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프트웨어 프로덕트라인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7초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을 위한 목표, 시나리오, 휘처 기반의 도메인 분석 방안 (A Domain Analysis Method for Saftware Product Lines Based an Goals, Scenarios, and Features)

  • 김민성;박수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7호
    • /
    • pp.589-604
    • /
    • 2006
  •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가장 중요하며, 기본이 되는 것은 바로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산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덕트 라인의 공통성과 가변성 식별이라고 하겠다. 현재 이를 위해 휘처 중심의 도메인 분석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휘처를 식별하고, 식별된 휘처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프로덕트의 공통성과 가변성 분석 결과가 프로덕트 라인 개발 조직의 최상위 수준 목표(goals)를 만족시키고, 그 근거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하지만 현재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휘처 중심의 도메인 분석 방법에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안하기 위해 프로덕트 라인을 위한 목표, 시나리오, 휘처 기반의 도메인 분석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목표와 시나리오 그리고 휘처의 관계를 통하여 프로덕트 라인을 위한 도메인 요구사항 모델(DRM: domain requirements model)을 제시하고, 그러한 모델을 바탕으로 도메인 요구사항 모델링 방법(domain requirements modeling method)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는 제안된 방안을 지원하는 도구 (IDEAS)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주택 통합 시스템(HIS)에 적용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체계적으로 휘처를 식별하고, 그에 대한 근거 및 공통성과 가변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XSLT 스크립트를 이용한 계층 구조 조립 자동화 (Automatic Composition of Layered Architecture using XSLT Scripts)

  • 정주미;장정아;최승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433-435
    • /
    • 2004
  •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은 핵심 소프트웨어 자산의 개발을 위한 도메인 공학과 실제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립하여 구체적인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응용 공학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구축 시 가장 중요한 점은 특정 도메인에 존재하는 가변성(variability)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재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맞춤 생산할 수 있는 컴포넌트 재구성성(reconfigurability)이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사용자가 선택한 특성 구성을 바탕으로 계층 구조 조립 자동화를 통해 컴포넌트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도구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컴포넌트 패밀리의 특성 모델에서 표현되는 차이점에 따라 계층 구조의 각 컴포넌트들이 조립되도록 XSLT 스크립트를 사용하였다. 특성 모델과 XML/XSLT 기술을 이용하여 컴포넌트 코드 생성 시에 재구성성을 지원하고 재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컴포넌트 소스 코드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PDF

프로덕트 라인 기반의 모바일 응용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프로세스 (Architecture Development Process of Mobile Application System Based on Product Line)

  • 손이경;김행곤;황하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258-265
    • /
    • 2005
  •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로 모바일 비즈니스 서비스 수요의 증대와 다양한 사용자 요구사항 및 변경이 빈번해짐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적시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이 필수적이다.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은 공통의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 제품 혹은 소프트웨어 시스템 집합으로 특정 영역의 시장과 용도의 요구사항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아키텍처 및 컴포넌트를 구성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을 분할하고 구조화하여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개념이 중요시 되면서 아키텍처의 개발과 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를 기반한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PLD: Product Line based Development)을 도입하여 모바일 비즈니스 도메인에 적합한 모바일 응용 시스템 아키텍처(MASA: Mobile Application System Architecture)를 제시한다.

  • PDF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가변성 분석을 통한 도메인 아키텍처 개발 방법 (An Approach to Developing Domain Architecture Based on Variability Analysis in Software Product Line)

  • 문미경;염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4호
    • /
    • pp.328-341
    • /
    • 2007
  •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을 구축하고자 할 때,첫 단계 활동은 도메인 분석을 통해 요구사항 들에서 가변성을 식별하는 것이고, 다음 단계는 일련의 관련된 프로덕트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 메인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것이다 도메인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덕트들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기술함으로써 프로덕트 라인의 핵심자산이 된다. 핵심자산의 가변성은 개발 프로세스가 진행됨에 따라 식별될 수 있는 가변 요소의 종류와 상세화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아키텍처 수준에서 식별될 수 있는 가변성을 정의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식별하여 아키텍처 모델에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키텍처 수준에서 고려해야 하는 가변성은 아키텍처 구성 요소들에서 발생하는 가변성 뿐만 아니라 이들의 구성(configuration) 관계를 나타내는 모텔에서 나타나는 가변성들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며 이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통성과 가변성이 명시적으로 고려되는 프로덕트 라인의 핵심 자산으로서 도메인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최근 Object Management Group(OMG)에서 채택한 재사용 자산 병세(Reusable Asset Specification; RAS) 모델을 확장하여 공통성과 가변성 개념이 명확히 정의된 도메인 아키텍처 메타모델을 제시한다. 제시되는 메타모델에는 아키텍처의 구성요소들이 정의되어 있으며, 각 구성요소와 모텔에서 식별 될 수 있는 가변성이 상세화 수준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메타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도메인에 대한 아키텍처에 가변성이 명시적으로 표현되는 방법을 보인다.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체계적인 요구사항 변경 관리 방법 (An Approach to Managing Requirements Change Systematically in Software Product Lines)

