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목생장률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rrelation between the Illuminance and the Flowering and Leaf Growth of Trees at Night - In Case of Downtown from Jamsil Station to Olympic Park, Seoul - (도심 내 야간의 조도와 봄철 수목 개화 및 잎 생장 간 상관관계 - 서울 잠실역에서 올림픽공원 구간을 대상으로 -)

  • Han, Bong-Ho;Kim, Jong-Yup;Kwak, Jeong-In;Choi, Tae-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9 no.3
    • /
    • pp.441-453
    • /
    • 2015
  •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at night with artificial lighting in downtown Seoul, trees flowering and leaf growth rate was performed as a case study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The illuminance was measured at 78 points on a total of 26 points, the range of illuminan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sidering land use, Group A (plots 1-7) were 4.90 ~ 112.50 lx, Group B (plots 8 to 18) were 0.45 ~ 42.40 lx, group C (plots 19 to 26) were 0.28 ~ 22.10 lx. According to the One-way ANOVA on illuminance difference, the survey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o survey the ratio of the flowering Prunus yedoensis and Rhododendron spp. and to survey the ratio of leaf growth Zelkova serrata, Ginkgo biloba, and Acer palmatum each 30 individuals were investigated. Rhododendron spp. to study the ratio of the flowering and Acer palmatum to study the ratio of leaf growth were determined to be useful as indicator woody speci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The higher illuminance of night lighting is, the faster flowering and leaf growth of trees will be by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illuminance of each group and the flowering and leaf growth of trees. In the future, should be made a more detailed study of how much affect to the trees with some impact on the level of light pollution at night lighting.

The Issues of Topsoil Preservation in Land Development Projects (토지개발사업의 표토보존에 있어서의 과제)

  • Kim, Sun-Mi;Lee, 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2 s.121
    • /
    • pp.91-96
    • /
    • 2007
  • 대규모 개발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우리는 종종 무의식적으로 토양층을 교란시키게 된다. 식물 성장에 있어 토양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토양 중 표토층은 식물 생장에 필요한 많은 영양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토양층의 파괴는 식재된 수목의 하자와 직접 연결된다. 살아있는 식물을 다루는 조경공사에서는 공사 후 높은 하자율을 걱정하기에 앞서 수목의 원활한 활착을 위해 토양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 및 토양의 기본적인 성질과 표토의 중요성, 표토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안 등에 대해 고찰하고 사례연구로 한국토지공사에서 시행한 용인 동백지구의 표토 활용사례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표토층 보존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목의 성장률, 건강도, 수형 등은 직접적으로 토양의 질과 연결되고 양질의 토양은 수목의 원활한 생장을 가져와 결국 수준 높은 경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를 파악하고 수목의 성장에 적정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량한 토양으로 인한 수목의 하자율을 사전에 방지하고 수목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방안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Planting Improvement and Original Landscape of Gyeonghoeru Area in Gyongbokkung Palace (경복궁 경회루 권역의 식생경관원형과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Choong-sik;Jeong, Seul-k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6
    • /
    • pp.17-25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optimum height of trees, estimating a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ree growth for the landscape improvement of the Gyeonghoeru area. For the verification of measures for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a photographic survey of the Gyeonghoeru area and used the Pressler's formula to examine the growth rate of the pine forest of Manse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field survey and landscape analysis, trees in the Gyeonghoeru area are large ones with more than a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30cm, except for weeping cherry trees and persimmon trees, an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m or replace with small trees through the landscape of Mansesan, which screens the landscape and pruning the trees in the terraced flower garden in the north. Second, as a result of a measurement of the growth rate of trees, for 10 years on average, they grew up by 14% in source diameter and 5% in tree height 5% in south of Mansesan and by 7% in source diameter and 2.4% in tree height in the north of Mansesan. Furthermore, when a simulation was prepared based on the measured growth rate of trees, it was found out that 20 years later, on the landscape on the second floor of Gyeonghoeru, the pine forest of Mansesan would cut off the skyline of Mt. Inwang-san. Third, this study analyzed a landscape improvement simulation and proposed a plan for tree management to take a view of the landscape of the Gyeonghoeru area.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drew an efficient planting maintenance policy, considering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hoeru area.

