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프트웨어 제작

검색결과 1,128건 처리시간 0.03초

콘텐츠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디자인 프레임워크 (Software Design Framework for Content Creation)

  • 오정민;문남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11호
    • /
    • pp.815-822
    • /
    • 2013
  • 최근에는 터치형 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콘텐츠 제작 기반의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사용자 태스크와 다른 형태를 갖는다. 사용자 인터랙션을 고려하는 시점이 콘텐츠 제작과 소비, 양 측면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가운데 본 논문은 태스크 모델링에 기반을 둔 모델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Model Based User Interface Design, MB-UID)과 사용 중심 디자인(Usage Centered Design, UCD) 모델을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 소프트웨어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새롭게 제시한다. 본 프레임워크는 비즈니스 규칙 모델, 제작 역할 모델, 제작 흐름 모델, 제작 행동모델, 표현 모델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를 통해 콘텐츠 제작시 사용자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랙션을 효율적으로 통제함과 동시에 콘텐츠 소비시 발생 가능한 사용자 인터랙션 유형을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 미리 고려할 수 있다.

게임제작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me Production Process)

  • 장인걸;우종식;안계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837-1840
    • /
    • 2003
  • 국내의 게임제작사는 체계적인 게임제작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 획득에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게임 제작에 요구되는 핵심 기술을 비롯한 제반 요소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시행하고, 게임제작에 관한 정보와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 지원활동과 지원체제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해결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게임 제작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게임제작의 체계화, 즉 게임개발 및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공정을 정립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본 연구는 ISO12207을 비롯한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및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게임산업의 특성과 기술의 특징을 고려하여 게임제작에 적합한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즉 일반 소프트웨어와 달리 게임만이 가지는 특성과 게임제작에 소요되는 다양한 기술을 고려하여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및 프로세스를 게임 제작에 적합하도록 테일러링 함으로써 향후 게임제작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PDF

Next.js를 활용한 깃허브 전자 명함 제작 및 앱, 웹 멀티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통한 효율적인 개발자 명함 생태계 구축 (Creating GitHub Electronic Business Card Using Next.js and Building an Efficient Developer Business Card Ecosystem through App and Web Multi-Platform-Based Services)

  • 김현우;이정민;박민수;이소현;심재만;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45-747
    • /
    • 2023
  • 깃허브는 개발자의 명함이라는 말이 있듯, 많은 수의 개발자들이 깃허브를 활용해 자신의 개발 이력과 프로젝트들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깃허브 정보 요약 서비스들이 제공되어졌으나, 정보 공유의 불편함과 많은 정보를 담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서버 기반의 깃허브 웹 명함 제작 및 멀티플랫폼에서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개발자 명함 생태계 구축을 제안한다. 본 서비스에서는 Next.js 기술을 활용한 한 명함 제작 및 웹, 앱 클라이언트를 통한 명함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Github oauth를 통해 인증된 정보를 바탕으로 Next.js를 활용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정해진 형식으로 요약한 명함을 제작한다. 제작된 명함은 웹 / 앱 플랫폼을 기반으로 관리되며, 추가적으로 명함의 공유 및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명함 공유를 바탕으로 한 개발자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한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와 작업정보 리포팅을 통한 소프트웨어 제작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Software Build through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Work Information Reporting)

  • 김정일;이은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7호
    • /
    • pp.1039-1048
    • /
    • 2005
  • 대규모의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는 필수이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의 범주는 버전관리 외에도 각 개발자의 작업영역 관리, 소프트웨어 제작 관리, 개발 프로세스 제어부분까지 폭 넓게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형상관리 부분에서 소프트웨어 제작부분의 최적화를 위해 다른 부분들이 어떻게 상호 유기적으로 조정되어야 하는지에 방향성을 두고 있으며 특히 형상관리 되어지는 정보 중에 어떠한 내용을 리포팅 할 때 소프트웨어 제작부분의 효율이 높아지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리포팅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 평가하였다. 평가시에는 기존의 형상관리도구들의 관련 기능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상대적 유효성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각 리포팅 대상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했을 때 생겨나는 변화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여 그 유효성기 정성적 평가를 추가하였다.

