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화율

검색결과 1,108건 처리시간 0.026초

혐기성 연속 회분식 반응조에 의한 분뇨처리 (Night Soil Treatment by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 허준무;박종안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2호
    • /
    • pp.75-84
    • /
    • 2000
  • 운전 온도 $35^{\circ}C$, 평균 유기물부하 $3.1{\;}kgCOD/m^3/day$ 및 수리학적체류시간 10일에서 혐기성 연속회분식공정에 의한 분뇨처리를 수행하였다. 공정의 평가는 대조 소화조로 완전혼합형의 소화조와 병행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 분뇨는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와 침전성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희석 없이 소화가 가능하였다. 혐기성 연속회분식공정에서 고형물은 급속하게 증가하여 완전혼합형의 대조 소화조에 비하여 소화조내 고형물(biomass)의 농도가 2.4배로 증가하였고, 가스발생량에 있어서도 대조 소화조에 비해 현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그 증가율은 205~220%에 달했다. 부가적인 침전 시설이 없이도 혐기성 연속회분식공정의 유출수질이 대조 소화조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상징액 기준으로 휘발성고형물 제거율은 혐기성 연속회분식공정이 대조 소화조 보다 12~14% 높았다. 한편, 혐기성 연속회분식공정의 운전인자로 반응/침강비(R/T ratio)를 조사한 결과 R/T비가 1인 경우가 3의 경우보다 가스발생량, 메탄함량 및 유기물 제거율이 약간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위의 실험결과들로부터 혐기성 연속회분식공정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와 침전성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분뇨의 처리에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공정으로 판단된다.

  • PDF

발아찰현미떡의 품질 및 소화특성 (Quality and Digestibi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with Germinated Brown Waxy Rice)

  • 김민지;이수진;최영희;손동화;정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10-1315
    • /
    • 2016
  • 백미와 현미, 발아현미 찹쌀떡에 대한 소화율과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제품의 발아조건을 찾고자 백미와 현미, 발아현미찹쌀떡을 제조하여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in vitro 소화율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떡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는 현미보다 발아현미가 낮았으며 발아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반면 적색도(a)와 황색도(b)는 발아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색이 진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미와 발아현미의 조직감 특성에서 경도, 부착성, 검성, 씹힘성은 현미가 가장 높았고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로써 노화 지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탄성은 시료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응집성은 현미와 발아현미가 백미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현미, 발아현미 찹쌀떡의 in vitro 소화율 결과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빠르게 소화되는 전분인 RDS 함량은 증가하고 소화되지 않는 전분인 RS 함량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소화율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는 현미가 색, 부착성,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색, 향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부착성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찹쌀떡보다는 높고 찰현미떡과 비슷한 관능적 평가를 받은 10시간 발아한 현미로 만든 발아찰현미떡이 소화조절용 쌀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에 가장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옥수수 DDGS의 색상과 Phytase의 첨가가 육계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Colors and Phytase Levels on the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of Broilers)

  • 황보종;홍의철;박희두;나승환;김학규;유동조;박미나;정기철;추효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51-356
    • /
    • 2009
  • 본 연구는 옥수수 DDGS의 색상과 phytase 첨가가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 재료는 세가지 색상의 DDGS(DDGS1, DDGS2, DDGS3)를 이용하였으며, 시험계는 유사한 체중의 5주령 Ross종(Ross 308) 육계 수컷 108수(평균 체중 $1.8{\pm}0.2\;kg$)를 공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세 가지 색상의 DDGS와 phytase 첨가 3처리구(0, 500, 1,000 FTU/kg)의 $3{\times}3$ 복합 요인으로 총 9처리구, 처리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 하여 7일 동안 소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DDGS의 색상은 각각 DDGS1이 $L^*=55.2$, $a^*=8.8$, $b^*=41.3$, DDGS2가 $L^*=39.8$, $a^*=7.5$, $b^*=27.1$, DDGS3이 $L^*=28.3$, $a^*=6.1$, $b^*=15.4$로 나타났다. DDGS의 색상에 따른 아미노산 소화율은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모든 아미노산의 소화율이 낮게 나타났다. DDGS의 처리구에 phytase를 첨가하여 급여시에 소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각각 77.7, 80.0, 81.5, 76.0, 78.4, 80.1, 67.6, 69.6 및 71.0% 이었으며, 비필수 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은 각각 73.6, 75.8, 77.3, 73.1, 75.3, 76.8, 67.4, 69.4 및70.7% 이었다. 이번 실험의 결과에서, DDGS 색상이 어두울수록 그리고 phytase 수준이 낮을수록 아미노산 이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Cysteamine hydrochloride (CSH)의 첨가 급여가 육용계의 생산성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ysteamine Hydrochloride (CSH)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Characteristic in Broiler Chicks)

