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보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119 응급신고에서 수보요원과 신고자의 통화분석을 활용한 머신 러닝 기반의 심정지 탐지 모델 (Machine-learning-bas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detection in emergency calls using speech recognition)

  • 김종인;이주영;정지오;신대진;최동현;김기홍;홍기정;김선희;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109-118
    • /
    • 2023
  • 심정지는 초기 대응에 따라 생존율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응급 상황이다. 특히 병원밖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의 경우, 119 구조대의 초기 조치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수보요원의 수가 제한적이지만 다량의 신고 전화에 응대해야 하는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머신러닝 기반의 OHCA 탐지 프로그램은 수보요원의 보조 역할로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신러닝 기반의 심정지(OHCA) 탐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수보요원과 신고자의 통화 녹취록을 분석하여 심정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안한 모델은 수보요원 및 신고자와의 통화를 자동으로 전사하는 모델, 텍스트 기반의 심정지 탐지 모델,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F1 점수 기준으로 79.49%의 성능을 보였으며, 수보요원과 비교하여 심정지 감지 시간을 15초 단축하였다. 이 연구는 소규모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심정지 기반의 탐지 프로그램이 수보요원의 보조 역할로 심정지 생존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상황실 화재 접수자 중심의 화재상황별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stem for Dispatcher)

  • 최두찬;고민혁;민세홍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03-209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 상황별 분석을 통하여 향후 화재 접수자(이하 '화재 접수자')의 수보 업무를 보완해 나가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기존 소방본부에서 제작된 상황별 수보 프로토콜 가이드 라인을 건축물 별로 비교 분석하여 위치, 가연물, 피난, 소방설비로 분류를 나눠 시나리오 작성 연구결과: 작성된 시나리오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태블릿 PC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수보 전용 시스템을 개발 결론: 수보 시스템은 화재에 국한된 것이 아닌 재난, 구급 분야에 걸쳐 진행됨. 본 연구는 화재에 국환되어 있으나 향후 재난, 구급분야로 확장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음. 더 나아가 최근 화재 안전성 평가 및 다중이용업소 전수 조사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을 것임.

긴급 신고 접수 지원을 위한 대화 상태 추적 및 요약 기반 실시간 텍스트 분석 (Real-time Text Analysis with Dialogue State Tracking and Summarizing to Assist Emergency Call Reporting)

  • 오교중;김진원;김일훈;임채균;최호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6-21
    • /
    • 2021
  • 소방 본부의 119 종합상황실에서는 24시간 국민의 안전을 위해 긴급 신고를 접수한다. 수보사 분들은 24시간 교대 근무를 하며 신고 전화에 접수 및 응대 뿐만 아니라 출동, 지휘, 관제 업무를 함께 수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같은 수보사의 업무 지원을 위해 우리가 구축한 음성 인식과 결합된 실시간 텍스트 분석 시스템에 대해서 소개하고, 출동 지령서 자동 작성을 위한 키워드 검출 및 대화 요약 및 개체명 인식에 기반한 대화 상태 추척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대화 요약 기술은 음성 인식 결과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중요한 키워드의 검출 및 지령서 자동 작성을 위한 후처리를 수행하며, 문장 수준에서 개체명 인식 및 관계 분석을 통한 목적 대화의 대화 상태 추적을 수행한다. 이 같은 응용 시스템은 딥러닝 및 기계학습 기반의 자연어 처리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수준이 되었음을 보여주며, 긴급한 상황에서 많은 신고 전화를 접수하는 수보사의 업무 효율 증진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신속한 위치 파악으로 신고자를 도와주어 국민안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강릉 문화자원을 활용한 니트 패션문화상품 개발 -강릉 수보 문양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Knitted Fashion Culture Products Using Gangneung Cultural Resource -Focusing on Gangneung Subo Patterns-)

  • 한선미;우현리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2호
    • /
    • pp.95-109
    • /
    • 2022
  •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new textile design based on the authentic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Gangneung Subo pattern and applying the textile design to knitted fashion products. Gangneung has been recognized for its outstanding artistry in the field of Gyubang art. Gangneung Subo is an embroidered wrapping cloth. The discovered and preserved Subo at this time was from the Kwandong region centered in Gangeung, and is regarded as the product of the indigenous native culture in Kwandong. Therefore,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resource of Gangneung, the Gangneung Subo has sufficient value as a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with uniqueness, distinctiveness, and historicality. As a research method, the background of Gangneung Subo was investigated. A total of 12 motifs were created while preserving the authentic originality of the Gangneung Subo pattern and minimizing unwanted deformations of the pattern during the developing process. The created motifs were repeatedly applied to the pattern and new textile designs were created. Eighteen knit fashion products, including narrow and wide-width mufflers and neck warmers, were developed by applying the new textile designs. As a significant cultural resource for cultural goods development, this study ascertained the value of Gangneung Subo, preserving its unique distinction and history. This study was especially significant since the Gangneung cultural goods developed used knitted material and extended the development to producing real products.

