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부(手部)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8초

실뜨기 놀이를 활용한 새로운 수부재활훈련도구 개발 연구 (A Development Study on New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Tool Using Cat's Cradle Game)

  • 이유솔;정도성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9
    • /
    • 2018
  • 수부재활훈련도구는 저하된 수부 기능 회복 및 전체적인 수부 기능 향상을 필요로 하는 환자와 사용자들을 위해 병원 및 가정에서 치료와 함께 병행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수부재활훈련도구의 개발 또한 함께 이루어 지고 있으며, 많은 도구가 보급되어 각 병원에서 규정한 프로세스로 재활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병원에서 활용하는 훈련도구들은 점진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단순반복성 동작을 유도한다. 따라서 재활훈련을 하는 환자들이 무료함을 느끼며 재활에 대한 동기부여를 갖지 못하므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훈련이 어렵다. 또한, 훈련에 활용되는 도구들은 고가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공간적 제한성으로 인해 환자의 자발적 재활훈련을 어렵게 한다. 이는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킴과 동시에 올바른 신체적 향상을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논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놀이요소 중 하나인 실뜨기를 접목해 과제를 통한 효과적 재활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경제적이며 자유로운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구의 특성과 사용자 환경을 조사한 후 실뜨기 놀이와, 훈련도구와의 관련성 및 지속적인 재활이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사용성 테스트 및 디자인요소 평가를 진행하여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 세포종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 세포종의 비교)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Hand (Comparative Studies Between Single and Multifocal Lesions))

  • 이승구;강용구;박원종;양성철;신윤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2-60
    • /
    • 2003
  • 목적: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황색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낭종 다음으로 흔하며, 수술 절제후, 간혹 재발 되기도 한다. 대부분 단발성으로 발생하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이며 대칭적 발생을 보인다. 저자들은 수부 건초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 절제후 장기 추적 결과를 분석하였고, 특히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만 8년간 본 병원에서 수술 가료후 건초의 거대세포 종으로 확진된 총 21예(다발성 3예 포함)를 대상으로 임상 및 X-선상 분석을 하였으며, 수술 절제후 평균 16개월(3~46개월) 추적하여 재발여부 및 단발성과 다발성 거대세포종의 임상 과정을 비교 하였다. 결과: 총 21예중 14예(66.7%)가 여자였으며 40대에서 16예(76.2%)로 빈발하였고 평균 연령은 47세(19~68세)였다. 단발성 거대세포종 18예중 수지별 발생은 인지와 환지가 각4예씩, 소지(3예), 중지(2예) 및 모지(1예)의 순이었고, 수장부의 발생이 4예였다. 원위 및 중위 지골 부위가 9예(50%), 근위 지골 부위가 4예, 중수지골 및 중수지절 부위가 2예였다. 신전건(7예)보다 굴곡건(11예) 건초 이환이 더 많았고(양측 건이환 3예), 증상 발현에서 수술까지의 지연은 평균 14개월(3~48개월)이였다. 다발성 거대세포종 3예중 1예는 인지와 중지의 중위지골 부위에 발생하였고, 2예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 20대 남자들에서 대칭적 거대세포종이 수부를 포함하여 22곳 및 12곳등 다발적 이환을 보였고, 외형상의 돌출로 보기 흉하거나 기능 제한을 초래하는 부위만 선택적으로 아전절제하였다. X-선상 연부조직 음영 증가외 4예에서 종괴의 압박에 따른 피질골 미란과 파열소견을 보였다. 수술시 3예에서 수지 신전건과 굴곡건의 양측 건초를 모두 침범하는 넓고 큰 다엽상 소견을 보였으며, 평균 16개월 추적중, 총 18예중 3예에서 재발(16.7%)하였다. 이들 재발예는 단발성 거대세포종중 굴곡건과 신전건 건초를 광범위하게 다엽상 이환을 하였거나 술전 X-선상 골피질의 파열이나 골미란등이 있어 불완전 절제를 시행한 경우들이었으며, 재 광범위 절제 하였고 추적 관찰 중이다. 단발성 및 다발성 거대세포종은 종괴의 병리 조직학상 유사함을 제외하면, 발생 기전이나 침범 부위와 정도, 동반 질환은 물론 치료와 예후에도 차이가 많아 서로 다른 질환으로 판단된다. 결론: 수부의 건초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황색종)은 드물지 않은 종양으로 완전 절제가 필수적이며, 특히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는 다발성 건 황색종을 동반 할수 있어 치료에 유의해야 한다.

