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분균형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2초

산림 사면에서 실측 토양수분을 이용한 토양증발평가 (Soil Evaporation Evaluation Using Soil Moisture Measurements at a Hillslope on a Mountainous Forest)

  • 곽용석;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6호
    • /
    • pp.557-568
    • /
    • 2012
  • 산림사면에서 수문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증발산 중 토양증발을 구분하여 규명하고 정량화하는 것은 도전적이지만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5월 22일부터 31일까지 총 10일 동안에 습윤한 산림사면에서 세 지점에서 깊이별 토양수분을 집중 측정하고, 분석하여 토양증발과 관련 기작에 대해 연구하였다. 토양증발을 평가하는 방법은 토양수분자료의 물질수지($E_{SM}$), Penman식(1948) 그리고 수정된 Penman식(Staple (1974), Konukcu (2007), 평형증발($E_{equili}$))이다. $E_{SM}$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지표면의 에너지 균형식을 이용하여 토양내의 증발깊이(DSL, dry surface layer)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각 지점(A, B, C)의 2시간별 10일 동안의 누적 증발량($E_{SM}$)은 약 2.09, 1.80 그리고 2.88mm으로 평가되었다. Penman식(1948), Staple (1974), Konukcu (2007), 평형증발($E_{equili}$)의 누적 증발값은 각각 4.91, 8.80, 8.63 그리고 3.28mm으로 $E_{SM}$보다 높은 값들을 보여주고 있다. 산림 내 토양증발은 직접적인 복사량과 바람의 영향보다는 낙엽층과 DSL으로 인해 토양 내의온도상승과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일어난다. 이는 $E_{SM}$는 복사량의 변화보다 2~4시간 정도의 시간적 지체(time lag)가 보이기 때문이다. DSL과 지표저항($r_s$)은 토양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관측된 장력 및 토양수분의 수직적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확보되는 DSL 값은 에너지 방정식에 의해서 추정된 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수분 섭취량 측정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Measurements)

  • 이창관;김유경;서명화;이경미;이주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7-57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two methods for measuring fluid intake and to assess the most effective method. Methods: Data from 44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was analyzed. Two methods were used. The liquid method is to measure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the liquid-solid method is to measure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s by the oral route and IV fluid. Results: The daily intake of fluid was 1483.10mL and 2245.99mL respectively. The fluid output was 1883.72 mL. The Intra-Class Correlation (ICC) between the liquid method and the liquid-solid method and fluid output was 0.64 and 0.69,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ces of fluid in two methods and body weight change was r=.47 (p<.001) and r=.5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asuring methods as to reflecting the most close value to fluid output.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take and output by two methods is correlated with body weight change.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either method could be useful as patients' fluid intake measurement.

소아의 만성신장질환의 치료 (Treat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children)

  • 이주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061-1068
    • /
    • 2009
  • 만성 신질환 환아들의 치료는 신대체 요법과 더불어 적절한 식이 요법,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의 관리, 신장 골형성 장애의 예방 및 치료, 빈혈과 고혈압, 성장 지연의 치료 등으로 이루어진다. 식이 요법은 환아들의 성장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열량의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하게 관리해야 한다. 혈청 칼슘, 인,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적절한 목표치 안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인 결합 제제와 비타민 D 제제를 투여하여 신장 골형성 장애를 예방하여야 한다. 적혈구 생산 촉진제와 철분 제제를 투여하여 혈색소 값을 11-12 g/dl로 유지하여야 한다. 수분 및 염분의 균형과 적절한 항고혈압제의 투여로 고혈압을 조절해야 한다. 사람 재조합 성장 호르몬을 투여하여 최종 성인 키를 호전시키도록 한다.

암환자의 수분 균형 상태 사정 방법 비교: 수분 섭취 및 배설량 측정법과 체중측정법 (Measuring Fluid Balance in Patients with Cancers: Comparison between Cumulative Intake and Output Records and Body Weight Change)

  • 이진홍;박희정;김정화;서은영
    • 종양간호연구
    • /
    • 제11권3호
    • /
    • pp.247-25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wo different fluid intake measurement methods (fluid only vs. all dietary intake) in measuring fluid balance compared to body weight change among patients with cancers. Methods: A total of 60 cancer patients in an urban cancer center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dult patients who were over 18 years old; having 24-hour I&O order; and taking either normal regular diet or soft blend diet were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and disease related information were also gathe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Measuring 'fluid only' for oral intake was a more accurate measure than measuring 'all dietary intake' (p=.026 vs. p=.094). Both method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mount of weight change (r=.329, p=.010; r=.303, p=.019). Measuring body weight was a more accurate and efficient way of evaluating the fluid balance than 24 hour cumulative I&O. Conclusion: Developing clinical manual for selecting proper patients who needs fluid balance monitoring is imperative. Administering weight check and/or 24 hour cumulative I&O should be considered thoroughly based on solid nursing evidence in future.

발효된 음식폐기물의 사료화 잠재력에 관한 연구 (Potentials of the Fermented Food Wastes as the Animal Feed)

  • 김남천;정재춘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1호
    • /
    • pp.13-20
    • /
    • 1995
  • 음식쓰레기를 고속발효시켜 동물사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인하대학교 병원과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환자급식용으로 제공하는 음식쓰레기를 일정량 채취하여 140L들이의 고속발효기에서 발효시켰다. 첨가제로서는 수분조절 및 영양분의 균형을 위하여 건조한 비지와 톱밥을 습중량으로 약 40~50% 섞었고 종균제를 내용물 총량의 1/300 정도 넣었으며 $46{\sim}52^{\circ}C$의 발효온도에서 40~48시간 발효시켰다. 건조비지를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단백질과 조회분, 칼슘, 인의 함량이 시판되는 돼지사료보다 약간 떨어졌으며, 톱밥을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섬유의 함량만 크게 높았고, 기타 다른 성분은 크게 낮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때 건조비지를 첨가제로 사용했을 때만이 보조사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고 하겠다.