Analysi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Trees in Apartment Complex -Focusing on Metropalace Complex, Daegu Metropolitan City- (아파트 단지 내 조경수목의 생장특성 분석 -대구광역시 메트로팔레스단지를 대상으로-)

  • Jung, Mun Hwa;Jung, Sung Gwan;Choi, Chul Hyun;Shin, Jae Yun;You, Ju 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1
    • /
    • pp.35-4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improving the method of landscape planting in apartment complex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growth ratio by type and ground planted in landscape tre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survival ratio of tree, Pinus densiflora was the highest and Abies koreana was the lowest in evergreen tree. In case of deciduous tree, the species of the highest survival ratio were Diospyros kaki, Zelkova serrata, Prunus mume, Lagerstroemia indica and Ginkgo biloba. There showed that Sorbus commixta and Chaenomeles sinensis had the lowest survial ratio. In case of tree growth by types, Pinus strobus was the highest and Pinus densiflora var. globosa was the lowest among evergreen trees. Among deciduous trees, the growth ratio of Zelkova serrata was the highest, and the trees showed the lowest growth were Lagerstroemia indica, Magnolia denudata and Cornus officinalis. Pinus strobus, Cornus kousa, Ginkgo biloba, Chionanthus retusa and Acer palmatum were good growth in natural ground, and Zelkova serrata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were good in artificial ground. In the future, if you study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hrubs that are excluded from the study of landscape trees in various locations are expected to derive objective data.

Optimal Planting Spacing on the Basis of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Trees (조경수목의 생육환경을 고려한 적정 식재간격의 연구)

  • 이옥하;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34-48
    • /
    • 1999
  • 본 연구는 주요 조경수목에 대한 생장예측모델을 추정하여 적정 식재간격을 산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경식재에서 많이 사용되는 9개 수종을 대상으로 수종별 30주 이상씩의 개체를 선정한 후, 상관성이 높은 측정변수 간에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생장예측모델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서울 시내 2개 아파트단지 녹지를 사례연구지로 선정하여 생육상태를 파악하고 모델과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교목층 위주의 식재로 인해 식재밀도가 과밀하여 수관이 왜곡되고 기형적으로 생장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바, 수관중복률과 수관왜곡률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식재간격이 매우 조밀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주요 조경수종의 규격별 생장예측을 통해 목표년도별 적정 식재간격을 제안하였는데, 목표년도를 식재 후 5년으로 본다면 상록교목은 2.0m, 낙엽교목은 3.0~4.0m, 낙엽아교목은 2.0~2.5m의 식재간격이 적당하고, 식재 후 10년을 목표년도로 한다면 상록교목의 경우 3.0m, 낙엽교목은 4.0~6.0m, 낙엽교목은 2.5~3.0m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와 서울시 조례기준 식재밀도를 비교하였는데, 식재후 5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0.23본/m2, 10년 경과시점에서는 0.12본/m2이 적정 식재밀도로 밝혀져 현재 0.2본/m2으로 정하고 있는 서울시 교목식재 관련 기준은 5년 정도를 목표시점으로 한다면 적절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식재 후 10년이 경과하면 수관중복률이 25%를 초과하게 되므로 쾌적한 녹지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적절한 관리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Growth Characteristics of Di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Population, a Rare plant in Korea (희귀식물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생육 특성)

