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계산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5초

웅천천(熊川川) 수계산(水系産) 납자루의 개체발생(個體發生) (Development of Acheilognathus lanceolatus from Ungchon river, Korea)

  • 영목신양;전상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7-87
    • /
    • 1990
  • 웅천천(熊川川) 수계산(水系産) 납자루의 개체발생(個體發生)에 대(對)하여 $22{\pm}^{\circ}C$의 사육(飼育) 수온하(水溫下)에 있어서 경시적(經時的)인 관찰(觀察)을 실시(實施)하고 동시(同時)에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의 검토(檢討)도 실시(實施)하여 일본산(日本産) 납자루와의 비교(比較)도 행(行)하였다. 양국산(兩國産) 납자루는 완숙란(完熟卵)의 형태(形態)가 한국산(韓國産)이 일본산(日本産) 보다 현저(顯著)하게 가느다란 통종형(統鍾形)인 점(點)으로 구별(區別)되었으나 란발생(卵發生)과 자어(仔魚)의 발육형태(發育形態) 그리고 자어(仔魚)의 표피상돌기(表皮上突起)의 형태(形態) 등(等)에서는 차이(差異)를 볼 수 없었으며 초기발생(初期發生)에 있어서 생리적(生理的)인 격리(隔離)가 존재(存在)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본(本) 종(種)과 근록종(近綠種)이라고 생각되는 칼납자루는 일본산(日本産)과 한국산(韓國産) 사이에서 개체발생상(個體發生上)의 차이(差異)나 생이적(生理的)인 격리(隔離)가 있음이 밝혀져 있는데 양국산(兩國産) 납자루 사이에서는 완숙란(完熟卵)의 형태(形態)만 차이(差異)가 있었을 뿐이다. 완숙란(完熟卵)의 형태(形態)에는 아종(亞種) 간(間)의 차이(差異)나 지리적(地理的)인 변이(變異)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므로 양국산(兩國産) 납자루 사이에는 종(種) 수준(水準)의 분화(分化)라기 보다는 아종적(亞種的) 분화(分化) 단계(段階)에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판해석을 통한 교대날개벽 단면력 산정 및 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 (Sectional Force and Design Improvement of Abutment Wing based on Plate Analysis)

  • 김민호;정원석;안주옥;최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75-176
    • /
    • 2010
  • 국내 도로교설계기준에서는 날개벽 길이가 8m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 날개벽을 4개 구역으로 나누고 캔틸레버 구조로 간편하게 수계산하여 단면력을 산정하도록 하는 간편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간편법은 수계산에 의존하던 때에 만들어진 규정으로 과도한 안전율을 고려하게 되어 경제성 면에서도 불리한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합리한 교대 날개벽 관련 도로교설계기준을 개선하기 위해서, 날개벽을 2변 고정 판구조로 해석하고 시방서 단면력과 비교검토를 실시하여 현시방서의 문제점을 정량화하고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 PDF

수계산과 해석을 이용한 핸드링구 내구성 평가 방법 고찰 (Durability Evaluation Method of Handling Structure using Hand Calculation and Simulation)

  • 조성민;방효중;강병익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9
    • /
    • 2019
  • Most product structural components are assembled by various members and castings except casting products. In such cases, a particular structure is required to move and fix each component. In particular, the safety uncertainty of heavy product assemblies can be linked to large accidents. Thus, the safety design and evaluation of additional structur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ield and factories, these additional structures are called handling structures, which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the types of products produced become more diverse,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 handling structure are also diversified. The results of each evaluation should be derived. We develop a logical design and evaluation method, which was previously designed based on empirical data, for the handling structure.

영남지역산(嶺南地域産) 붕어 Carassius auratus(Linnaeus)의 형태적(形態的) 변이(變異)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Crusian Carp, Carassius auratus (Linnaeus) from Yongnam Area in Korea)

  • 남명모;양홍준;서보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54-63
    • /
    • 1989
  • 영남지역(嶺南地域)의 여러 수계에서 채집한 C. auratus를 재료로 하여 수계에 따른 형태변이를 조사하였다. 계측 및 계수형질의 변이 범위는 수계 간에 서로 비슷하였으나 평균치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같은 수계 내에서도 서식 환경에 따라 각 형질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계수형질 가운데 배기극의 수(數)는 지금까지 3개로 기재하고 있으나 본 조사에서는 이것과 다르게 4-6개로 밝혀졌고 그 중 4개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변이가 심하지만 일본산(日本産)의 C. auratus langsdorfii와 유사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새파가 길고 새파수에 있어서도 과거에 기재된 것 보다 더 많은 66-83개인 개체들이 나타나 일본산(日本産)인 C. auratus glandoculis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이들 개체의 분류에 대해서는 추후 세밀한 조사가 요망된다.