  • PDF

수확 단계에 따른 작약 주요 품종의 수확후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ony Major Varieties on Harvest Stage)

  • 양해조;이지현;임수연;최지원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0-60
    • /
    • 2020
  • 본 연구는 수확 단계에 따른 작약 주요 품종의 수확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별 적정 수확 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절화 작약은 '두체스', '레드참', '보울오브크림'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세 품종 모두 1, 2, 3, 4단계로 구분 지어 수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확한 작약은 40cm로 재절단하여 chrysal professional III 용액이 담긴 화병에 꽃아 생체중, 증산량, 수분흡수량, 개화 단계 변화 등을 매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수분균형 및 절화 수명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두체스' 품종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1단계에 수확한 절화의 만개소요일수는 5.5일, 만개유지일수는 2.9일, 총 절화수명은 8.4일로 다른 수확단계보다 1~3일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생체중증가율 및 화경 변화 결과를 통해 1단계 수확 시에도 개화는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드참' 품종의 품질 특성 변화 조사 결과, 1단계에 수확한 절화의 만개소요일수는 7.9일, 만개유지일수는 3.3일, 총 절화수명은 11.2일로 다른 수확단계보다 1~4일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울오브크림' 품종의 품질 특성 변화 조사 결과, 1단계 수확한 절화는 30% 수준만 만개하여 조기 수확에 따른 문제점이 확인되었지만, 2단계 수확한 절화는 개화와 만개 모두 100% 진행되었으며, 만개소요일수는 6.4일, 만개유지일수는 4.5일, 총 절화수명은 10.9일로 다른 수확단계보다 1~2일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두체스' 와 '레드참' 품종의 적정 수확단계는 1단계, '보울오브크림' 품종의 적정 수확단계는 2단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2019년 설마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2019 Year)

  • 김동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4-274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유역(유역면적 8.48㎢, 유로경사 2.15%,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지하수함양량은 유역내에 관측된 지하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설마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1,024.1mm이며, 하천유출량은 608.6mm(총강우량 대비 59.4%), 실제증발산량은 385.1mm(37.6%), 지하수함양량은 30.4mm(3.0%)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은 1개 지점에서 산정값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된 결과이다. 향후 유역 전체를 대표하는 기법의 개발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2019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2019 Year)

  • 김동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3-273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 상·하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차탄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975.9mm이며, 하천유출량은 507.9mm(총강우량 대비 52.0%), 실제증발산량은 366.4mm(37.5%), 지하수함양량은 101.6mm(10.4%)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은 유역내 1개 지점의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며,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을 위한 지하수위 관측정이 부재한 상황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후지형학 관점에서 본 몽골 스텝지역의 지형형성작용 특색 (Some Remarkable Earth Surface Processes under the Morpho-climatic regime of Mongolian Steppe Zone)

  • 오경섭;양재혁;조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1-129
    • /
    • 2011
  • 기후지형학 관점에서 몽골의 지형환경은 대륙성 한랭-건조 지형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곳 스텝지역의 지형환경 특색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곳에서의 지표과정은 매우 역동적이다. 기온교차가 심한 한랭 환경임과 동시에 제한된 양이지만 동계강설로 공급되는 수분은 이곳을 서릿발작용에 의한 기계적 풍화가 강하게 진전되는 지역으로 만들고 있다. 이렇게 생성된 풍화물들은 하계 폭우시의 지표수와 봄철 바람작용에 의해 침식·제거되고 있다. 몽골 스텝지역의 사면들은 토층발달이 미약한 박토상태인데도 모든 사면에서 평활하게 펼쳐져 있다. 이는 풍화와 풍화물 침식이 균형을 이루는 모습이다. 몽골의 지형환경은 서릿발작용에 의한 풍화, 지표수와 바람에 의한 침식, 이들 모두가 활발하면서도 서로 균형을 이룬다는 특색을 지니고 있다.

수분 섭취 및 배설량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s)

  • 최스미;양영희;정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8-98
    • /
    • 1995
  • The Fluid and electrolytes balance in the body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maintaining good health. When the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is present, patients are in great danger. They must be assessed immediately by a nurse so that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started as soon as possible.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records contain highly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luid imbalance, but, these records are often inaccurate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fluid intake is not universal for every hospital. Be-cause they are few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a patient's hydration, the ne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fluid intake records is very important.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of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used for calculation of fluid intake which is most similar to fluid output in normal adults and hospitalized patient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different calculation methods for fluid intake and compared these to fluid output and developed suggestions as to the ideal way to record fluid in-take. Data for 43 hospitalized patients and 37 normal ad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normal adults,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es by the oral route was 2415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was 1365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resh fruits and vegetables, rice, porridges, and Me m which have water content more than 80% were 218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2) The urine output of the normal adults was 1350m1. This appr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3) In patient group, the total intake of water was 2550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as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was 1661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oods which have high water content was 235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4) The urine output of the patient's group was 1728m1. This app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5)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the patient fluid intake showed that among the 31 hospitals studied, only eight use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fluid taken in the form of pure water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includes water in-take only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beverage should be used as patients' fluid intake reco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