  • Jeong Gul Jang;Sung-Tae Yu;Byung-Do Kim;Myung-Hoon Yi;Hye-Yeon Kwon;Chae-Sun Na;Da-Hyun Lee;Ki-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19-19
    • /
    • 2021
  • 경남 양산의 천성산에서만 생육하는 산림청·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Critically Endangered, CR)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을 대상으로 20개소의 방형구(10×10m, 100m2) 내 개체의 특성(개체수, 개화, 결실 등), 종자의 활력검정,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우리나라 전역의 생육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20개소의 대상지에서 확인한 개체수는 총 3,270개체이며, 평균 개체밀도는 1.635/m2이다. 평균 수고는 1.1m 정도이며, 평균개화율은 27.37%이고 개화는 1.0~1.8m(평균수고 1.39m) 수고에서 집중되었다. 한편, 결실률은 평균 1.67%로 매우 낮았다. 종자의 크기는 평균 너비 0.27mm, 높이 0.18mm 정도로 너무 작아 X-ray 촬영을 통한 충실검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종자를 1% Agar배지에 종자를 치상한 후 온도조건(15, 20, 25℃)에 따른 실험 및 온도(15, 20, 25℃)와 GA3 농도(100, 250, 500PPM)처리 실험 모두 발아율은 0%였다. 결실률이 매우 낮고, 종자 발아율 또한 낮으며 지하경을 뻗는 특성으로 보아 종자는 휴면종자이며 영양생장을 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실험 결과, 신초는 평균 30.6mm 성장, 엽록소 평균 함량 25.30, 잎의 수 평균 8.32개, 잎 길이 평균 35.93mm, 잎 폭 평균 20.37mm정도 성장하여 엽면적은 평균 761.10mm로 나타났다. 생육은 조도계를 활용한 실 차광률로 볼 때, 67.8% > 82.8% > 88.2% > 43.2% > 91.9%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걱댕강나무 자생지 내 수관열림도가 21.86%로 이를 차광률로 환산할 경우 70%내외의 차광률에서 생육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기후대별로 5개소에 이식한 주걱댕강나무는 이듬해까지 모두 생육이 원활하였다. A. spathulata를 Diabelia ionostachya종들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진다는 연구에서 D. ionostachya 샘플은 위도상 강원도 고성군에 속하고 있어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식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DMZ Barren La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ve Plants (자생식물 적용을 통한 DMZ 불모지 복원공법 연구)

  • Young-Eun Kim;Dong-Hak Kim;Hyeong-Bok Cho;Mi-Young Huh;Sa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5-65
    • /
    • 2022
  • 지속가능한 DMZ 일원의 생태복원 추진을 위해 DMZ 생태교란지에서 복원공법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강원도 인제군, 철원군 및 경기도 연천군의 DMZ 내(450m2)에서 진행되었으며, 흰민들레, 구절초, 매발톱, 질경이, 꿀풀이 공시식물로 사용되었다. 각 대상지의 식생유형별 시공방법에 따른 침입종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반식생기반재와 특수식생기반재로 처리된 실험구의 전체 피도, 도입종 피도, 침입종 피도, 초장, 출현종 등을 측정하였다. 전체 피도는 세 곳 모두 일반 기반재보다 특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상지에 따라 침입종 피도가 미치는 영향은 달랐다. 도입종의 피도는 인제, 철원, 연천에서 동일하게 흰민들레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특수기반재에서 보다 높은 피도를 보였다. 폭염 및 폭우로 6월 이후 흰민들레가 감소하면서 구절초, 매발톱의 피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기반재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 피도가 특수기반재보다 일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질경이와 꿀풀의 생장은 미미하였다. 같은 처리를 했음에도 대상지별로 소재식물의 출현 여부, 생장률, 침입종의 피도 등이 다른 것으로 보아 복원지의 환경 여건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종, 시공방법, 주변 완충지역의 범위 등에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Changes in Growth Rate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ge of Landscape Trees (조경수목의 수령에 따른 생장율과 탄소흡수량 변화)

  • Jo, Hyun-Kil;Park, Hye-M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5
    • /
    • pp.97-104
    • /
    • 2017
  • Greenspace enlargement through proper landscape planting is essential to creating a low carbo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stem diameter growth rates(DGR), ratios of below ground/above ground biomass(B/A),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ge of major landscape tree species. Landscape trees for study were 11 species and 112 individuals planted in middle region of Korea. The DGR and B/A were analyzed based on data measured through a direct harvesting method including root digging. The carbon sequestration by tree age was estimated applying the derived regression models. The annual DGR at breast height of trees over 30 years averaged 0.72 cm/yr for deciduous species and 0.83 cm/yr for evergreen species. The B/A of the trees over 30 years averaged 0.23 for evergreen species and 0.40 for deciduous species, about 1.7 times higher than evergreen species. The B/A by age in this study did not correspond to the existing result that it decreased as tree ages became older. Of the study tree species, cumulative carbon sequestration over 25 years was greatest with Zelkova serrata(198.3 kg), followed by Prunus yedoensis(121.7 kg), Pinus koraiensis(117.5 kg), and Pinus densiflora (77.4 kg) in that order. The cumulative carbon sequestration by Z. serrata offset about 5% of carbon emissions per capita from household electricity use for the same period. The growth rates and carbon sequestration for landscape trees were much greater than those for forest trees even for the same species. Based on these results, landscap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were explored to improve carbon sequestration, including tree species selection, planting density, and growth ground improvement. This study breaks new ground in discovering changes in growth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ge of landscape trees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urban greenspaces towards a low carbon society.

