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Preparation and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of Humic Acid Membranes

Humic Acid 분리막의 제조와 이온교환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용택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재료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7.10.01

Abstract

Humic acid has been extracted and purified from biologically nondegradable humic substances. Using the ion exchange capability of carboxylic acid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humic acids, a membrane was prepared with poly(viny1 alcohol). Its transport behavior of biologically active ions, $K^+$and $Na^+$, were investigated. The ion transport velocity increased with hydrogen ion concentration, especially, in the range of $10^-1$~$10^0$. The sele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s of $K^{+}$ and Na$^{+}$, In particular, the transport velocity of $K^+$ increased twice compared to that of $Na^+$ at the 100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is regards, humic acid may be used as a new material for ion exchange membranes.

토양 유기물에서 생물학적 난분해성인 부식물질을 알카리에서 추출하고 산성영역에서 침전되는 성분인 부식산을 정제, 추출하였다. 부식산의 주성분인 카르복실기가 이온교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PVA와의 불균질한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생리활성 이온인 $K^+$, $Na^+$의 이동 및 이동속도를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소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이동속도는 빠르게 나타나고, 특히 $10^-1$,$10^0$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K^+$, $N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선택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소이온농도 $10^0$ 일때는$K^+$이 2배정도 빠르게 이동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리활성 이온의 선택성 및 이동속도의 향상으로 부식산이 이온교환막의 새로운 재료로서의 그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umic Substances in the Environment M.Schnitzer;S.U.Khan
  2. Soil Sci. Plant Nutr. v.24 S.Kuwatsuka;K.Tsutsuki;K.Kumada
  3. J. Oceannographic Soc. Jpn. v.38 N.Shinozuka;S.Hayano
  4. Soil Organic Matter (2nd ed.) M.M.Kononova
  5. Yukagaku v.31 S.Hayano;N.Shinozuka;M.Hyakutake
  6. Marine Organic Chemistry R.F.C.Mantoura
  7. Soil Sci. v.111 M.A.Rashid
  8. J. Oceanographic Soc. Jpn. v.36 Y.Saito;S.Hayano
  9. 土壤有機物 化學(2版) 態田泰一
  10. Marine Geology v.3 O.K.Bordovskiv
  11. J. Oceanographic Soc. Jpn. v.36 Y.Saito;S.Hayano.
  12. 膜技術の 基礎 日本膜學會
  13. Modern Electrochemistry v.I J.O.M.Bockris;A.K.N.Red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