  • 서강민;천주란;김기현;남기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09-516
    • /
    • 2021
  • 본 연구는 Cysteamine hydrochloride (CSH)의 사료 내 첨가 급여가 육용계의 생산성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일령의 Ross broiler 수컷 180 수를 공시하여 3 개의 실험그룹에 각각 3 반복으로 반복 당 20 수씩 배치하였다. 실험설계는 Control (Basal diets), CSH-1 (Basal diets+250 mg CSH/kg feed), CSH-2 (Basal diets+500 mg CSH/kg feed)으로 디자인하였다. 육성 초기 동안의 일당 사료섭취량, 체중, 일당 증체량, 사료요구율, 육성률은 모든 실험그룹들 사이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와 전체 실험기간 동안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경우, CSH-1과 CSH-2 그룹은 Control 그룹과 비교하여 사료요구율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CSH의 사료 내 첨가는 육용계에 있어서 도체율과 정육률(가슴근육, 다리근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소화율은 CSH-2 그룹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p<0.1). 본 연구의 결과는 사료 내 250-500 mg/kg의 CSH 첨가 급여는 육용계의 사료요구율 및 유기물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속회분식반응조를 이용한 슬러지 소화에서 고형물과 질소의 제거 (Solids and Nitrogen Removal in the Sludge Digestion using a Sequencing Batch Reactor)

  • 김성홍;이윤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B호
    • /
    • pp.669-675
    • /
    • 2006
  • SBR반응조를 이용하여 간헐폭기의 슬러지소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폭기비율은 고형물과 질소 제거의 가장 중요한 운전인자 중의 하나였다. 슬러지의 소화에 따라 용출된 유기성질소는 질산성질소로 산화되었고, 생물학적 질소제거율도 높게 나타났는데, 질소제거율은 폭기비율에 따라 달라졌다. 폭기비율 0.25-0.75의 범위에서, 암모니아성 질소의 축적은 보이지 않았으며, pH는 중성에서 유지되었다. 폭기비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고형물 제거율은 증가하지만 용존 질소의 제거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SBR 반응조를 이용하고, 평균고형물체류시간 8-32일 정도의 설계조건과 폭기비율 0.25-0.75의 운전 조건에서 VSS 제거율은 17-42% 정도, 용존질소 제거율은 80% 이상이 가능하였다.

식이 섬유소가 어류단백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In Vitro Digestibility of Fish Protein)

  • Ryu, Hong-Soo;Park, Nam-Eun;Lee, Ka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5-262
    • /
    • 1992
  • 단백소화율에 미치는 식이 섬유소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채소류(상치, 깻잎, 고추. 다시마)로부터 추출한 식이 섬유소와 시판용 정제 식이 섬유소 (cellulose, pectin, sodium alginate, gum karaya)를 어류 단백질인 말쥐치 단백질(냉동건조육 및 myofibrils)에 첨가 반응시켜, 단백질 의 소화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시료의 중성세제 추출섬유소 (neutral detergent fiber) 함량은 24.21%(고추) 9.75%(다시마)의 범위였고, 산성세제 추출섬유소 (acid detergent fiber) 함량은 20.85%(고추) 11.97%(깻잎)의 범위였으며, 수용성 섬유소 함량은 13.79%(다시마) 4.41%(상치)의 범위였다. 말쥐치 단백질에 대한 식이 섬유소의 반응 비율을 1 : 1 (wt/wt)로 하고, 37$^{\circ}C$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때. 말쥐치 단백소화율은 정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1.52%(cellulose) 9.97%(pectin)가 감소되었고. 추출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5.15%(고추) 12.36%(다시마)가 감소되었다. 섬유소의 trypsin 활성저해능은 단백소화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여, ANRC casein에 대한 soybean trypsin inhibitor 22mg/g (cellulose) 61.82mg/g(gum karaya), 49.75mg/g(고추) 171.52mg/g(상치)에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 식이 섬유소에 의한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변화는 sodium alginate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어, 어류 단백소화율의 저하는 식이 섬유소가 단백질에 직접 결합하여 비소화성 물질을 형성한 결과가 주도하리라 생각되었다. 말쥐치 단백질과 섬유소를 반응시킨 것을 효소 가수분해시킨 후에 측정한 유리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sodium alginate와 다시마 섬유소의 경우 현저하게 저하하였으며(75% 이상), isoleucine과 valine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

  • PDF

혐기 소화 시 식물체 잔사 및 투입량에 따른 메탄 생산량 예측 (Predicting Methane Production on Anaerobic Digestion to Crop Residues and Biomass Loading Rates)

  • 신중두;홍승길;박상원;김현욱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3호
    • /
    • pp.75-8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에서 발생하는 식물체 잔사 종류별 투입비율에 따른 메탄 잠재 발생량을 예측하는 것이다.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보릿짚 및 유채대 등의 식물체 잔사를 다양한 투입율로 사용하여 세륨병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 방법론의 운동방법을 통하여 메탄 생산은 Gomperz 수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온소화 시 식물체 잔사별 바이오가스 생산에 있어, 최대생산량은 보릿짚 및 유채대 투입율 1%로 혐기소화 후 각각 6.8일에 37.2 mL/g과 7.5일에 28.0 mL/g로 나타났다. 중온소화 시 메탄 함량은 보릿짚 및 유채대 투입율 5%로 혐기소화 후 각각 5.5일에 61.7%와 3.4일에 75.0%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중온 소화시 최대 메탄 잠재발생량은 1% 보릿짚 투입율에서 159.59 mL/g 와 3% 유채대 투입율에서 156.62 mL/g로 산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중온소화 시 바이오매스 투입율은 유채대 3% 및 보릿짚 1%를 투입하는 것이 적정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 출하를 앞둔 봄철 자돈(仔豚) 관리는 이렇게

