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프트웨어 신뢰도 측정 융합정책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링 기반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The software quality measurement based on software reliability model)

  • 정혜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5-50
    • /
    • 2019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신뢰도 측정 모형에 따라 소프트웨어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형태는 비동질적 포아송 과장의 분포를 이용하였으며, 제시된 모형의 소프트웨어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형에 따라서 적합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형을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소프트웨어 고장 데이터에 따라서 신뢰도 함수의 추정 값에 따른 평균제곱오차를 계산하여 적합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함수를 제안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 함수를 제안하기 위하여 모델을 제시하고 고장데이터를 적용하여 추정 값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신뢰도 함수를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로 판단된다.

소프트웨어 오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델 제안 (The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base on Software Error Data)

  • 정혜정;한군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59-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해서 사용되었던 ISO/IEC 9126-2와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해서 새롭게 제시된 ISO/IEC 25023의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메트릭을 제시하고 제시된 메트릭에 대해서 품질을 측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ISO/IEC 25023에 제시된 8가지 품질 특성 중에서 신뢰성에 대한 품질 측정 방안을 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델을 기반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ISO/IEC 25023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품질을 평가하게 되어지면 신뢰성에 대한 평가에 있어 다소 리스크가 있을 수 있음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입증한다.

가중치를 적용한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방법 (A weighted method for evaluating software quality)

  • 정혜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49-255
    • /
    • 2021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시험성적서를 중심으로 국제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8가지 품질특성인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효율성, 보안성, 상호운용성에 대한 가중치 결정 문제에 대한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는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에 대한 시험결과는 8가지 품질 특성을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해서 산술평균을 구하고 있으나,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점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8가지 품질 특성을 구별하여 평가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소프트웨어 시험성적서의 결과를 중심으로 텍스트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트분석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이용해서 8가지 품질 특성별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두 개의 제품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텍스트분석 한 결과를 이용해서 가중치를 적용하여 본 결과 가중치를 적용한 품질특성에 따른 시험성적서의 평균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프트웨어 시험성적서에 대한 텍스트 분석 (Text Analysis of Software Test Report)

  • 정혜정;한군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5-31
    • /
    • 2020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의 시험 평가에 있어 품질 특성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가중치 적용방안은 시험성적서의 텍스트를 분석해서 텍스트의 빈도에 따른 비율을 소프트웨어 시험 성적의 품질 특성에 대한 가중치로 활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토는 개발자와 사용자를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의 중요도를 평가하게 한 설문조사의 결과와 텍스트 분석의 빈도분석 결과를 비교해서 검토했다. ISO/IEC 25023에서 제시한 8가지 품질 특성을 기반으로 품질을 측정할 경우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해서 소프트웨어 품질을 평가하는 것에 비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소프트웨어 특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결과이므로 소프트웨어 시험 평가에 대한 품질 측정의 타당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테스트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The Analysis of Data on the basis of Software Test Data)

  • 정혜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1-7
    • /
    • 2015
  • 요즘 많은 사람들이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한 테스트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를 ISO/IEC 9126-2를 기반으로 하여 6가지 품질 특성, 즉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효율성적인 측면에서 테스트 데이터를 분류하여 오류발생 빈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 하는데 소요되는 시험횟수와 시험날짜도 소프트웨어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각 품질 특성별 테스트 결과를 시험 일수를 예측할 수 있는 융합기술로 이용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한 결과 기능성과 효율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조사되었다.