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쇼핑 태도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초

신선물류 취급 온라인 쇼핑몰업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On-line Shopping Mall handing Fresh Logistics)

  • 박성훈;남태현;차영두;이수환;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03-114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성장 중인 온라인 신선식품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인 주요 기업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경쟁력과 문제점을 실제 이용자에 대한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향후 사업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온라인으로 신선식품을 판매 중인 기업들의 현황과 시장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신선식품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여 BCG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IPA분석을 활용하여 실제 구매자가 인식하는 신선물류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를 측정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먼저 BCG매트릭스를 적용한 결과, 쿠팡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새로운 성장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IPA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비우선순위와 과잉영역에 소모되는 비용을 최소화 시키고, 유지 강화영역과 중점투자영역에 대해 투자함으로 신선물류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신선식품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편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각각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 표본을 확대 및 세분화하여 표본에 따른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상표유형이 유통업체 의류상표에 더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할인점 점포상표와 홈쇼핑 프리미엄상표의 비교- (The Influence of Brand Type on Consumer Attitude Formation of Private Apparel Brand -A Comparison between Discount Store PB and Home-shopping Premium PB-)

  • 최미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9_10호
    • /
    • pp.1400-1412
    • /
    • 2006
  • As PB market segments into premium market, PBs were drawing attentions in terms of creating profits as well as a means to differentiate building up stor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nsumer attitude formation process in discount store and home-shopping distribution channel which are recently on the upswing.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sumer's attitude formation on the private apparel bran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umers in their $20s{\sim}40s$ who are main customer groups of PBs. Th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of Amos 5.0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store PB and premium PB.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umer attitude formation path on PB grades showed statistically noticeable difference. In discount store PB, store evaluation didn't directly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 formation but showed indirect effect. On the other hand, in home shopping premium PB case, product evaluation directly influenced on consumer attitudes with store evaluation. Hedonic attitude dimension connected with behavioral attitude(purchase intention) revealed difference in path. Also consumer's evaluation on variables in model turned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brand grade.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섬유제품 수요 경향 (Consumer need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n Clothing based on Digital Fashion System)

  • 조하경;김은경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12
  •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대량 맞춤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 및 디지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는 최근 의류 분야에서 주요한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량 맞춤화 의류 제품의 수요는 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최근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인터넷 맞춤서비스를 기반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CAD 등의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하여 디자인, 패턴제작, 재단 등의 자동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을 통해 3차원 바디 스캔,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3차원 Simulation, DID, DTP, 맞춤주문형 제품의 대량 생산기술 등의 단위 기술이 기업단위로 활용되는 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가상쇼핑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섬유패션 산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 전체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 공정을 단축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날염 방식으로, 대량 맞춤형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 중 하나의 단계로 소비자의 수요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대량 맞춤형 의류 제품에 있어 소비자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대량맞춤형 섬유제품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적용 섬유제품에 대한 기초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기초 소비자 태도를 반영하여,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의류 제품의 선호도, 인지도, 수요도 및 구입의향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 적용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의류 제품의 수요 경향을 제시하였다.

  • PDF

패션 상품 쇼핑백 유형에 대한 소비자반응, 광고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Product's Shopping Bag types on Customer Response,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 채희주;이수연;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4-579
    • /
    • 2014
  • Packaging of shopping bag is a 'silent salesma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keting communication due to the increase of self-service outlets and changing lifestyles of customers. Retail shopping bags, which are defined as bags provided by retailers to customer as a means of transporting merchandise, are a type of secondary packag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a fashion product's shopping bag types in sense of shopping value, customers' respons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nsumers' responses about shopping bags sh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who have either hedonic or utilitarian shopping value. Hedonic shopping value influences on consumers' response as unique, interesting, and attention; however utilitarian value affects prestige in addition to those four significant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consumer response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shopping value. Thus, using the various types of shopping bags can be influenced on effective advertising. It will also great effect on marketing activity with lower cost. The significant result from this study has proven that the shopping bag is correlates to the definition of pop art today because it can offer an opportunity to look at, play with and buy sophisticated visual stimulus. Therefore, retail and brands have to concern about shopping bag considering their decisive role in the apparel market.