  • 박지현;문미경;염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12호
    • /
    • pp.1164-1177
    • /
    • 2005
  • 현재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이 복잡해짐에 따라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요구사항 역시 복잡해지고 있으며 요구사항 관리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요구사항을 처음부터 모두 정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개발이 진행되면서 환경은 변하기 마련이다. 또한 요구사항 변경은 개발보다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체계적인 변경 관리를 통해 변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관리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요구사항 변경 관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요구사항 변경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software product lines)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은 도메인 요구사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공학(application engineering) 단계에서 요구사항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도메인 공학(domain engineering) 단계를 이용하여 변경을 분석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일관된 변경 관리를 통해 변경 범위를 분석하고, 변경 대처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변경 처리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며 한번 요청된 변경이 완벽하게 처리되도록 도와주어 같은 변경의 반복 요청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잠재된 변경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AOP를 적용한 프로덕트 라인 가변기능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oftware Product-Line Variabiliy Applying Aspect-Oriented Programming)

  • 허승현;최은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4호
    • /
    • pp.593-602
    • /
    • 2006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은 자원의 재사용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배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time-to-market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발전되어왔다. 이러한 방법 중의 하나인 프로덕트 라인을 구현하는 기존의 방법은 중심 자원에 대한 간섭이 심하여 가변적 기능과의 조합 절차에서 많은 비용을 요구하므로 기대만큼의 효과를 얻기 힘든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의 조합 프로세스를 개선한 방법으로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을 도입한다. AOP의 문법 요소인 결합점(join point) 과 교차점(pointcut), 충고(advice)를 이용하여 중심 자원과 가변적 기능을 코드 변경 없이 조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간단한 시스템을 사례로 들어 관점 지향 개념을 적용하여 요구를 분석 하고 UML로 설계한다. 설계 단계에서 도출된 가변 기능은 구현 단계에서 관점 지향 언어인 AspectJ를 이용하여 중심 기능과 결합한다. 이 실험을 통하여 효율적인 프로덕트 라인의 구현을 보이고, 유용성과 실용성을 입증한다.

프로덕트 라인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based on Software Product Line Approach)

  • 김영희;이우진;최일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7호
    • /
    • pp.399-408
    • /
    • 2007
  • 현재 센서 네트워크 응용 분야는 소프트웨어의 효율적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단일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를 쉽고, 빠르게 개발하기 위한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의 핵심 모듈을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 노드들을 제어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핵심 공통 기능을 정의하고 특정 센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의 워크플로우에 따라 가변적인 센서 노드들의 다양한 기능을 취사 선택하여 개발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에 따라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기법을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 도메인의 공통성을 식별하고 어플리케이션의 가변성에 따라 선택적인 개발을 지원하는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제시하는 사례를 통하여 일반적인 비즈니스 도메인과 비교하여 센서 네트워크 응용 도메인의 프로덕트 라인 구축을 위한 특성을 살펴보고, 제시한 가변성 피처 모델과 VEADL을 통하여 설계한 센서 네트워크 응용 도메인의 핵심 자산이 각 노드의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사용되는 적용 효율성을 보인다.

프로덕트 라인 기반의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Product Line Development Process for Mobile Software based on Product Line)

  • 김행곤;손이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3호
    • /
    • pp.395-408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매우 광범위한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완벽한 사용자 요구를 필요로 하며, 많은 시나리오와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툴과 방법론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새로운 기술로써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은 공통의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 제품 혹은 소프트웨어 시스템 집합으로 특정 영역의 시장과 용도의 요구사항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아키텍처 및 컴포넌트를 구성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을 분할하고 구조화하여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개념이 중요시되면서 아키텍처의 개발과 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를 기반한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PLD : Product Line based Development)을 도입하여 모바일 비즈니스 도메인에 적합한 모바일 응용 시스템 아키텍처(MASA. Mobile Application System Architecture)를 제시한다.

프로덕트라인 아키텍처의 정량성 평가 기법 (A Metric-based Methodfor Evaluating Product Line Architecture)

  • 장수호;라현정;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5호
    • /
    • pp.449-459
    • /
    • 2006
  • 프로덕트라인 공학(Product Line Engineering, PLE)은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핵심자산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재사용 방법이다. 프로덕트라인 아키텍처(Product Line Architecture, PLA)는 핵심자산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PLA는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는 달리 한 프로덕트라인에 속한 여러 멤버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포함하므로, 기존 아키텍처와는 다른 방법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PLA와 기존 아키텍처와의 차이를 충분히 다루고 있지 못하여 PLA 평가는 PLE에서 어려운 작업 중의 하나로 인식된다. 본 논문에서는 PLA 설계 시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두 가지 이슈를 제안한 후 식별한 두 가지 이슈를 중점으로 PLA를 평가하기 위한 메트릭을 제안한다. 식별된 두 가지 이슈와 제안된 PLA 평가 메트릭으로 PLA를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제안된 메트릭으로 아키텍처 설계자의 경험에 의해 수행되는 PLA 평가를 좀 더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inyOS 기반 임베디드 센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개발의 프로덕트라인 적용 연구 (A Study of Apply Product Line to Embedded Wireless Sensor Network Software development based on TinyOS)

  • 이민태;박승범;이상준;김병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86-389
    • /
    • 2008
  • 낮은 처리속도와 기억용량을 가진 임베디드 센서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Tiny OS는 컴포넌트방식의 nesC 언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설계를 돕는다. 컴포넌트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자주 사용되는 자산을 분리하여 관리한다면 개발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iny OS 기반에서 임베디드 센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개발 시 프로덕트라인 방법을 적용하여 공통적인 자산과 가변적인 자산을 구별하고 재사용성을 높이며 개발 효율을 증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이종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적용되어 늘어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양적, 질적 수요를 충족시켜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