk Liquid Membrane by Lipophilic Acyclic Polyether Dicarboxylic Acids (Lipophilic Acyclic Polyether Dicarboxylic Acid 에 의한 액체막을 통한 금속이온의 이동)

  • Jo, Mun Hwan;Jo, Seong Ho;Lee, In Jo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8 no.2
    • /
    • pp.129-135
    • /
    • 1994
  • Acyclic polyether dicarboxylic acid have been studied as metal cation carriers in a bulk liquid membrane system. The proton-ionizable ligands feature allows the coupling of a cation transport to reverse proton transport. This feature offers promise for the effective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of metal cations with the metal cation transport being driven by a pH gradient. Metal cation transport increased regularly with increasing hydroxide($H^-$) concentration of source phase and with proton($H^+$) concentration of receiving phase. Competitive transport by the acyclic polyether dicarboxylic acids is selective for calcium ion over other alkaline-earth cations.

  • PDF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Halla Mountain Region, Cheju Island (한라산 지역 용천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 Youn, Jeung-Su;Park, Sa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1
    • /
    • pp.81-9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 of this study is of attitudi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for nine representative springs in the Halla mountain region. The evolutional processes of the spring water also have been studied. Results of hydrogeochemical analyses show that Gwaneumsa spring is very high in pH. The spring waters from Yungsil, Namguksunwon, Sungpanark Oremok and Gwaneumsa which springs situated lower than 1000m in altitude ar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in chloride, sulphate, nitrate nitrogen and sodium ions, indicating that they are affected by surrounding pollution sources. The concentrations of bicarbonate, sulphate and hydrogen ions in spring waters increase when the precipitation increases,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nitrogen, chloride and calcium ions decrease with increasing amounts of precipitation. The magnesium, sodium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re nearly independent of the precipitation. The spring waters in the Halla mountain region belong to the groups of sodium or potassium type and bicarbonate type, except the Baegrogdam and Wiseorm spring water.

  • PDF

Ringhals 가압경수로, 고pH치 이점 입증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12 s.58
    • /
    • pp.31-35
    • /
    • 1987
  • 최근 Ringhals 2호기는 baffle Jetting에 의한 연료손상과 연료내부의 코발트에 의해 문제를 겪었으나, 운전경험으로 고 수소이온농도 (고 리튬농도)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현재 3기의 Ringhals경수로에서는 고 수소이온농도방법이 채택되어, 종사원 피폭의 주 원인인 방사화 부식생성물의 축적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지 '87년 10월호에 게재된 내용을 번역한 것이다.

  • PDF

$Co{^2+}$ 이온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한 EDTA 존재 하에서 pH변화에 따른 탈착반응 연구

  • 권회삼;원휘준;안병길;김계남;이병직;오원진;이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808-813
    • /
    • 1998
  • EDTA 의 농도 및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수용액의 pH 를 변화시켜 가며, 토양으로부터 Co$^2$$^{+}$ 이온의 탈착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범위에서, pH 4 일 때 $CO_2$$^{+}$ 이온의 탈착율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pH 가 상승함에 따라 탈착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응중 철 성분이 용해되어 나오는데 이는 반응 초기 수소이온에 의한 용해와 반응중 탈착된 Co$^2$$^{+}$ 이온에 의한 용해로 설명하였다.

  • PDF

색소 재료(III)

  • 이영희;김경환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5 no.4
    • /
    • pp.92-100
    • /
    • 1993
  • 1.8 기능성 색소 1.8.1 pH 지시약 수용액 중의 수소 이온 농도 [H$\^$+/]([]는 농도를 의미한다)를 간단하게 조사하기 위해 pH지시약을 이용하고 있다. 지시약은 일반적으로 유기약산이라든지 약염기로 용액의 pH에 의존하여 수소 이온(프로톤)이나 수산화물 이온이 부가된다든지 탈리 한다든지하여 색이 변화한다. [H$\^$+/]의 값은 작기 때문에 pH = -log[H$\^$+/]의 값으로 표시하며, pH 지시약에 담근 시험지나 pH meter로 측정한다. 예를 들면 페놀프탈레인은 무색의 약산으로 [HIn]으로 표시된다. 그 수용액은 조금만 전리하며, 그 공역 염기 [In$\^$-/]은 적색을 띈다.

  • PDF

Effects of Ion Specificity on the Expansion Behavior of Polymer Gel with Phenyl Ring (Phenyl 고리를 갖는 고분자 겔의 팽윤거동에 대한 이온 특성화 효과)

  • Ahn, Beom-Shu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2
    • /
    • pp.278-285
    • /
    • 2012
  • Effects of ion species on the expansion behavior of Poly(styrene sufonic acid)(PSSA) hydrogel were investigated in aqueous solution of selected anions, cations and hydrophobic ions. The deexpansion extent of Poly(stylene sulfonic acid) gel follow the sequence $SCN^-$<$Br^-$<$Cl^-$<$F^-$ in low concentration solutions due to the destabilization of anions to hydrogen bond between ${SO_3}^-$ and water. The deexpansion in cations followed the sequence of counterion interactions between ${SO_3}^-$ and cations. It was discussed the effects of ions on the hydrogen bonding through ${SO_3}^-$ and phenyl ring in salt solutions. Other interactions, such as the cation-${\pi}$ interaction, hydrophobic interaction, and dispersion force, contributed to the ion specific swelling of PSSA hydrogel.

Studies on Preparation and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of Humic Acid Membranes (Humic Acid 분리막의 제조와 이온교환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용택
    • Membrane Journal
    • /
    • v.7 no.3
    • /
    • pp.136-141
    • /
    • 1997
  • Humic acid has been extracted and purified from biologically nondegradable humic substances. Using the ion exchange capability of carboxylic acid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humic acids, a membrane was prepared with poly(viny1 alcohol). Its transport behavior of biologically active ions, $K^+$and $Na^+$, were investigated. The ion transport velocity increased with hydrogen ion concentration, especially, in the range of $10^-1$~$10^0$. The sele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s of $K^{+}$ and Na$^{+}$, In particular, the transport velocity of $K^+$ increased twice compared to that of $Na^+$ at the 100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is regards, humic acid may be used as a new material for ion exchange membranes.

  • PDF

The Review of Metabolic Acidosis During Exercise (운동 시 대사적 산성화에 관한 고찰)

  • Yoon, Byung-Ko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4
    • /
    • pp.1433-1441
    • /
    • 2018
  • The development of acidosis during intense exercise has traditionally been explained b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lactic acid which causes the release of a proton and the formation of the acid salt sodium lactate. Through this explanation, when the rate of lactate production is high enough to exceed cellular proton buffering capacity, cellular pH is decreased. This biochemical process has been termed lactic acidosis. This belief has been an interpretation that lactate production causes acidosis and fatigue during intense exercise. However, this review provides clear evidence that there is no biochemical support for lactate production causing acidosis and fatigue. Metabolic acidosis is caused by an increased reliance on nonmitochondrial ATP turnover. Lactate production is essential for muscle to produce cytosolic $NAD^+$ to support continued ATP regeneration from glycolysis. In addition, Lactate production consumes protons. Although lactate accumulation can be a good indirect indicator for decreased cellular and blood pH, that is not direct causing acid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