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쇼핑몰 만족도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전자상거래시 고객유지를 위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ong-Man;Sim, Gyu-Yeo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6
    • /
    • pp.143-166
    • /
    • 2000
  •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의 여러 유형 중에서 최근 논의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상의 양방향 소매업을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특성 요인과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 만족, 고객신뢰, 고객관계몰입에 대해 살펴보았고, 실제 종합 인터넷 쇼핑몰에서 엔터테인먼트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특성의 각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품제시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 즉, 시스템 성능, 보장, 고객배려는 인터넷 쇼핑몰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실증분석 결과 알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 고객특성 중 다양성 추구성향이나 소비자혁신성은 쇼핑몰 고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기실현성과 정보지향성은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만 족을 향상시키는 유의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 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객배려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유의적이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쇼핑몰의 사이트특성은 만족을 매개로 하여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대한 가설과 일치하게 만족과 신뢰는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이미 포화상태에 들어간 인터넷 쇼핑몰에서 진정으로 새로운 고객을 창출 하고 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은 관계마케팅의 개념을 실제 쇼핑몰에서 적 용 시켜야 할 것이며 고객만족, 고객신뢰 및 고객관계몰입은 이러한 마케팅 노력의 핵심 개념임을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Mobile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on the Shopping Satisfaction and Shopping Mall Loyalty: Focusing on Purchasers of Fashion Clothing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 속성과 업체 특성이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의류 구매 경험자를 중심으로)

  • An, S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8
    • /
    • pp.435-446
    • /
    • 202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factors composing the attributes of mobile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and the characteristics of shopping mall business, and also to verify the effects of those attributes on the shopping satisfaction and shopping mall loyalty. The respon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re th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s in purchasing fashion clothing in mobile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within the last one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ly-customized service and convenience of shopping mal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commerce shopping satisfaction. Second, the personally-customized service and diversity of produc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hopping mall loyalty. Third, the reputation of shopping mall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busines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hopping satisfaction and shopping mall loyalty. This study above could provide th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vitalizing the fashion clothing market of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The Mutual Effect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Shopping Mall and Tenant (쇼핑몰과 테넌트간 기대-불일치 및 고객만족의 상호 영향)

  • Park, Jin-Yong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3 no.2
    • /
    • pp.79-95
    • /
    • 2008
  •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opping mall and tenant store. Althoug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hopping mall in Korea, there are few academic and professional interests. Therefore, adopting expectancy-disconfirmation paradigm,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s of expectation, performance,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shopping mall and tenant store in each context. The research model also considered the mutual effect of these constructs between shopping mall and tenant store as positing the path between them. Hence, main hypothese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ways from the constructs of shopping mall to tenant store's and vice versa. Then, three hypotheses exploring the direction of customer's evaluation shopping mall and tenant were also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From the result of 461 mall-intercept survey, almost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expected. In the explorative approach to find direction, the path from disconfirm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enant to disconfirm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shopping mall were supported. In addition, the path from satisfaction with shopping mall to re-visit intention of tenant store was also accepted.

  • PDF

인터넷 쇼핑몰의 물류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만족과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윤종훈;김광석;김용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215-224
    • /
    • 2005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 기업들의 새로운 경쟁요인으로 부각하고 있는 물류서비스 부분의 품질 평가기준이나 평가척도 등에 관한 기존 연구를 현 시점에 맞게 재해석하고 또 새로운 평가 요소를 발굴하여 이를 인터넷 쇼핑몰에 적용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만족도, 재이용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의 향상을 꾀하였다. 특히 물류서비스 요인들의 고객만족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구매 후 행동인 재이용의도와 타인추천의도에 대한 간접적인 분석을 통해 그 영향 정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쇼핑몰 운영자에게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쇼핑몰과 테넌트간 기대, 성과, 불일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의 관계

