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속옷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현대 여자 속옷에 관한 연구

  • 이연수;김선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1-151
    • /
    • 2003
  • 인간은 복식을 통해 외형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인간내면의 욕구를 표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복식의 한 아이템으로서의 속옷은 인간의 피부위에 직접 착용됨으로써 인간을 이해하는데 가장 원초적인 매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겉옷의 가시적인 특징 때문에 그동안 주로 겉옷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겉옷과 속옷이 언제 구분되어졌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여성의 속옷이 팬티와 브래지어로 대변된지도 실상은 얼마되지 않았고, 70년대 빨간 속옷의 시대를 거쳐 80년대에는 예쁜 레이스가 달린 란제리를 선호하는 여성이 급증하였고 90년대 들어 패션시장은 겉옷과 속옷의 구분이 희미해져갈 정도로 속옷 시장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에 따라 품질과 디자인, 소재, 기능도 아웃웨어만큼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위생적이고 깨끗하면 된다는 예전의 속옷의 개념이 좀 더 아름답고, 고급스럽고, 기능적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바뀌어져 가고 있다.

  • PDF

An emotional study on the pattern of men's trunk pants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연구)

  • Gwon, Yeong-A;Gong, Ji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1-234
    • /
    • 2009
  • 남성 속옷은 신체 보호의 기능이 중요하지만 운동이나 거실 생활에서 속옷노출이 일반화됨에 따라 개성과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으로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남성 속옷 시장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감성과 이미지를 파악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감성요구에 부합하는 소재 특성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져 소비자가 원하는 속옷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용 속옷 문양디자인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판하는 트렁크 팬티 중 문양의 형태 및 크기, 색상을 달리한 50 종을 수집하였고, 이중 25 종의 트렁크 팬티용 문양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감성평가를 2009년 4 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0 대 남녀 22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관적 감성평가를 위해 직물 문양 선호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빈번하게 출현되는 26 개의 감성 형용어를 추출하였다. 감성 형용어를 7 점 척도로 문항화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설문지와 함께 25 종의 팬티 자극물을 보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요인분석 분간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성용 트렁크 팬티의 문양에 관한 감성 형용에는 '고급성', '활동성', '단순성', '호화성', '성숙성'의 요인으로 요약되었으며, 문양의 고급 감성 및 활동적 스타일이 트렁크 팬티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렁크 팬티의 색상 및 문양 유형이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남성 트렁크 팬티에 사용될 수 있는 무채색 계열의 고급스러우면서 단순한 도형 문양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Purchasing Japanese Brand Products According to the Patriotism of Consumers in Their 20s (20대 소비자의 애국심에 따른 일본브랜드 구매 특성)

  • Kim, Jisu;Seo, Wooyoung;Na, Youngj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4 no.1
    • /
    • pp.11-24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uying behavior pertaining to Japanese bran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triotism of consumers in their 20s. A survey of 235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ed the basic purchasing attitudes of consumers in their 20s regarding outerwear and underwear and then surveyed the purchasing attitudes regarding U brand's (representative Japanese brand) outerwear and underwear. To detect the correlation between patriotism and U brand purchases, this study asked questions about patriotism and investigated basic personal informa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s purchasing attitude toward outerwear and underwear. When of consumers who are in their 20s purchase outerwear, its desig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reas when purchasing underwear, functionality was the most crucial facto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attitudes toward U brand's outerwear and underwear differed. Although the evaluation of U brand's outerwear design was not positive, the consumer tended to be satisfied with the price. U brand's score concerning the functionality of underwear products received a slightly positive response. Third, a total of 235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a high- and low-patriotism-group based on questions about patriotis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ttitudes toward clothing and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t U brand. Highly patriotic consumers thought negatively about U brand outerwear products in terms of price and product quality than low patriotic consum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ly regarding design evaluation. For underwear products, low patriotic consumer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price, design, and functionality of U brand products than high patriotic consumers.