패션사이클 가속화에 따른 의류소비 행태 연구 (A Study on Consumption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he Acceleration of Fashion Cycle)

  • 최주영;임성민;김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37-1148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among female consumer groups in their twenties and to understand the type of consumer group pursuing fast fashio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30 female consumers residing in Seoul and Kyung Gi area from June 18 to 29 in 2007, and 178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2 program on the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actors analyses were employed for the attitude toward fashion and shopping, and shopping motives. Four factors were formulated for the attitude toward fashion: interest in fashion, fashion-orientation, fashion leadership and fashion conformity. Six factors for the attitude toward shopping were found: information searching, shopping enjoyment, store patronage, impulse buying, brand-orientation and convenience. Buying motives for fashion goods were classified into 3 factors: for matching & occasion, to-be-in-fashion and for necessity.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ttitude toward fashion: the fashion-interested, the fashion-indifferent, fashion leaders and the individuality-oriented. Among th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formation searching, shopping enjoyment and store patronage. Fashion leaders tended to spend more for expensive and up-to-dated fashion items, and for higher quantity than other groups. Consequently fashion leaders showed attractive customer characteristics for the fast fashion companies.

패션 소셜커머스의 사이트 특성과 SNS 주관적 규범이 소셜커머스 태도 및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in Fashion Social Commerce Sites and SNS Subjective Norm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Social Commerce an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 조윤진;양희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148-1161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ite characteristics in fashion social commerce and SNS subjective norms on the attitude of consumers towards social commerce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for fashion products.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consumer responses through a comparison of a group purchase mall versus a private mall. Respondents are limited to consumers aged 20 to 39 who have recently purchased fashion products through social commerce over the last month. Four hundred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Product value, convenience and SNS subjective norms without trus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nsumer attitude towards social commerce, and the attitude of consum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products. In the group purchase mall, only convenience affected the attitude of consumers; in the private mall, product value, convenience and SNS subjective norm had an effect on the attitude of consumers. In addition, the SNS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s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Social commerce ought to offer product value and create a simple and convenient design to raise the 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products; in addition, they should use SNS functions to inform consumers of social commerce. It is imperative to implement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social commerce type.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 게임과몰입 연구 : 도피이론을 중심으로 (Adolescents' Gaming Disorder Study and Parenting Attitude : Based on the Escape Theory)

  • 이대영;정의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99-208
    • /
    • 2019
  • 도피이론은 자살과 같은 문제행동에 대한 이론으로 부정적인 자신인식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대표적인 청소년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게임과몰입의 원인을 도피이론을 통해 추적해 보았다. 자살이론은 부정적 외부환경에 의해 촉발된 문제를 내부귀인과 자기비난으로 흘러가게 하며 이를 혐오적 자기인식으로, 다시 문제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과정을 청소년의 환경, 심리, 행동에 대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부모의 애정부족과 일관성부재가 부정적 외부환경을 조성하고 이것이 부정적 외부환경을 조성하여 자녀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곧이어 낮은 자존감이 우울이라는 부정적 감정을 유발, 자신의 통제력을 낮추어 게임과몰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게임과몰입이 도피이론모형을 통해 설명되던 폭식, 쇼핑중독 등 강박행동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나타냈으며, 게임과몰입 연구를 위해서 개인의 환경심리요인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미지 기반의 경험재, 텍스트 기반의 탐색재: 조절초점에 따른 제품 정보 구성 방식과 제품 유형의 일치 효과 (Image based Experience Goods, Text-based Search Goods: Cognitive Fit between Product Information Composition and Product Type depending on Regulatory Focus)

