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동적 스트레칭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이 혈중피로물질 및 VAS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Passive Stretching on Blood Fatigue and VAS afte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김종혁;김도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3-99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의 효과를 확인하고 부상 시 효과적인 통증완화 및 예방을 위한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20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동적 스트레칭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은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을 실시하였으며 통제그룹은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어떠한 처치도 실시하지 않았다. 지연성근육통 유발 방법은 벤치 스텝 운동을 통하여 유발하였으며, 스텝박스의 높이는 50cm이며, 착지 시 왼쪽 하지 쪽으로 착지하도록 하였다. 측정변인은 혈중피로물질과 주관적 통증척도를 알아보았으며 자료처리는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과 통제그룹의 비교를 위하여 2-way RGRM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이 혈중피로물질(CRP, LDH)과 주관적 통증척도(VAS)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막이완기법 및 수동적 스트레칭이 직장여성 하지 체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ofascial Relaxation Technique and Passive Stretching on Lower Extremity Body Shape of Working Women)

  • 김정은;김종두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2-157
    • /
    • 2022
  • 배경: 근막이완기법과 수동적 스트레칭을 병행한 실험이 직장여성의 하지체형에 미치는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목적: 고정자세로 근무하는 직장여성에게 근막이완기법과 수동적 스트레칭을 적용하여 체성분분석(세포내액, 골격 근량, 체세포량)에 어떤 변화를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방법: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15명씩 구성하여 실험 군에게는 주 2회, 총 9주간 18회 하체 집중 근막이완기법과 수동적 스트레칭을 시행하고, 대조군은 능동적 스트레칭 설명서를 보고 스스로 주 2회 이상 스트레칭을 하도록 했다. 수집한 자료는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의 체성분 중 세포내액(p < .05), 골격 근량(p < .048), 체세포량 (p < .047)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직장여성의 하지 부종이 감소하였으며, 기초자료로서 가치가있다 본다.

고관절 가동성 증진을 위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의 생체역학적 고찰 (A Biomechanical Study on the Hip Joint Flexibility Based on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 장지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5-69
    • /
    • 2015
  • 작업치료에서 관절의 가동성은 치료 절차와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동적 스트레칭과 능동적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고관절의 가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 굽힘/폄근의 근전도 활성정도 바탕으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의 생체역학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10명의 20대 학생을 대상으로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을 실시한 결과 고관절의 가동성이 전담 보조자의 도움을 받았을 때, 평균 $18.9^{\circ}$ 증가하였고 넙다리네갈래근과 뒤넙다리근의 근전도의 활성 또한 고유수용기의 생체역학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스트레칭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머리척추각과 근긴장도 변화 연구 (Effects of Stretching Time on Head Spine Angle and Muscle Tone)

  • 손지윤;유영천;김지윤;박희원;유지현;이유권;임병언;최지명;김재현
    • 산업과 과학
    • /
    • 제2권3호
    • /
    • pp.15-2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칭 전후 머리척추각 변화와 스트레칭 후 휴식 시간 경과에 따른 근긴장도 변화를 알고자 하였다. 건강한 20-30대 남녀 학생 5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머리척추각은 스트레칭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스트레칭은 정적 수동 스트레칭을 적용하였고, 30초 실시 후 휴식 시간 10초로 총 3회 반복하였으며, 근긴장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스트레칭 전, 직후, 2분 후, 5분 후를 측정하였다. 스트레칭 전후의 머리척추각은 결과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스트레칭 후 휴식 시간에 따른 근긴장도 변화는 스트레칭 전보다 5분 후가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칭을 실시한 직후에 바로 신체활동을 하는 것보다는 적어도 5분 이상의 휴식을 취하여 근긴장도를 낮춘 후 활동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