  • PDF

일차성 수부 다한증에서 교감신경절제술 후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의 효용성 (The Effectiveness of Sympathetic Skin Response Studies for Patients with Primary Palmar Hyperhidrosis and Who Undergo Thoracic Sympathicotomy)

  • 윤정섭;심성보;이원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38-743
    • /
    • 2009
  • 배경: 일차성 수부다한증 환자에서 교감신경절제술 전후의 교감신경 작용의 변화를 정확하게 비교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수단이나 변수가 없다. 저자들은 선택적인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 전후의 교감신경차단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의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에 대한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일차성 수부다한증으로 진단 받은 12명의 환자에서 교감신경 피부반응을 확인하였다. 교감신경 피부반응은 좌측 손목과 발목에 전기적 자극을 준 후 우측 손바닥이나 발바닥에서 측정하였고, 반대 편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는 선택적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 이전, 절제술 시행 후 2주 그리고 1년 후에 시행하였다. 검사 자료는 발생 잠복기와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크기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24.6{\pm}0.4$세(19~36세)이었으며, 남녀 성비는 1 : 0.7이었다. 손바닥(n=24)의 술전, 술후 2주, 1년의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평균 잠복기와 진폭은 각각 $1.46{\pm}0.24$ msec와 $6,043{\pm}2,339{\mu}V$, $1.63{\pm}0.42$ msec와 $823{\pm}638{\mu}V$, $1.44{\pm}0.39$ msec와 $2,412{\pm}1,546{\mu}V$이었으며, 발바닥(n=24)은 각각 $1.83{\pm}0.42$ msec와 $2,816{\pm}1,694{\mu}V$, $2.16{\pm}0.39$ msec와 $1,445{\pm}1,281{\mu}V$, $1.95{\pm}0.25$ msec와 $1,622{\pm}865{\mu}V$이었다. 교감신경 피부반응검사상 손바닥에서의 진폭의 감소성 변화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02). 결론: 수부다한증으로 흉부교감신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전후 시행한 흉부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에서 진폭은 교감신경의 기능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한 개체 내에서 교감신경의 기능변화를 추적 관찰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역행성 후 골간 동맥 피판을 이용한 수부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Hand Defects with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Artery Flaps)

  • 서영석;박형택;이군식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0권2호
    • /
    • pp.149-153
    • /
    • 2001
  • Various types of flaps including local flaps, pedicle flaps and free flap have been used to reconstruct hand soft tissue defects, but each flaps have some limitation and disadvantages. The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artery flap described by Zancolli and Angrigiani have some advantages : preserving the major artery of the hand, minimal donor site morbidity and thin skin. From May 1999 to May 2001, we reconstructed 18 cases of hand defects in industrial injury with reverse posterior interosseous artery flaps and partial distal part necrosis of flaps due to infection developed in a case but other 17 cases survived completely without any specific complication.

  • PDF

젊은 여성의 수지에 발생한 골격외 연골종(Extraskeletal Chondroma): 증례 보고 (Extraskeletal Chondroma of Finger in a Young Woman: A Case Report)

  • 김진영;김민규;최종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4-68
    • /
    • 2013
  • 골격외 연골종은 골이나 골막과의 연결이 없이 초자연골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부조직의 연골종양을 이른다. 골격외 연골종은 매우 드물게 발병하며, 대부분 수부나 족부의 관절근처의 연부조직 및 건 활액막 근처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본 증례에서는 저자들이 경험한 젊은 여성의 수지에서 발생한 골격외 연골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수부 신근건내 결절종 (Clinical Experience of Intratendinous Ganglion in the Extensor Tendon of Hand)