  • 박경희;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75-100
    • /
    • 2022
  •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비대면 모바일 커머스 시장은 더욱더 치열한 경쟁 속에 있으며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더 나은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각도의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구매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세페이지는 대부분 비슷한 형태와 구성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상세페이지의 상품 설명 영역의 정보 구성방식 (이미지 중심 vs 텍스트 중심)과 제품 유형 (탐색재 vs 경험재)에 따라 소비자들의 정보 인식이 달라져 제품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정보 탐색이 쉽고 품질 예측이 가능한 탐색재(Search Goods)의 경우는 이미지(Image) 중심 정보 구성 방식에서, 직접 경험하지 않으면 상품의 품질을 예측 불가능한 경험재(Experience Goods)의 경우에는 텍스트(Text) 중심의 정보 구성 방식에서 제품 태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iggins의 자기조절초점(Self-Regulatory Focus) 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조절초점 성향에 따라 제품 유형과 정보 구성 방식 간의 일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향상초점(Promotion Focus) 성향의 소비자는 제품 유형과 정보 구성 방식 간의 일치 효과가 나타났으며, 예방초점(Prevention Focus) 성향의 소비자는 제품 유형과 정보 구성 방식 간의 일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경험재에 대하여 이미지 중심의 정보 구성 방식에서, 탐색재에 대해서는 텍스트 중심의 정보 구성 방식에서 더 긍정적인 제품 태도를 가진다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예방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탐색재 및 경험재에 대하여 이미지 중심 또는 텍스트 중심의 정보 구성 방식을 제시하더라도 제품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몰 상세페이지 상품 상세 영역에서 정보 구성 방식을 제품 유형과 소비자 성향을 고려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갖는다.

유색 농산물 중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함량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nthocyanin and Polyphenol Contents in Colored Agricultural Products)

  • 정일형;오문석;전종섭;김한택;홍세라;박광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71-3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유통되는 컬러푸드 중 블랙푸드 76건을 대상으로 폴리페놀 17종 및 안토시아닌 5종을 동일한 전처리 방법으로 HPLC, HPLC-MS/MS 분석하여 정량 및 정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폴리페놀은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t-ferulic acid, t-cinnamic acid 등 9종의 phenolic acid와 (+)catechin, syringic aldehyde, rutin, epicatechin gallate, naringin, luteolin, naringenin, kaempferol 등 8종의 flavonoid로 총 17종의 폴리페놀을 동시분석 하였고, 안토시아닌은 delphinidin-3-glucoside, delphinidin-3-rutinoside, cyanidin-3-galactoside, cyanidin-3-glucoside, cyanidin-3-arabinoside 등 5종을 동시분석 하였다. 폴리페놀 17종의 총 함량은 서리태 $255.1{\pm}7.5{\mu}g/g$, 서목태 $275.8{\pm}5.3{\mu}g/g$, 흑미 $78.5{\pm}4.6{\mu}g/g$, 흑임자 $75.8{\pm}3.2{\mu}g/g$, 블루베리 $143.3{\pm}5.5{\mu}g/g$, 아로니아 $195.2{\pm}4.9{\mu}g/g$, 블랙커런트 $131.6{\pm}3.2{\mu}g/g$로 나타나 서목태 > 서리태 > 아로니아 > 블루베리 > 블랙커런트 > 흑미 > 흑임자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안토시아닌 5종의 총 함량은 서리태 $82.4{\pm}17.2{\mu}g/g$, 서목태 $95.2{\pm}6.1{\mu}g/g$, 흑미 $74.1{\pm}9.7{\mu}g/g$, 흑임자 불검출, 블루베리 $110.8{\pm}1.9{\mu}g/g$, 아로니아 $218.9{\pm}6.1{\mu}g/g$, 블랙커런트 $209.7{\pm}4.0{\mu}g/g$로 나타나 아로니아 > 블랙커런트 > 블루베리 > 서목태 > 서리태 > 흑미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폴리페놀은 서목태, 안토시아닌은 아로니아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향후 유색 농산물을 활용한 기능식품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터넷 이용고객의 장기지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관계기간의 조절효과- (A model of internet customer long-term orient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length)

  • 황화철;서용한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147-165
    • /
    • 2001
  • 인터넷비즈니스 기업이 고객과의 성공적인 관계유지를 위해서는 자신들이 구축한 고객베이스내 고객들간 태도나 구매행동패턴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 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터넷 고객의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와 장기지행성 간의 관계가 거래 특성변수인 거래기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 았다. 탐색적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구매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 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