Underwear Purchase Behaviors and Attitude by Degree of Interest in the Appearance of Males in Their 20s-30s (20, 30대 남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속옷 태도 및 속옷 구매)

  • Kim, J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4 no.10
    • /
    • pp.1647-1657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underwear purchase behaviors and the attitude of male consumers based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Data research was conducted on 296 males in their 20s and 30s located in Seoul & Gyeonggi province. The SPSS 17.0 softwar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data analys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hi^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was identified with four factors; outfit management, confidence of figure, interest in clothing, weight control, and disinterest in appearance. Customers were segmented into two subdivisions: high and low interest in appearance. The factors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of underwear purchase motive included aesthetic, impulsiveness, and practicality. The purchase behavior of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appearance was highly motivated by aesthetics and impulsiveness. The factors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of underwear attitude included fashionability, comfortableness, and quality. Customers were segmented into the following three subdivisions: pursuit of comfortableness, pursuit of diversity, and normal. The type of high interest in appearance regarded fashionability and quality highly. Finally, the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showed significant relevance in purchase motive and underwear attitude for underwear.

현대패션에 응용된 후프(Hoop)에 관한 연구

  • 정경희;배수정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7-7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후프(hoop)의 기원 및 변천과정을 고찰해보고 시대별로 후프의 유형을 분류한 후,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더욱 다양해진 후프가 현대패션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후프의 역사적ㆍ미적 가치를 재인식하여 오늘날 복식디자인에 창조의 영감을 줄 수 있는 하나의 모티브를 제시하는데 있다. 후프가 발생하였던 르네상스시대에는 신 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사고가 변화하면서, 복식에 있어서도 인간의 신체미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인체의 실루엣을 과장ㆍ확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속옷의 중요성과 역할에 따른 심미적인 기능이 복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였고, 뿐만 아니라 기교적인 면에서 속옷에 요구되는 장식성은 어느 시대보다 절실하였다. 그 결과 겉옷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속옷도 인체를 크게 보일 수 있는 후프가 고안되었다. 후프는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철사나 고래뼈 등을 세공하여 만든 테를 넣은 속치마를 말한다. 16세기 중엽 스페인에서 유행한 종형의 파딩게일(farthingale)을 시초로,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드럼형의 휠 파딩게일(wheel farthingale)과 오쓰뀌(hausse col)가 유행하였다. 17세기 초기에는 후프를 착용한 16세기 복식이 유행하였으나, 1625년 이후 슬림한 스타일의 17세기 복식이 유행하자 후프의 착용은 점차 쇠퇴하였다. 18세기에는 파니에(panier)가 유행하여 옆을 부풀린 스커트의 실루엣을 형성하였고, 19세기에는 크리놀린(crinoline), 벗슬(bustle)이 유행하였다.

  • PDF

The Effect of Men's Underwear Benefits Sought on Underwear Purchasing Behavior (남성의 속옷 추구혜택에 따른 구매행동)

  • Lee, Eun-Kyung;Hwang, Jin-Sook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2 no.4
    • /
    • pp.15-28
    • /
    • 201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the direction of product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of men's underwear.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classify the groups according to the benefit of pursuing men's underwear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purchase behavior among the segmented groups.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urchase behavior of men's underwear, to segment the consumers into groups according to underwear benefits sough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urchase behavior among the group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s among the group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men aged the 20s to the 40s living in Seoul. A total of 29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It was found that 84.8%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re was no favorite underwear brand. They showed the favorite color of translucent color, the favorite style of trunk and brief, the favorite post-processing of silver nano, deo processing, and the favorite material of charcoal. In purchasing men's underwear, the respondents showed a preference for simple image, and the discount store as the place of purchas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four groups of underwear benefits sought: sex appeal/individuality, comfort, practicality, and fashion/brand groups. In regard to the group differ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wear purchase motives, underwear preferences,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demograph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