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쇼핑만족도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8초

웹디자인 개발전략 수립을 위한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고은주;목보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4권
    • /
    • pp.111-131
    • /
    • 1999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시이트의 웹디지인 구성형식에 띠른 소비자의 쇼핑 프로세스의 차이점을 밝히고,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와 그 차원을 규명하고, 인터넷 편의성, 만족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조사법과 관찰법을 이용히여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로, 남여 대학생 101명을 편의추출히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paired t-test,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인터넷사용과 인터넷 쇼핑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으며, 인터넷 정보의 질은 소비자들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정보 제공 시 사진과 설명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상품 홈페이지 구성의 중요도 중 속도와 정보의 질을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쇼핑 프로세스의 관찰 결과 처음 쇼핑을 시도할 경우 인석하기 쉬운 기능키나 단어로 된 메뉴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쇼핑 과정은 대부분 10번의 클릭으로 이루어졌고, 쇼핑과정 동안 쇼핑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마음에 들지 않거나 선호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 쇼핑을 중단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매장구성은 텍스트보다는 그림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인터넷 쇼핑에 대한 소비자 만족요소 중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되는 것'과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상품의 구색이나 가격, 유통업자 및 상품의 신뢰도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만족/불만족 요인으로는 주문처리의 정확성/다양성, 인터넷 쇼핑의 편의성, 상품의 다양성/신뢰성, 주문 방법의 편의/경제성, 쇼핑 방법의 용이성의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편의성은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넷 쇼핑의 만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품의 다양성/신뢰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은 전형적인 의복구매행동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더 많은 정보와 서비스롤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보지 못하고 구매해야 한다는 데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많이 나타내고 쇼핑 시 즐거움에 대한 중요도도 높게 나타났다.

  • PDF

모바일 쇼핑동기, 쇼핑가치와 소비자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Motivation of Mobile Shopping in Relation to Value of Shopp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김경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287-1293
    • /
    • 2018
  •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동기에 따라 소비자의 쇼핑가치와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쇼핑동기는 편재성, 편리성, 충동성, 경제성 등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모바일 쇼핑동기는 소비자의 쇼핑가치에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충동성이 쾌락적 쇼핑가치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며, 편리성은 실용적 쇼핑가치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쇼핑동기와 쇼핑가치는 소비자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쇼핑동기 중 편재성이 소비자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쇼핑가치는 소비자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시장에서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쇼핑성향과 정보탐색이 쇼핑몰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의류를 중심으로 (Effects of Mobile Shopping Tendencies and Information Search on the Shopping Mal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Fashion Clothing)

  • 안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469-47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쇼핑이 일상화된 현시점에서 패션의류 소비자들의 쇼핑성향과 정보탐색이 쇼핑몰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를 확인하고자 최근 1년 이내 모바일 쇼핑몰에서 패션의류 구매 경험이 있는 남녀 대학생들을 표본으로 이루어졌다. 가설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쇼핑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의 쇼핑성향은 경제적 쇼핑성향, 오락적 쇼핑성향, 편의적 쇼핑성향, 유행추구 쇼핑성향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소비자들의 모바일 쇼핑성향 중 편의적 쇼핑성향, 오락적 쇼핑성향, 경제적 쇼핑성향은 모바일 쇼핑몰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모바일 쇼핑몰에서 패션의류를 구매하기 위한 정보탐색은 쇼핑몰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의류 기업의 마케팅전략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 속성과 업체 특성이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의류 구매 경험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Mobile Social-Commerce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on the Shopping Satisfaction and Shopping Mall Loyalty: Focusing on Purchasers of Fashion Clothing)

  • 안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435-4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속성과 쇼핑몰 업체 특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속성들이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함이다.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는 최근 1년 이내 모바일 소셜커머스 쇼핑몰에서 패션의류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이다.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은 자료 타당성 검증과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커머스 쇼핑 만족도에는 개인 맞춤 서비스와 쇼핑몰의 편리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쇼핑몰 충성도에는 개인 맞춤 서비스와 제품의 다양성이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소셜커머스 쇼핑몰 업체의 특성 중 쇼핑몰의 명성이 쇼핑 만족도와 쇼핑몰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는 소셜커머스 쇼핑몰의 패션의류 시장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터넷쇼핑몰 소비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of Internet Shopping-mall between Customer's Lifestyle)