  • 박봉두;박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17-133
    • /
    • 2002
  • 본 연구는 쇼핑몰과 쇼핑몰 내에 입점한 테넌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쇼핑몰과 쇼핑센터가 소매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해서 기존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대 불일치 패러다임의 주요 변수인 기대, 성과, 불일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를 쇼핑몰과 테넌트 간의 문제로 확대하여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하였다. 결과는 대체로 기대한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테넌트에 대한 만족이 쇼핑몰의 재방문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터넷쇼핑몰의 점포디자인 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Yu, Seong-Ji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5
    • /
    • pp.57-78
    • /
    • 2000
  • 인터넷 상거래는 매체의 특성상 전통적 상거래와 비교하여 '언제 어디서나 주문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인터넷 쇼핑몰들은 네티즌(Netizen)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이 생활의 일부가 된 지금 인터넷은 단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전세계로 열려있다는 가능성만을 제시할 뿐, 인터넷 쇼핑몰을 어떻게 운영하는가에 따라 그 성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쇼핑몰의 만족 결정요인 가운데 하나인 점포디자인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인터넷쇼핑몰 디자인 면에서의 시사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쇼핑몰 디자인을 보다 만족스럽게 만들기 위해서는 인터넷쇼핑몰 디자인을 다른 인터넷쇼핑몰과 차별화 시키고, 탐색이 보다 쉽도록 디자인하며 단순성을 높여 점포탐색이 쉽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상공동체 형성의 장'을 가진 점포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고객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ternet and offline shopping mall research on customer trust strategies (인터넷쇼핑몰과 오프라인쇼핑몰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won, Soo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377-379
    • /
    • 2011
  • 기존의 오프라인보다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유지가(retention)가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기존의 백화점에서 쇼핑하는 쇼핑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과 인터넷 쇼핑을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을 비교하면서 지각된 가치(perceived value)가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 신뢰(trust)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쇼핑몰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쇼핑몰의 경우에는 고객이 만족하면 신뢰감이 생긴다. 오프라인쇼핑몰에서는 고객만족하면 신뢰의 중요성이 낮게 나타난다. 인터넷 기업과 오프라인쇼핑몰 기업 측면에서 고객만족과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가이드를 제공한다.

  • PDF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mall satisfaction with Parent company confidence -mediating effect of on-line shopping mall trust- (모기업 신뢰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온라인 쇼핑몰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Yim, Ki-Heung;Kwon, Ji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171-176
    • /
    • 2014
  • Due to the recent increase of online shopping mall, there were many changes in consumer lifestyle. and the luxury and foreign cosmetics are well sold in nowadays department store online shopping mall sites. Although not all products are sold through online shopping, consumers tend to purchase more inexpensive brand products through online shopping mall. Thus, department stores tend to sell the brand goods through their online sites In this thesis, First, the trust of shopping mall caused a positive effect to the trust of parent company. Second, the trust of shopping mall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Without satisfying parameters, The trust of parent company did not itself affect satisfaction of shopping mall.

동적 고객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형 사이버 쇼핑몰 구축에 관한 연구

  • 손창환;김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41-51
    • /
    • 2000
  • 전자상거래 기업의 장점이 고객 데이터를 이용한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구현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사이버쇼핑몰들은 고객의 개별 특성이나 구매성향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제공되는 쇼핑몰을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에서 고객의 욕구를 좀 더 빠르게, 좀 더 정확하게 만족시킴으로써 고객이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일대일 마케팅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맞춤형 쇼핑몰의 개념을 제시하고, NT, SQL 환경에서 ASP를 이용하여 개인화 된 맞춤형 쇼핑몰을 구축하였다. 우선 개인화 된 쇼핑몰의 구축에는 우선 개인의 프로파일, 쇼핑몰에서의 항해 기록, 실제 구매기록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지만 고객의 프로파일은 항시 일정한 것이 아니라 변화하기 때문에 프로파일과 같은 정적인 정보는 다소 적절치 못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의 욕구가 빨리 변화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고객의 정적인 정보인 프로파일을 고려하기 보다 고객의 동적인 정보를 파악, 이에 따른 개인화 된 쇼핑몰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T 환경 하에서 고객의 동적인 정보들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개인형 사이버 쇼핑몰을 시험적으로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low,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에서 플로우, 신뢰, 만족, 충성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Jeong Gwang-Jin;Jang Kyung-H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2
    • /
    • pp.247-266
    • /
    • 2003
  • 최근 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의 충성도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쇼핑몰 사용자의 경험적인 측면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많은 연구에서 이를 플로우란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최적 경험으로서의 플로우와 그 동안 인터넷 쇼핑몰 관련 연구에서 고객 충성도와의 긍정적 관계에 대해 논의가 있어온, 신뢰와 만족과의 관계를 공분산 구조 분석을 통해 경쟁 모델화 하여 비교함으로써 우수 모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플로우와 신뢰, 만족, 충성도간의 관계를 모두 고려한 포화모델이 우수한 모델로 도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