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씻기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과 네팔 중학생들의 손씻기 인식과 실천 비교 (Comparison on handwash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Korea and Nepal)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3-7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손씻기 실천률이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는 보고에 따라, 한국과 네팔 중학생들의 손씻기 인식과 실천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된 조사연구로, 연구도구로는 한국 질병관리센터의 손씻기조사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SPSS 23.0으로 분석 결과, 양국 대상자 간 주거형태, 질병경험 및 부모교육수준에 차이가 있었고(p<.001), 손씻기인식은 한국대상자가 손씻기실천은 네팔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손씻기실천 관련내용 중 손씻기 후 말리는 방법, 비누로 손씻기 횟수, 손씻기 소요시간, 손씻기 교육경험횟수, 교육방법에 양국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네팔의 손씻기인식은 한국보다 낮았으나 손씻기교육과 설비보완으로 손씻기실천률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의 손씻기실천률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양국의 소수의 중학생을 편의추출해서 시행된 연구이므로,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반복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손씻기 교육과 홍보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손씻기 태도와 수행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Handwashing Attitudes and Performance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Handwashing Education and Promotion Experience)

  • 김영서;강예지;권예지;김채린;남하늘;곽은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29-536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손씻기 교육과 홍보 경험에 따른 손씻기 수행도와 태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205명이며, 자가보고 형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손씻기 교육에 따른 손씻기 수행과 태도는 모두 교육을 받은 대상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생의 손씻기 홍보에 따른 손씻기 수행과 태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손씻기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손씻기 수행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손씻기 교육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손씻기 수행도와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일개 중학교 학생들의 손씻기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hand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카팔리 머리엄;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51-60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손씻기 인식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J 중학교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질병관리본부(2005)의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SPSS Win 23.0 분석결과, 최근 6개월간 질병경험으로 감기가 42.9%으로 가장 많았고, 손씻기 인식의 평균은 4점 만점에 3.47점, 가정과 학교에서의 손씻기 실천 평균은 각각 3.36, 3.35점이었다. 일일 손씻기 횟수는 4~6회가 39.1%, 손씻기 평균시간은 11~15초 및 47.0%가 '습관이 되지 않아' 손을 씻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손씻기 인식의 실천에 대한 설명력은 23.2%로, 손씻기 인식이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결과는 감염병예방을 위해 손씻기 인식에 대한 교육으로 손씻기 실천강화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성인의 손씻기 실태 및 손씻기 포스터의 효과 (The Effect of Hand Washing Procedure Poster on the Hand Washing Behaviors)

  • 정승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269-274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메르스 사태 후 성인의 손씻기 실태 및 손씻기 포스터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성인 370명( 포스터 미부착 185명, 포스터 부착 185명)을 대상으로 직접 관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남성의 46%, 여성의 21.5%가 손씻기를 하지 않았으며, 포스터를 부착한 집단에서 손을 씻은 대상자는 83.2%로 포스터를 부착하지 않은 집단에서 손을 씻은 대상자 47%에 비해 많았다. 남성은 평균 7.6초 동안, 여성은 13.5초 동안 손을 씻어 여성이 더 오랫동안 손을 씻었으며, 포스터 부착군과 미부착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손씻기의 6가지 절차를 다 실천한 대상자는 3.3%에 불과하였다. 손씻기 6가지 절차 중 4가지 이상을 수행한 대상자는 포스터 부착군 17%, 미부착군 10.3%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손씻기 포스터는 손씻기 행위 자체에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올바른 방법으로 손씻기를 하는데, 즉 손씻는 시간 증진과 손씻기 절차 이행율 향상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공공장소 화장실에 손씻기 안내방송과 시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포스터의 보급이 필요하다.

보건계 대학생의 손씻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도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of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 유성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16-3924
    • /
    • 2013
  • 본 연구는 보건계 대학생의 손씻기 관련 특성과 손씻기 지식과 태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손씻기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은 G광역시 일개대학의 보건계 대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고 SPSS/WIN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1일 평균 손씻기 횟수는 8.7회, 시간(초)는 평균 18.5초였다. 손씻기 교육 수는 평균 2.4회였다. 손씻기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제는 일반 세수비누, 손 건조도구는 종이타올이었다. 손씻기 관련 특성에서 손씻기 횟수와 시간은 손씻기 교육수가 6회 이상, 실습을 통한 교육 실시, 소독비누로 손씻기, 종이타올로 손 닦기 등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손씻기 지식, 태도, 수행도 점수는 여자(성별), 상급종합병원, 1일 11회 이상의 손씻기 횟수, 1회 손씻는 시간 16초 이상, 6회 이상의 교육 수, 실습을 통한 교육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손씻기 지식, 태도, 수행도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했다. 이 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손씻기를 위해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수행도를 높이기 위한 손씻기 교육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인의 비누로 손씻기 실천율 및 융복합적 관련요인; 2013년 국민 손씻기 관찰조사 (The Status of Handwashing with Soap and its Convergent related Factors in Korean People ; based on Korea National Handwashing Observation Survey, 2013)