조선시대 비빈 장삼 및 수보노의 일고찰 -의궤 복완도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me Female Ceremonial Robes (Jangsam and Sooboro etc.) of the Choson Dynasty)

  • 김명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7-65
    • /
    • 1984
  • This is to study some female court costumes, Jamgsam and Sooboro etc. (장삼, 수보노), which seem to had been used as ceremonial robes. There is no remaines, and only a little written materials can be used. The Kook-Chang-Dogam Eui Gues(국장도감의구) give us some know ledges on the shapes, materials, embroideries and the usages of them. After surveying the provisions of the Eui-Gues, Auther arrived at conclusions as follow; 1. Jangsam(장삼) set is the counterpart of the Myunbok(면복) set. 2. Sooboro(수보노), worn over the Sang(상), is short, divided into three parts from the middle of the length, and the peonies(목단) are embroidered at the bottom of the three parts. 3. Jangsam(장삼) is accompanied by susik(수식), which seems to be a kind of headband, and a pair of gloves(수의).

  • PDF

응급구조 음향데이터 분석을 위한 Gabor 필터뱅크 기반의 특징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abor Filter Bank-based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or Analysis of Acoustic data of Emergency Rescue)

  • 황인영;장준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45-134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이 신고되는 상황에서 수보자에게 전달되는 신고자의 주변음향신호로부터 신고자의 주변상황을 추정하기 위하여 음향의 주파수적 특성 및 변화특성의 모델링 성능이 뛰어난 Gabor 필터뱅크 기반의 특징벡터 추출 기술 및 분류 성능이 뛰어난 심화신경망을 도입한다. 제안하는 Gabor 필터뱅크 기반의 특징벡터 추출 기법은 비음성 구간 검출기를 통하여 음성/비음성을 구분한 후에 비음성 구간에서 23차의 Mel-filter bank 계수를 추출한 후에 이로부터 Gabor 필터를 이용하여 주변상황 추정을 위한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학습된 심화신경망을 통하여 신고자의 장소적 정보를 추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여러 가지 시나리오 환경에서 평가되었으며, 우수한 분류성능을 보였다.

응급구조에서의 음향데이터 분석을 위한 음성 부재구간 검출 기술 (Voice inactivity detection for Analysis of Acoustic data of Emergency Rescue)

  • 황승현;장준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48-13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응급구조의 신고 상황에서의 수보자의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대응를 위하여 수화자의 음향환경을 분석하여 주변상황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심화 신경망 기반의 음성 부재구간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음성 신호에서의 23차의 Mel-filter bank를 추출하고 이를 심화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음성 부재구간을 검출한다. 객관적인 성능 평가를 위해 제안된 기법은 실제 응급구조 상황에서 평가되었으며, 기존의 음성검출기를 이용한 음성 부재구간 검출 성능에 비하여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AISS4CIR : 전화 상담원을 위한 자율형 정보 지원 시스템 (AISS4CIR : Autonomous Information Supporting System for Call Therapists in Realtime)

  • 윤기정;강연경;이건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89-891
    • /
    • 2019
  • 전화 상담 과정에서, 상담원은 고객의 요청에 적절히 대응해야 하는 의무를 갖고 있지만, 고객의 요청은 상담원의 수보 범위를 자주 벗어난다. 그런 범위 이외의 질문과 요청에 대해서도 일단은 성실히 응대하는 것이 상담원의 역할이고, 이 부분에서 상담 업무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담원에게 고객의 요청을 응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고, 그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한국 보자기의 장식성 연구 (Korean Wrapping Cloths as a Decorative Art)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83-1896
    • /
    • 2009
  • 이 논문은 조선후기 보자기에 적용된 다양한 장식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음식을 덮는 등 일차적으로는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보자기 제작은 전래된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현세적 기원의 행위이기도 했으며, 또한 조선의 엄격한 유교 윤리 하에서 여성의 창작 욕구가 자유롭게 발현된 생활 속 여흥의 일부이기도 했다. 한국의 보자기에는 조각 잇기, 자수, 회염, 인염, 오려내기 세공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활용되었다. 조각 잇기 기법이 활용된 조각보에서는 조선 여인들의 절약습관이 돋보이는데 이는 특히 자원의 재활용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자수가 놓인 수보에서는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여인들의 소박한 바램이 읽혀진다. 한국 보자기는 회염이나 인염으로 장식되기도 했는데, 이들은 한국 복식 유물에서는 보기 어려운 장식 기법들이다. 농담을 조절한 다양한 색채의 당채 기법이나 단일색의 먹물 채색, 여러 종류의 도안이 새겨진 목판을 이용한 인염 기법 등이 이용되었다. 음식물이 묻지 않게 하기 위해 때로는 기름 종이로 보자기를 만들기도 했는데, 이러한 식지보에는 오려내기 세공이 장식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오려내기 기법의 원리는 스텐실 염색과 비슷하여 이를 또한 섬유제품 디자인에 활용할 수도 있다.

119 구급 신고 분석: 대화 시간 및 내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119 Emergency Calls: Focused on Conversation Time and Contents)

  • 장경호;강경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103-109
    • /
    • 2018
  • 119 종합상황실의 상황 요원은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위기 상황을 처음으로 인지하고 대응 체계를 가동시켜야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119 구급 신고와 관련하여 상황 요원의 신속하고 정확한 수보 활동은 환자의 생명은 물론 예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4월 8일부터 12월 31일의 ${\bigcirc}{\bigcirc}$시 신고 접수, 출동, 구급활동 자료를 이용해 상황 요원과 신고자의 대화 회전 수와 대화 시간, 그리고 대화 구조 및 순서의 시간 등을 접수 경로와 중증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황 요원과 신고자의 대화 분석은 향후 상황관리단계에 따른 조치 사항 또는 행동 매뉴얼의 개발이나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