  • 이정세;김진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9-1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인터넷쇼핑몰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했다. 인터넷쇼핑 이용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의 특성을 파악하여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집단 간에 인터넷쇼핑몰에 대한 만족도와 이들이 주로 거래하는 제품의 특성별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함께 검증하였다. 아울러 라이프스타일과 이용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장래 거래를 지속하고자 하는 거래의 지속여부에 있어서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는 인터넷쇼핑의 만족도와 거래의 지속성에 차이를 보였지만 제품의 특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쇼핑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시장세분화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마케팅 과정에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미국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가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Fashion Innovativeness, and Shopping in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69-107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으로 측정하였고, 의복에 관련된 변인인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점포내 쇼핑관심과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로 의복태도와 유행혁신성은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특정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또 신체 특정부위(얼굴)에 만족하면 할수록 의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으며 유행혁신성의 정도가 높았다. 쇼핑의 경우 점포내 쇼핑관심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의 중요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부적인상관계를 보였다. 즉 신체에 만족할수록, 또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할수록 점포내 쇼핑에 대한 관심은 커지는 반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카탈로그 쇼핑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온라인 의류쇼핑에서 서비스 실패 경험 후 쇼핑채널의 회복노력에 따른 채널만족도 (Service Failure, Service Recovery Activity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Shopping Channel of Apparel Products)

  • 강은정;이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5-1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의류제품 온라인쇼핑 후 실패를 경험한 소비자가 쇼핑채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회복노력을 경험한 후 느끼게 되는 만족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의류 소비자가 평소에 온라인 쇼핑에 대하여 지각하는 혜택과 위험이 서비스회복노력 경험 후 채널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시내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쇼핑을 통해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에 예상되는 서비스 주요 실패 유형과 온라인 쇼핑채널 운영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회복유형별 만족도 그리고 채널경향에 대한 전반적인 관계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의류제품의 온라인 쇼핑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서비스 실패 유형은 맞음새, 잘못된 제품정보, 제품결함, 재고부족, 느린 배송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서비스 실패 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만족하는 회복 유형에 다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소비자는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채널전환의 욕구를 가지며 이와 같은 채널전환 경향은 서비스 회복노력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 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된 위험에 따른 고저 집단의 만족도 차이는 미비하게 나타났다.

다중 LS-SVM을 이용한 중국유학생들의 쇼핑몰 고객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shopping mall using multi LS-SVM :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피수영;박혜정;권영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81-89
    • /
    • 2013
  • 현재 인터넷 쇼핑은 중국인들의 일반적인 소비채널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의 고객만족도에 맞는 인터넷 쇼핑몰은 많지 않다. 한국의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이 쇼핑몰에 대한 품질평가와 고객만족도를 분석하여 중국 유학생들의 성향에 맞는 쇼핑몰을 구축한다면 국제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유학생들과 한국 대학생들의 인터넷 쇼핑몰 고객만족도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전역적 최적의 해를 구하는 다중 LS-SVM을 이용하여 중국 유학생들의 고객만족도 모형을 분석한다. 중국 유학생들의 고객만족도 분석은 한국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에게 유익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의류 구입 만족도 향상을 위한 모델 참여형 모바일 쇼핑 플랫폼 개발 (Mobile Shopping Platform Development based on Model Attracting for Improvement of Clothes Purchase Satisfaction)

  • 박성진;김시형;김성수;김남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403-404
    • /
    • 2018
  • 최근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손안의 쇼핑을 완벽히 구현하고 있다. 특히, SNS 및 패션커머스의 발전으로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의류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모델 착용샷, 설명, 사진 및 댓글 등을 통해 판단하고 구입하기 때문에, 의류 특성상 직접 입어보고 판단해야 하는 실 소비자는 만족도가 떨어지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반품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2가지 요소를 감안한 모바일 쇼핑몰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소비자 체형과 유사한 모델 착용샷을 제공함으로써 구매 당시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높인다. 둘째, 의류를 구매한 소비자가 자신이 착용한 사진을 쇼핑몰에 올림으로써 모델로써 활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커머스 SNS가 구축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착용샷을 올리는 회원들을 위한 수수료 구조를 효율화하고 판매사, 소비자, 모델들이 활동하는 플랫폼을 구성한다.

  • PDF

인터넷쇼핑몰 유형별 상호작용성이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Internet Shopping Mall Pattern Interactivity on Satisfaction Degre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문재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39-2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성도 인터넷쇼핑몰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오픈마켓과 전문몰로 구분하여 상호작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인터넷쇼핑몰에서 최근 6개월 이내 구매경험이 있는 사람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은 두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쇼핑몰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픈마켓에서는 '기업 소비자간', '소비자 소비자간'의 상호작용성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기업 소비자간'의 상호작용성이 만족도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전문몰에서는 '기업 소비자간' 상호작용성만이 소비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쇼핑몰에 대한 만족도는 향후 추천의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이 인터넷쇼핑몰 시장에서 상호작용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쇼핑몰의 유형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이 적용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