  • 황혜정;이무식;양남영;홍수진;김영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17-224
    • /
    • 2015
  • OBJECTIVES 우리나라 국민들의 손씻기 실천률은 선진국에 비해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 연구는 비누로 손씻기와 관련한 공중 화장실 이용시 행동 실태 및 관련요인을 분석고자 하였다. METHODS 2013년 9월 10일부터 9월 12일까지 우리나라 특 광역시 지하철역 및 기차역의 화장실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3년도 국민 손씻기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RESULTS 비누로 손씻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행정구역(OR 0.490-2.255), 용무유형(소변 1.000, 대변 2.505), 물기제거방법(OR 0.497-3.107) 등이 도출되었다. CONCLUSIONS 연구의 결과는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국가 손씻기 증진 활동 및 사업의 기본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손씻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도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by Pre-practicum Nursing Students)

  • 유성미;임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14-5722
    • /
    • 2013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관련 특성과 손씻기 지식과 태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손씻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3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2011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1일 평균 손씻기 수는 7.2회, 시간은 평균 19.1초였다. 대상자의 손씻기 지식, 태도, 수행도 점수는 각각 11.34점(1~15), 3.42점(1~5), 3.6점(1~5)이었다. 손씻기에 적당한 소요시간, 손을 씻은 후의 주의사항 등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의 대상자가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씻기 전 시계를 제거하는 것, 코를 만지거나 기침한 후, 돈을 만진 후에 손을 씻는 것 등은 수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손씻기 수행도 증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복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올바른 습관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손씻기 인지도와 태도 및 수행도 (Perception, Attitude,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by Dental Hygienist)

  • 한옥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75-382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손씻기에 대한 인지도, 태도, 수행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올바른 손씻기에 대한 인지도, 태도,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 방안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G지역 치과 의원 및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6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손씻기의 인지도에서는 연령, 근무기관, 경력, 손씻기 횟수와 손씻기 교육에 따라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손씻기 태도와 수행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p<0.05), 경력이 오래 될수록(p<0.05), 근무기관은 대학병원, 치과병원, 치과의원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인지도,태도,수행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 연구 결과는 치과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손씻기 인지도,태도 및 수행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손씻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보이고 있다.

COVID-19 이후의 손씻기 행태와 관련된 요인 융복합 연구 (Integrated Study on Factors related to Hand Washing Practice after COVID-19)

  • 김영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5-91
    • /
    • 2022
  • 손씻기는 COVID-19 방역 지침에서도 강조하듯이 거리두기 및 마스크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감염수칙이다.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손씻기 실천율 향상을 위한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전국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관련성을 탐색하였으며, 유의한 변수를 이용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손씻기 실천율은 여성, 고학력, 저연령, 도시, 사무직,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할수록, 주기적 환기를 할수록, 주기적 소독을 할수록, 건강거리를 유지할수록 손씻기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했다. 본 연구 결과는 손씻기 실천율의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COVID-19 방역 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미취학 어린이의 손씻기 교육에 따른 미생물학적 실태 분석 (Microbiological Effect of Hand Safety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a Day Care Center)

  • 김지은;문지혜;신현아;이지선;권성희;이정숙;엄애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1-150
    • /
    • 2011
  • 본 연구는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손씻기 교육 방법에 따른 미생물학적 변화를 모니터링한 연구이다. 연구는 3세에서 5세까지의 서울시 어린이집 어린이 1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미생물 분석은 손씻기 교육 전, 1주간 동영상 교육실시 후, 1주간 동영상 교육 및 손씻기 실습 교육병행 후로 분류하였다. 손씻기 교육 전 어린이들의 손에서는 일반세균, 진균, 대장균군 및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2주간 손씻기 동영상 교육과 실습교육을 연속적으로 실시한 결과 손씻기 교육에 따른 손 위생상태는 개선되었다. 결과 손씻기 교육은 취학 전 어린이를 대상으로 손씻기 교육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미취학 아동의 경우 평생 습관을 확립시키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언제, 어디서 손을 씻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