  • 이중호;정성노;권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259-261
    • /
    • 2005
  • Ganglion is the most common soft tissue tumor of the hand, and most of them usually arise from the scapholunate ligament, scarphotrapezial ligament, radiocarpal joint or flexor tendon sheath. However, intratendinous ganglion is very rare with unknown etiology and pathogenesis that originates within tendon. We have experienced three clinical cases of intratendinous ganglion in extensor tendons of hand. The average of patients at operation was 36 years.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excision of the ganglion in conjunction with tenosynovectomy followed by repair of the tendon. The length of mean follow up time was 6.7 months and all of them showed no evidence of recurrence.

전완 원주와 악력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Forearm Circumference; With Hand Grip Strength)

  • 신헌석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47-105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전완 원주와 악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오른손잡이 여성 30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1.0세였다. 전완 원주는 척골의 주두와 경상돌기의 1/2 지점과 근위 3/4 지점에서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악력은 미국 수부 치료사 협회의 기준에 의하여 Jarmar dynam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피어슨 상관 관계 계수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전완 두 지점에서 측정된 원주와 악력간에는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2. p=.921; r=.02, p=.928). 연구 대상자 30명 중 정기적으로 상체 운동을 하는 18명의 연구 대상자들의 전완 두 지점에서도 낮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r=.16, p=.521: r=.18, p=.468).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된 다른 연구 결과와는 상이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 이유로는 본 연구에서 악력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들(신체 유형, 운동 습관. 직업 피하 지방성분, 유전적 요소 등)의 측정이 고려되지 않았고. 연구 대상자의 수(n=30)가 적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PDF

수부 감염에 대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on the hand infections)

  • 정석;김정자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61-877
    • /
    • 1999
  • The hand is a very specialized organ that functions to obtain information and to execute motor acts essential to hum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Loss of hand function through infections affects the mechanical tasks that the hand perform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s to their disability. Infection is a disastrous complication of hand injuries and adequacy of circulation is of greatest importance to prevention of infection. Careful debridement, incision, and adequate drainage and antibacterial treatment are of great importance. Optimal care of the infected hand demands that carefully surgical care, early postoperative exercises and other therapy. Hand rehabilitation has grown as a specialty area of both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t is essential that the surgeon and therapist work together, and communicate freely-all of which generally require daily contact. Treating the psychological loss suffered by the patient with a hand infections is an integral part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as well. Treatment techniques, Whether thermal modalities or specifically designed exercises, are used as a bridge to reach a further goal of returning to functional performance.

  • PDF

수부에서 수지 신경의 신경내 결절종 - 증례 보고 - (Intraneural Ganglion of the Digital Nerve of the Hand - A Case Report -)

  • 박도영;이유상;한경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0권1호
    • /
    • pp.78-81
    • /
    • 2011
  • Intraneural ganglia in the upper extremity are rare, and the involvement of the digital nerve of hand has not been reported. The following case report demonstrates a 57-year-old woman with a symptomatic nodular mass on the thenar area of the left hand. Magnetic resonance images showed a lobulated, homogeneous mass of high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and low signal intensity with peripheral enhancement on T1-weighted images. Excisional biops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an intraneural ganglion of the digital nerve of the thumb. Her symptom disappeared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and has remained free of abnormal sensation and parestheia for the 3-year follow-up period.

  • PDF

소아의 수부골에 전이된 신장의 투명세포육종 -1례 보고- (Metastatic Clear Cell Sarcoma of the Kidney in a Child's Hand Bone - A Case Report -)

  • 심종섭;김지형;서연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4-98
    • /
    • 1998
  • Clear cell sarcoma of the kidney (CCSK) is a rare malignant tumor of the renal origin in childhood, distinguished from Wilms tumor by its pathologic and clinical features. Bone metastas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The common site of metastasis of the clear cell Sarcoma of the kidney is axial skeleton including skull, spines, ribs and femur. A cases of clear cell Sarcoma of the kidney presented to us, which solely metastasized to the hand bones without metastasizing to any other tissues including axial skeleton.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