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저항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토양 수리특성에 따른 전기비저항 관계 규명을 위한 실내시험 결과

  • 송성호;김기주;박삼규;용환호;조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116-119
    • /
    • 2003
  • 본 연구는 전기비저항 탐사법을 이용한 실내실험의 결과를 활용하여 토양의 수리특성별 지층비저항계수를 산출하여 소유역에 대하여 대략적인 수리지질 특성을 규명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모래로 구성된 토양층의 경우는 본 실내시험에서 얻어진 지층비저항계수에 따른 공극율 및 수리전도도의 관계를 활용할 수 있으며, 점토가 포함된 토양층의 경우는 표면전도도의 영향으로 측정되는 전기비저항이 실제 측정값보다 낮게 나타나므로 향후 전기이중층 효과를 고려하여 개발하는 경험식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measured by Rotating Cylinder Test (회전식 수리저항성능 실험기를 이용한 지반의 수리저항특성과 전기비저항 특성의 상관관계)

  • Kim, Young Sang;Jeong, Shin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7 no.1
    • /
    • pp.1-8
    • /
    • 2015
  • Recently, constructions of coastal structure including wind turbine structure have increased at southwest shore of Korea.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tide which rage from 3.0 m to 8.0 m at south and wet shore of Korea, respectively. In such ocean circumstance, large scour may occur due to multi-directional tidal current and transverse stress of the wind. therefore scour surrounding wind turbine structure can make system unsafe due to unexpected system vibration. In this study,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i.e., critical velocity and critical shear stress, was evaluated by RCT.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hydraulic resistance capacities of the samples which were consolidated by different preconsolidation pressures were correlated with soil resistivities of same sampl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from electrical resistivity of soil. Through the updating the correlation for various soil types, it is expected that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whole construction site will be simply determined from the electrical resistivity.

Effect of Incidence Angle of Current on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Clayey Soil (흐름의 입사각이 점성토 지반의 수리저항성능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Sang;Han, Byung-Duck;Kang, Gyeong-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1
    • /
    • pp.26-35
    • /
    • 2012
  • Until now, study on the hydraulic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at the river and the ocean current has been focused on the behavior under uni-directional flow without the direction change of flow. However, recent research result shows that scour rate which were measured under the bi-directional flow was much higher than those measured under uni-directional flow for both fine grained and coarse soil. Since the direction of inflow and return flow at the shore, where the structure will be constructed, is not always $180^{\circ}$, effect of the incidence angle on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the ground should be examined. Using the improved EFA which can consider the direction change of flow, hydraulic resistance capacities of the artificially composed clayey fine grained soil and clayey sandy soil under $0^{\circ}$, $90^{\circ}$, $135^{\circ}$, $180^{\circ}$ flow angle of incidence were assessed. Test result shows that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decreases and scour rate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incidence angle between inflow and return flow. For the low consolidation pressure condition,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the fine grained soil decreases rapidly. While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the coarse grained soil decreases more rapidly than fine grained soil under high consolidation pressure. Eventually since the larger the incidence angle between inflow and return flow, the larger the scour rat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under bi-directional flow($0^{\circ}{\longleftrightarrow}180^{\circ}$) should be examined for the design purpose.

Experiments for Evaluation of Equivalent Resistance Coefficient of Circular Multi-Piers in Open Channel (개수로 원형 다열기둥의 상당저항계수 산정 실험)

  • Kwon, Kab-Keun;Cho, Sang-Min;Choi, Jun-Woo;Yoon, Su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14-918
    • /
    • 2009
  • 권 등(2008)은 수면보다 높은 정방형 다열기둥을 이용한 수리실험을 수행하여 수심과 이격거리에 따른 상당저항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Manning 계수형태의 상당저항계수 이론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면보다 높은 원형 다열기둥을 이용한 수리실험을 수행하여 이격거리와 수심에 따른 상당저항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이격거리만의 함수로 가정한 항력상 호작용계수를 추정하여 이를 권 등(2008)의 이론식에 적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정방형 다열기둥의 실험결과와 원형 다열기둥의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흐름방향 이격거리가 큰 범위에서는 원형기둥의 저항계수가 정방형기둥의 저항계수보다 작게 측정되지만 흐름방향 이격거리가 감소할수록 원형기둥의 저항계수가 정방형기둥의 저항계수보다 증가하면서 원형기둥이 정방형 기둥보다 저항정도가 큰 상태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Flow Direction and Consolidation Pressure on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Soils (흐름방향과 압밀응력이 지반의 수리저항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sang;Jeong, Shinhyun;Lee,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6 no.5
    • /
    • pp.55-66
    • /
    • 2015
  • Big tidal differences, which range from 3.0 m to 8.0 m, exist with regional locations at south and west shores of Korea. Under this ocean circumstance, since a large scour may occur due to multi-directional tidal current and transverse stress of the wind, the scour surrounding the wind turbine structure can make instability of the system due to unexpected system vibration.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soils consolidated under different pressures are evaluated by Erosion Function Apparatus (EFA) under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flow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low direction change affects significantly on the sour rate and critical shear stress, regardless of soil types while the consolidation pressure affects mainly cohesive soil. Among geotechnical parameter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can be well-correlated with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regardless soil type while the shear wave velocity shows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s with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ies of fine grained soil and coarse grained soil, respectively.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Resistance of Sea Ground Considering Tidal Current Flow (왕복류 흐름을 고려한 지반의 수리저항성능 실험)

  • Kim, Young-Sang;Gang, Gyeong-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1
    • /
    • pp.118-125
    • /
    • 2011
  • Conventional erosion function apparatus (EFA) which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hydraulic resistance of soil was improved to consider direction change of the current flow. Using improved apparatus, hydraulic resistance capacities of the artificially composed clayey soil and sandy soil were compared. Test result shows that scour rates which were measured under the bi-directional flow were much higher than those measured under unidirectional flow for both type soils. Scour rate of sandy soil was higher than that of clayey soil. Velocity averaged scour rate of specimen which was consolidated under the relatively large consolidation pressure is higher than that of specimen which is consolidated under small consolidation pressure, which means scour problem under bidirectional flow may be more serious for the deep seabed ground.