  • PDF

부산 근교의 수계환경과 설사환자로 부터 분리된 Plesiomonas shigelloides 의 세균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esiomonas shigelloides Isolated from the Aquatic Environments and Diarrheal Patients in Pusan Area)

  • 성희경;장동석;이원재;김용호;이정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5-112
    • /
    • 1993
  • 수계에 분포하고 있는 Plesiomonas shigelloides 균을 분리, 동정하고 임상유래균과의 세균학적 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부산근교인 구포에서 채수된 사료중 1개의 시료, 물금에서의 2개의 시료에서 P. shigelloides 가 분리, 동정되었으나 해운대, 수영, 다대포, 낙동강하구언, 강동 등에서 채수된 시료에서는 분리되지 않았다. 분리균의 최적 증식조건은 peptone water 에 $25~35^{\circ}C$ pH 7.5-8.0, NaCl 농도는 1%이하였고, 선택성 중균배지로서는 alkaline peptone water 에 insitol 을 첨가한 것이 증식이 가장 우수하였다. 생화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DNase 가 다른 연구결과와는 달리 느리게 생성되었고, 지방산 조성은 $C_{12}~C_{18}$ 3-hydroxylate 지방산이 3%, cyclopropane ($C_{17:0}$ 이 0~10%, hexadecanoic acid ($C_{16:0}$) 가 25-30%, hexadecenoic acid ($C_{16:1}$) 가 32-43%, octadecanoic acid ($C_{18:0}$) 가 1-2%, octadecenoic acid( $C_{18:1}$)가 9~14% 등으로 나타났다. 임상유래균주와 수계에서 분리한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및 항생제 감수성, 지방산 조성은 비슷하였다. 환자에서 분리된 균주가 수계에서 분리한 균주보다 lactose 분해속도가 빨랐고, chloramphenicol 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가 있었지만 수계에서 분리된 균주는 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에서 임상유래 균주는 $C_{17:0cyclo}$ 0~2%, $C_{18:0}$ 0~2% 였으나, 수계의 균주에서는 각각 2~10%, 1-2%로 양적인 차이를 보였다.

  • PDF

전기동향

  • 한국전기산업진흥회
    • 전기산업
    • /
    • 제7권1호
    • /
    • pp.99-105
    • /
    • 1996
  • PDF

기하 비선형을 고려한 켄틸레버 보의 처짐해석

  • 박세혁;전휘범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201-206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역학적 지식파 EDISON 구조동역학 서버에서 지원하는 이공계 교육 및 연구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중 Co-rotational Plane Beam with Arbitrary Section을 이용하여 캔틸레버 보의 처짐을 기하 비선형적으로 해석한다. 또한 해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에 적용이 가능한 지를 고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처짐을 해석하기 위하여 수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값을 비교하였고 캔틸레버 보의 변화 형상을 시각화 하였다.

  • PDF

수계별 입지특성에 따른 도시 물순환 인프라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rastructure for Urban Water Cycle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

  • 이상진;김병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58-58
    • /
    • 2021
  • 물은 비, 눈의 형태로 지표면에 공급되며,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 저류되고 지표 및 지하흐름을 통해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고 다시 증발산을 통해 순환 시스템을 이룬다. 또한, 물은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건강한 문순환 체계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범지구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 50년간 도시화를 통해 수계와 임야를 제외한 전 국토에서 불투수면적이 22.4%를 차지한다(ME, 2016). 이와 같은 경향은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서 침수, 가뭄, 비점오염, 침투량 감소 등과 같은 수재해 문제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관리 일원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저영향개발 기술 및 도시지역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각 분야에 따른 지표 선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사례에서는 대상 도시 내 물순환 체계 회복을 중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물순환 체계는 수계별로 상·중·하류에 따라 인구밀도, 급경사에 따른 돌발홍수, 내수침수, 우수배제 등과 같은 문제가 도시별로 상이하게 발생하며, 추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수계에서 대표적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각 도시에서는 입지특성에 따른 대응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4개의 수계로 구분하여 상·중·하류별로 위치한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주왕산 국립공원 일대의 담수어류상 (The Freshwater Fish Faun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이승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0-150
    • /
    • 1996
  • 국립공원에서 자연보존의 일환으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1994년 6월부터 12월까지 3회에걸쳐 주왕산 국립공원 일대의 10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한국고유종 및 아종인 긴몰개, 점몰개, 왕종개, 수수미꾸리, 미유기, 자가사리 그리고 동사리를 포함한 6개과 17종의 담수어류를 확인하였다. 낙동강 수계에서는 14종이, 영덕 오십천 수계에서는 10종이 분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은 붕어, 버들치, 피라미, 갈겨니, 미꾸리, 자가사리 및 동사리로서 7종이었고 우세종은 버들치, 갈겨니 그리고 동사리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