이동형 퍼스널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 Movable Personal Software Platform Technology)

  • 구경이;정문영;김기헌;강성주;최원혁;김원영;최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4권4호
    • /
    • pp.28-40
    • /
    • 2009
  • 웹 2.0 시대를 맞이하여 어느 특정 기업의 기술이 아닌, 개인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인프라가 인터넷 서비스 분야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 인프라는 사용자에게 작업 환경을 제공하거나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유통을 지원하여 개인이 제작한 콘텐츠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집단 지성이 쌓이면서 수익이 창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인프라로서 이동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YouFree$^{TM}$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 소개된 YouFree$^{TM}$은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편리한 개인맞춤의 작업 환경을 제공해 사용자가 쉽게 콘텐츠 제작에 참여할 수 있고, 개발환경을 이용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쉽게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콘텐츠와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쉽게 유통시킬 수 있다.

XML기반 시나리오를 이용한 3D 멀티미디어 제작 시스템 (3D Multimedia Manipulation System using XML-based Scenario)

  • 전형준;김장식;황부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106-108
    • /
    • 2005
  • 3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3D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 3D 게임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3D 컨텐츠에 대한 기술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3D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3D 컨텐츠 개발 소프트웨어를 배워야 하고, 그에 따른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상이한 개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개발하기 때문에 개발 소프트웨어마다 다른 방식으로 결과물들이 나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XML 기반의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XML 기반의 시나리오에 맞게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시나리오 작성모듈과 XPlayer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XML의 특징인 유연성과 확장성을 이용하여 개발 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3D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였고, 제작된 3D 객체들은 XML을 통해 모든 객체들을 요소(element)화하여 객체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정의 방송 제작 워크플로우 (Software Defined Broadcast Production Workflow)

  • 은준호;이재호;김현태;이문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31-333
    • /
    • 2019
  • 최근 4K UHD로 방송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방송 제작 시스템도 기존의 SDI 전송에서 IP 전송을 이용한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국내외 방송사들은 전송 대역폭을 높이고, 비용 효율화를 하고, 특정 벤더에 종속적이지 않고 시스템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방송 제작 시스템을 IP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IP 기반 방송제작 시스템은 기존의 방송장비 하드웨어의 종속화로 인해 범용성과 확장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방송 제작 워크플로우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관련 공개 표준의 표준화 동향 및 기술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소프트웨어 정의 방송 제작 워크플로우와 그 세부요소들을 정의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한다.

  • PDF

UCC 사이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CC Site)

  • 정태일;이충호;육상만;계주성;김우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97-500
    • /
    • 2007
  • UCC는 'User Created Contents'의 약자로 사용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컨텐츠를 의미한다. 핸드폰과 디지털카메라의 대중화와 동영상 제작 툴 발전 등 미디어 제작 환경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하고 많은 수의 UCC가 제작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UCC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도 생겨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FFmpeg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FLV 파일형식으로 변환하는 인코딩 기술과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사이트와 결합하여 UCC 사이트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캐릭터 웹드라마 제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character web drama production)

  • 이현수;김민하;서지원;조성진;이종원;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91-596
    • /
    • 2023
  • 본 연구는 10대 1인 미디어 제작자를 중점으로 하여 쉽고 편리하게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나타난 10대 제작자들의 요구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기능과 GPT를 활용한 감정 및 행동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렌더링 과정에서는 OpenCV와 FFmpeg를 사용하여 오디오와 영상을 결합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하였다. 영상 제작에 전문성이 없는 10대 사용자들은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웹드라마 캐릭터를 커스터마이징하고, GPT의 도움을 받아 감정과 행동을 추천받을 수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편집 및 연출에 전문성이 없는 10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양질의 영상 제작을 돕고, 영상 제작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주며, 1인 미디어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모바일이나 세로해상도 버전의 영상을 고려한 영상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연출을 이용한 플레이어 동선 유도 방법 (Guiding Player Movement Through Directing Techniques)

  • 이성우;조영준;김경섭;김우혁;김명환;김창우;류명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37-43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리얼타임 3D 콘텐츠 제작 툴인 언리얼 엔진을 활용하여 1인칭의 게임을 제작한다. 이때 플레이어의 동선을 관리함에 있어 개발자의 의사를 직접 전달하지 않고 게임 속 시청각적인 연출을 통해 간접적으로 플레이어에게 동선을 제안 혹은 제한하는 방법을 정리하고 제시함으로써 플레이어의 몰입감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