A study on the field composition for making of windbreak forest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새만금 방풍림 조성을 위한 식생기반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 JI, Dallim;Choi, Kangwon;Noh,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7-177
    • /
    • 2020
  • 새만금 간척지는 1989년 '새만금간척사업'이 발표된 이래 1991년에 방조제 공사를 시작으로 2006년 물막기 공사를 완료하였고, 2009년 이후 방조제를 완공하여 현재는 40,100ha의 간척지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간척지는 장기적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간척으로 인한 해안경관의 가치 상실, 생태계 파괴 및 교란에 따른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식생의 도입이 그 대책의 하나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자연적으로 식물천이를 유도하고 동물들을 유인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간척지의 대표적인 수목생육 제한 요인으로 판단되는 염분, 배수 및 통기성에 대한 시험연구를 진행하고자 '09~'11까지 초기에 김제광활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였고, '12부터는 군산옥구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고 있다. 수목을 심을 포지를 구획하기 전에 토양의 염분값을 낮추기 위해서 군산옥구의 경우, 2ha의 시험포를 포함한 전체 묘목장 부지(100ha) 중에서 일부구간(38ha)을 '09 부터 자연강우 담수제염을 통해서 제염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염분 값이 18ds/m~20ds/m에서 8ds/m~10ds/m로 낮아졌다. 이렇게 수목이 자랄 수 있는 정도의 제염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배수 및 통기성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포지를 구획하였다. 단지1의 경우, 사전제염작업을 하지 않고, 5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고, 단지2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10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다. 단지3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그 위에 0.4M의 준설토를 성토하여 포지를 조성하고 일부구간에 5M, 10M암거를 설치하였다. 2년 간의 수목 생존률 및 생장 모니터링을 통해서 각 단지에서의 수목생장의 적합성의 정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단지3이 암거설치 간격 및 설치유무에 관계없이 수목이 자라는데 가장 적합했다. 다음으로 단지2, 단지1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 값을 낮추기 위한 자연강우 담수제염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배수 및 통기성 개선을 위한 암거설치의 경우는 새만금 전체 식재구역에 적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배수 및 통기성을 위한 별도의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각 단지에서의 수목 생장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식재기반 조성기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Changes on Initial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and Betula costata Seedlings under Elevated Temperature (온도 증가에 따른 일본잎갈나무와 거제수나무 유묘의 초기 생장과 생리 특성의 변화)

  • Han, Sim-Hee;Kim, Du-Hyun;Kim, Gil-Nam;Lee, Jae-Cheon;Yun, Chung-We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4 no.2
    • /
    • pp.63-70
    • /
    • 2012
  • Larix kaempferi and Betula costata seedlings were grown under an elevated temperature ($27^{\circ}C$) for four weeks to understand initial changes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aused by temperature rising in connection with global warming. At the end of the treatment, growth performance, leaf pigment content,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malondialdehyde (MDA) content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lative growth rates of the height of two tree species grown under elevated temperature ($27^{\circ}C$)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24^{\circ}C$) and dry weights of leaves, stems and roots were also reduced at higher temperature. Particularly, the root growth reduction of two tree species increased markedly at $27^{\circ}C$ over the study period, which increased the ratio of shoot to root. Under higher temperature, leaf pigment contents decreased, whereas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such as ascorbate peroxidase (APX) and catalase (CAT)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But MDA content was not affected by elevated temperature. In conclusion, the elevated temperature leads to root growth reduction, restriction of nutrient uptake from soil and the reduction of leaf pigment contents, which can inhibit the aboveground growth. In addition, higher temperature might act as a stress factor that causes growth reduction through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during a growth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