  • 김인호
    • 월간피드저널
    • /
    • 제3권4호통권20호
    • /
    • pp.112-115
    • /
    • 2005
  • 지금 우리가 고민해 보아야 하는 것은 여름 출하를 앞둔 자돈에게 무엇을 어떻게 줄 것인가 이다. 우선은 자돈의 성장율을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소모성 질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습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또한 이유 스트레스에 따른 이유 후 성장정체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화율이 높은 원료가 사용된 사료 급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식용 왕달팽이의 영양성분과 단백질 품질 (Nutrient Composition and Protein Quality of Giant Snail Products)

  • Mi-kyung Lee;Jeung-hye Moon;Hong-Soo Ryu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3-458
    • /
    • 1994
  • 체색이 다른 세종류(백색육, 황색육, 회색육)의 식용 달팽이(Giant snail, Achatine fulica)의 일반성분과 무기질을 정량하여 이의 식품학적 가능성을 예측하였으며, 효소를 이용한 단백소화율(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단백효율비(C-PER,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및 typsin inibitor 함량을 측정하여 이의 단백질 품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전처리 및 가공조건을 달리한 달팽이 제품의 단백질 품질을 측정하여 바람직한 처리조건을 찾으려 했으며, 달팽이육 중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점액성 물질이 다른 단백질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도 아울러 실험하였다. 1. 식용왕달팽이의 가식부는 39% 정도로서 해산패류보다 10%정도 높았으며 가식부 100g당 11.5~13.7%의 단백질, 0.9~1.3%정도의 지질이 함유되어 있다. 무기질로서는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이 풍부하였고 특히 칼슘함량은 굴(oyster)에 비교하여 5~10배 높았다. 2. 아미노산의 함량과 그 조성은 백색육, 회색육, 황색육이 모두 비슷하였고, 주요 아미노산은 aspal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과 glycine으로 총아미노산의 52.5%를 차지하였고 특히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총아미노산의 45~46%를 차지하여 균형잡힌 단백질로 판별되었다. 3. 생달팽이육의 단백질 소화율은 76.6%(회색육)~81%(황색육과 백색육)였으며 단백효율비는 2.24(백색육)~2.36(황색육) 범위였으나, trypsin inhibitor함량은 체색에 따라 다양하였다(백색윤 22.7mg/g solid, 회색육 28.97mg/g solid 및 황색육 36.75mg/g solid). 4. 10% 식염수에 5분간 침지한 후 10분간 boiling한 달팽이육의 소화율은 생육에 비해 1.7%(백색육)~5.7%(회색육)로 증가하였고, trypsin inhibitor 함량은 12.62mg/g solid (백색육)과 16.40mg/g solid (회색육)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C-PER은 가공조건에 따라 변동이 없었다. 5. 생달팽이육에 다량 함유된 점액성물질은 여러가지 단백질의 소화율 2% (ANRC casein)~11%(filefish protein)로 감소시켰다.

  • PDF

육림부산물 발효사료 급여 꽃사슴에 있어서 채식기호성, 소화율 및 채식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alatability, Digestibility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 전병태;문상호;이상무;권영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7-186
    • /
    • 2002
  • 본 실험은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발효 사료 급여에 따른 체내 이용성과 행동양식을 시판 완전혼합사료와의 비교를 통해 육림부산물에 대한 사슴사료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채식량은 숫성록의 경우 CMR구와 FPS구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육성록의 경우 FPS구가 약간 낮았다. 2. 소화율은 CMR구의 경우 개체별로 평균 76.7%의 높은 건물 소화율을 나타냈으며 FPS구의 경우에도 CMR구에 비해서는 낮은 소화율을 나타냈으나 평균 65.5%의 건물소화율로서 비교적 높은 체내이용성을 보였다. 3. 질소출납 실험에서 섭취질소에 대한 축적질소의 비율은 FPS구가 48.3%, CMR구가 41.3%로 FPS구가 더 높은 효율을 나타냈다. 4. 채식시간은 하루 중 CMR구가 127분이었고 FPS구가 216분, 반추시간은 CMR구가 154분과 FPS구가 197분을 소비하여 FPS를 급여한 사슴들이 채식시간과 반추시간이 더 길었다. 5. 사슴의 24시간동안 채식 및 반추 휴식 등의 행동에서는 CMR구와 FPS구 모두 짧고 잦은 빈도의 전형적인 사슴의 행동양식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육림부산물 발효사료는 사슴에 있어서 높은 체내이용성을 나타내어 사슴용 사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