Relationship between Hydraulic Conductivity and Electrical Resistivity of Standard Sand and Glass Bead (표준사와 유리구슬을 이용한 수리전도도와 전기비저항의 관계)

  • Kim, Soodong;Park, Samgyu;Hamm, Se-Ye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6 no.3
    • /
    • pp.215-220
    • /
    • 2013
  • We estimated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ediments using constant-head permeability tests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with Jumoonjin standard sand of a uniform size and glass beads of different grain size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variations of the porosity,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resistivity in case 1 (changing the packing of the Jumoonjin standard sand) and in case 2 (varying the size of the glass beads). The results of case 1 showed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electrical resistivity. This occurred because the sand grain while packing became rhombohedral with the a decrease of both the pore size and porosity. The results of the case 2 showed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ore size as caused by the increased glass bead size. In addition, the porosity decreased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increased.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is negatively proportional as regards the grain packing with a change from cubic to rhombohedral whereas this relationship is positive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in the grain size.

Estimation of bulk flow resistance in vegetated channels based on large-scale river experiments (실규모 하천 실험을 통한 식생하도의 구간 흐름저항 산정)

  • Ji, Un;Bae, Inhyeok;Ahn, Myeonghui;Jang, E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
    • /
    • 2021
  • 하천의 식생은 생태서식처 제공, 강턱이나 하안 경사의 안정, 영양염류나 오염물 차단에 의한 수질 개선 등의 다양한 생태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과도하고 편중된 식생 분포로 인해 흐름저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홍수위 상승과 홍수피해 위험이 가중될 수 있다. 기후변화 영향과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수리수문 특성 변화와 유역으로부터 영양염류의 유입은 하천내 식생이 과도하게 퍼지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과도한 식생분포로 인한 흐름저항과 홍수위 상승을 평가하기 위해 식생하도의 흐름저항과 관련된 매개변수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따른 해석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해석과 수학모형의 개발, 실험실 수로와 하천현장조사, 수치모형을 이용한 예측 등의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실험실 수로에서 단순화된 식생 구조와 배열이 적용되는 한계성과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량과 유속 등의 수리조건을 통제할 수 없는 현장실험의 한계성을 보완하고자 목본류 형태의 식생패치를 실규모 하천실험 수로에 조성하여 통제된 수리조건에서의 식생하도의 구간 흐름저항을 추정하기 위한 계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규모 실험에서는 피에조미터 형식의 정밀 압력식 센서를 이용하여 수위와 수면경사를 계측하였으며, 실험구간의 접근 수로에서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이용하여 유입 유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전체 수로 길이 약 600 m, 하폭 11 m, 깊이 2 m 규모의 실규모 하도 일부 80 m 완경사 구간에 식생패치를 설치하고 구간 수면경사를 실측함으로써 식생하도의 흐름저항을 직접 산정하였다. 이러한 실규모 식생하도의 실험을 통해 식생패치의 밀도, 횡적 차단면적, 구간 차단부피, 목본 식생의 물리적 특성, 식생패치의 배열 등의 다양한 식생분포 조건에 따른 수리조건별 흐름저항 값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식생하도에 대한 정확한 흐름저항 추정과 홍수위 변화에 대한 해석은 하천 식생의 생태서비스와 홍수방어의 하천 치수효과의 최적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한 하도관리의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Flow Changes due to Trees on One Line (하천의 일열 수목에 의한 흐름 변화 수리모형실험)

  • Lee, Nam-Joo;Kim, Ji-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1-462
    • /
    • 2011
  • 하천에 침입한 식생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현장조사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하천의 흐름이 식생에 미치는 영향이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국내의 하천에서 버드나무는 일열로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이입되어 활착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고 있으며, 이 연구는 실험실 개수로에 모형 나무를 일렬로 배열하여 식생이 완전히 잠긴 경우와 부분적으로 잠긴 경우에 대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모형 실험결과 나무의 개수에 따라 수위의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빈 공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나무의 간격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식생의 개수, 잠긴 정도, 흐름 상태에 따른 유속과 수위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는 식생저항모형 개발과 이차원 흐름모형의 검보정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전기설비의 검사, 점검 및 시험⑨

  • Gwon, Sun-Gu;Kim, Gi-Uk;Lee, Gyu-Bok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48 no.4
    • /
    • pp.21-24
    • /
    • 2003
  • 절연저항계의 지시의 흔들림 절연저항계는 프로프를 접촉시킨 수간에 일단 크게 흔들려 그후 일정치에 안정하는 것이다. 이것이 안정하지 않을 때는 기기의불량이나 접속불량이다. 접속불량은 수리하면 되나, 기기가 불량일 때는 수리 혹은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